"北 중-단거리 미사일, 공격 아닌 억지력 확보용"
美 군사전문가, “재래식 군사력 약화됐지만 능력은 갖추고 있어"
북한이 지난달 5일 발사해 정확성을 과시한 중.단거리 미사일은 공격용이라기보다는 억지력 확보용이라는 미국 군사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다.
"북한 미사일 발사로 미국 기술 개발이 탄력을 받게돼"
미국 해군대학의 조나단 폴락 교수는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이 지난 수 십년 간 상당히 약화됐기 때문에 북한의 전략적 목표는 공격보다는 미군과 남한군에 대한 억지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남한과 일본의 후방을 타격할 수 있는 중단거리 미사일은 (억지력 확보라는) 북한의 군사전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북한의 중단거리 미사일 체제는 실전 배치된 미사일 수와 신뢰성, 사거리 등에서 의미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폴락 교수는 "미국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남한과 일본 그리고 미군 기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기술상의 불확실성 때문에 아직 완벽한 방어능력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다"며 "그러나 북한이 지난달 초 강행한 미사일 시험발사로 인해 조기경보체제와 미사일 방어체제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달 대포동 2호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하면서 6기의 중.단거리 미사일을 함께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은 직경 몇㎞ 범위 안에 떨어지면서 정확성을 과시하기도 했다.
미 군사 전문가 중 대표적인 북한 전문가로 꼽혀온 폴락 교수는 지난달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미사일 퍼레이드'를 벌이면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지만 정작 부시 행정부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국면을 해소할 해법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부시 행정부는 지난 6년 동안 북한을 애써 무시하거나 때로는 경제 제재로 압박했지만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북한을 압박할 마땅한 수단이 없으며, 이에 따라 부시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더 악화시킨 채 임기를 마감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6월에는 일간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와 인터뷰에서 "북한과 이란 두 나라는 단지 서로 지켜볼 뿐 아니라 서로 의견이나 정보를 교환할지도 모르며, 대표적으로 북한이 이란에 미사일과 관련 기술을 수출했던 것을 주목해야 한다“며 ”미사일 시험발사 논란으로 예상을 넘는 미국의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낸 북한이 이를 최종 목표인 미국과 직접대화를 성사시키는 도구로 쓰려는 현재 상황은 이란에게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란이 북한을 핵 외교의 교본으로 삼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히며 북한과 이란의 교류 협력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폴락 교수는 미 해군대학의 해군전쟁연구센터의 전략연구부 국장으로서 아시아태평양연구그룹 책임자를 맡고 있는 대표적인 북한, 중국 등 아시아 군사 연구자로 꼽힌다. 미 미시간대학에서 박사학위,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후과정(포스닥)을 마쳤고 랜드연구소 등에서 미국과 아시아의 관계 등을 연구했다.
그동안 <한반도의 통일준비:시나리오와 시사점들>(1999), <미국과 아시아:미국의 신전략과 군사력 태세>(2001), <미국 핵전력정책의 미래>(1997) 등 한반도와 중국 관련 서적을 10여권 출판했다.
"북한 미사일 발사로 미국 기술 개발이 탄력을 받게돼"
미국 해군대학의 조나단 폴락 교수는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이 지난 수 십년 간 상당히 약화됐기 때문에 북한의 전략적 목표는 공격보다는 미군과 남한군에 대한 억지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남한과 일본의 후방을 타격할 수 있는 중단거리 미사일은 (억지력 확보라는) 북한의 군사전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북한의 중단거리 미사일 체제는 실전 배치된 미사일 수와 신뢰성, 사거리 등에서 의미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폴락 교수는 "미국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남한과 일본 그리고 미군 기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기술상의 불확실성 때문에 아직 완벽한 방어능력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다"며 "그러나 북한이 지난달 초 강행한 미사일 시험발사로 인해 조기경보체제와 미사일 방어체제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달 대포동 2호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하면서 6기의 중.단거리 미사일을 함께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은 직경 몇㎞ 범위 안에 떨어지면서 정확성을 과시하기도 했다.
미 군사 전문가 중 대표적인 북한 전문가로 꼽혀온 폴락 교수는 지난달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미사일 퍼레이드'를 벌이면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지만 정작 부시 행정부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국면을 해소할 해법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부시 행정부는 지난 6년 동안 북한을 애써 무시하거나 때로는 경제 제재로 압박했지만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북한을 압박할 마땅한 수단이 없으며, 이에 따라 부시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더 악화시킨 채 임기를 마감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6월에는 일간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와 인터뷰에서 "북한과 이란 두 나라는 단지 서로 지켜볼 뿐 아니라 서로 의견이나 정보를 교환할지도 모르며, 대표적으로 북한이 이란에 미사일과 관련 기술을 수출했던 것을 주목해야 한다“며 ”미사일 시험발사 논란으로 예상을 넘는 미국의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낸 북한이 이를 최종 목표인 미국과 직접대화를 성사시키는 도구로 쓰려는 현재 상황은 이란에게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란이 북한을 핵 외교의 교본으로 삼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히며 북한과 이란의 교류 협력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폴락 교수는 미 해군대학의 해군전쟁연구센터의 전략연구부 국장으로서 아시아태평양연구그룹 책임자를 맡고 있는 대표적인 북한, 중국 등 아시아 군사 연구자로 꼽힌다. 미 미시간대학에서 박사학위,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후과정(포스닥)을 마쳤고 랜드연구소 등에서 미국과 아시아의 관계 등을 연구했다.
그동안 <한반도의 통일준비:시나리오와 시사점들>(1999), <미국과 아시아:미국의 신전략과 군사력 태세>(2001), <미국 핵전력정책의 미래>(1997) 등 한반도와 중국 관련 서적을 10여권 출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