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야스쿠니는 日민족주의-美패권주의의 사생아”

<세미나> 마크 셸던 교수 “야스쿠니는 전쟁민족주의의 상징”

고이즈미 일본 총리의 반복되는 참배 강행으로 동아시아의 항구적인 ‘외교분쟁’을 야기하고 있는 ‘야스쿠니 신사’ 논란이 “전후 일본 민족주의와 미국 패권주의의 접목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 20일 열린 야스쿠니 관련 국제학술 심포지엄에서 제기됐다.

한국, 일본, 대만, 오키나와 4개 지역의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이 ‘세계의 눈으로 야스쿠니를 본다-문명과 야만사이’라는 주제로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서 발제자로 나선 마크 셸던 교수는 “야스쿠니 문제를 일본만의 문제로 봐서는 현 사태의 해법을 찾을 수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마크 셸던 교수는 동아시아 국가 간에 꼬일대로 꼬인 전후 과거사와 관련해 “지역적, 세계적으로 더 광범위한 시각으로 이 문제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지난 60년 동안의 전후 일본,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역사와 현대 국제 사회에서의 힘의 현실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야스쿠니와 일본 민족주의의 복잡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1945년부터 아메리칸 파워라는 틀 안에서 이뤄진 일본의 전후 재건의 성격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

셸던 교수 “일본에게 면죄부를 준 것은 냉전체제 하의 미국”

그는 “야스쿠니는 전후 일본에서 천황-전쟁-국가를 연결하고 제국과 제국주의 전쟁을 구체화하는 중심점으로 나타났다”며 “국가가 지원하는 전쟁 민족주의의 세계적 현상의 한 예”라고 밝혔다.

미국 커넬대 마크 셸던 교수.ⓒ에큐매니안 제공


그는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미국이 1951년 ‘미일안보조약(AMPO)'을 통해 일본 점령을 끝내는 과정에서 천황제를 유지시킨 것에서 비롯됐다”며 “이는 일본인이 전쟁과 제국을 어떻게 보고 기억하는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천황제도 유지, 전범기소 제외 등 미국이 일본에 취한 일련의 정책들이 일본인들로 하여금 ‘일본의 아시아 침략과 범죄행위’를 반성할 책임에서 벗어나게 만들었다는 것.

특히 천황이 기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도조와 주요 군사, 정부 관리 등 수 천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사실은 자국의 식민주의와 전쟁에 대한 일본인의 책임을 근본적으로 더는 효과를 낳았다고 그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공적 지위를 벗고 ‘민간’의 종교 신사로 명명된 야스쿠니는 식민주의와 전쟁의 기억을 ‘보호’하고 피해국의 배상 요구를 묵살하는 일본의 ‘상징’으로 남았다는 것.

또한 셀던 교수는 이 같은 일련의 전후 처리 과정 이후 일본이 미국 주도의 냉전체제 아래 반공산주의 진영에 합류함에 따라 과거 식민 국가와의 화해압력에서 결정적으로 벗어났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민족주의와 미국의 패권주의는 다르지 않다”

나아가 셀던 교수는 2차대전 이후 일어난 전쟁의 다수가 미국에 의해 진행됐고 이 과정에서 보여준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정책들이 과거 일본의 민족주의와 닮아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민족주의와 마찬가지로 가까이는 걸프전과 이라크 전쟁, 멀게는 한국.베트남 전쟁에서 벌어진 전쟁범죄에 대해 미국 스스로가 패권주의적 정책을 통해 면죄부를 줬다는 것.

이날 열린 국제학술심포지엄은 고이즈미 총리의 '815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저지하기 위한 국제공동행동의 첫 행사로 치줘렸다.ⓒ에큐매니안 제공


셸던 교수는 미국의 알링턴 국립묘지를 ‘미국 판 야스쿠니 신사’라고 비유하며 “두 장소는 공통적으로 자국의 전쟁이 정당하고 영웅적임을 보여주고 자국의 지도자와 군대가 잔혹 행위를 저질렀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거부한다”며 “야스쿠니와 마찬가지로 알링턴에서 미군의 잔혹행위나 전쟁 범죄에 대한 반성은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셸던 교수의 이 같은 지적은 미국과의 군사동맹 중심 외교관계를 강화하는 한편으론 아시아 국가와의 끊임없는 과거사, 영토분쟁을 통해 악화일로를 치닫는 현 일본의 외교정책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반세기 넘게 일본과 한국, 중국 등 피해국가간에 계속되는 과거사 분쟁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민족주의와 전쟁’에 대한 공동담론을 형성해야한다는 구체적인 과제를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 “식민통치의 가해자와 피해자가 어떻게 한 무덤에 있나”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한국, 중국, 베트남과 더불어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던 대만 원주민들의 잔혹한 참상이 공개돼 주목을 끌었다.

발제자로 나선 가오친 수메이 대만 입법의회 의원은 “세상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합사한 곳은 야스쿠니 신사밖에 없을 것”이라며 “대만 원주민의 지워진 민족의 역사를 되찾고 일본에게 역사적 책임을 지울 것”이라고 말했다.

대만 원주민들은 한국보다 36년 앞선 1874년 일본에 의해 침략당한 이후 식민교육, 생체실험의 대상으로 전락했고 이 과정에서 당시 전체인구의 8분의1에 달하는 1만1천2백31명이 목숨을 잃었다.

가오친 수메이 대만 입법의회 의원.ⓒ에큐매니안 제공


수메이 의원은 “일본의 식민 통치가 대만의 현대화를 가져왔다고 친일파들은 주장하지만 원주민에게 독가스를 투하하고 사체를 해부하고 자국의 전쟁에 끌고 간 것이 어떻게 현대화인가”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일본 측 참가자로 나선 우치다 마사토시 변호사는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참배를 ‘수치스러운 일’, ‘제정신이 아니다’, ‘위험하다’ 등의 격한 표현을 써가며 격렬히 비판했다.

그는 “야스쿠니 참배는 침략긍정의 메시지를 세계에 내보내는 것으로 일본과 동아시아 각국의 화해, 우호를 결정적으로 저해하는 일”이라며 신사 참배에 반대하는 본격적인 행동에 들어갈 것이라 밝혔다.

이날 열린 국제학술심포지엄은 고이미즈 총리가 이임을 앞둔 오는 8월 15일에도 야스쿠니 신사 참배 강행의사를 확고히 함에 따라 적극적인 대응을 모색해온 3개 국가 시민단체들의 첫 국제 공동행사로 21일까지 계속된다.

국제행동 “8월 11일~15일, 일본 심장부서 촛불집회”

21일에는 박진우 숙명여대 교수, 마타요시 세이키요 오키나와대학 교수, 알렉시스 더든 미국 커넷티컷 대학 교수, 첸이쭝 대만중앙연구원 부연구원 등 각국 석학들의 발제가 예정되어있다.

또한 독일의 전후 보상 정책을 집행하는 ‘기억, 책임, 미래’ 연방재단의 크리스티아네 레 변호사도 발제에 나서 사죄를 거부하는 일본과는 정반대로 진행되고 있는 독일의 사례를 발표한다.

국제행동은 이날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8월 중 야스쿠니 신사 진사조사와 일본법원 및 유엔인권이사회 제소 등의 활동을 이어가며 8월 11일부터 15일까지 닷새간 도쿄에 집결해 촛불집회를 열고 ‘강제합사된 유골 귀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중단’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2백여명의 청중이 참석해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에큐매니안
최병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