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국민참여 경선 찬성", 탈당 명분쌓기?
박근혜-이명박, 이번엔 '국민참여 경선' 도입 놓고 신경전
열린우리당이 2007년 대선후보 경선때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국민 참여경선제)'를 도입하기로 한 데 대해 한나라당 각 정파의 반응이 이해관계에 따라 크게 엇갈리며 파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7.11 당대표 경선에서 당내 기반이 취약한 게 드러난 이명박 전 시장측은 이 제도 도입에 적극 찬성 입장을 밝히고 나선 반면, 박근혜 전대표측은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
정가에서는 한나라당의 때아닌 오픈 프라이머리 논쟁이 이명박 캠프의 탈당을 위한 명분쌓기가 아니냐는 분석을 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친박' 진영 "반대" vs '친이' "적극 검토해야"
오픈 프라이머리와 관련, 이명박 캠프는 적극 찬성 입장이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근들은 "현재의 지도부 구성이나 '친박' 성향이 강한 대의원 구조로 볼 때 내년 대선후보 경선은 사실상 끝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열린우리당은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하는데, 한나라당도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찬성 입장을 밝혔다.
'친이계'로 분류되는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7.11 경선을 통해 국민적 지지가 높은 이재오 후보가 당내 조직표에서 밀려 당 대표가 될 수 없었던 것은 당심과 민심의 괴리를 보여주는 웅변적 사건이었다"며 "내년 대선도 이런 식으로 갈 경우 한나라당은 또다시 필패할 게 분명한 만큼 내년 대선후보 경선에서는 반드시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 당선 가능성이 확실한 국민의 후보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친박계'인 모 중진의원은 "기본적으로 정당정치는 이념과 노선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모여 정권을 획득하는 것인데, 이념과 노선에 개의치 않고 인기로 후보를 뽑는 방식을 도입하자는 것은 정당정치를 하지 말자는 것밖에 더 되냐"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오픈 프라이머리는 경우에 따라서는 유력한 상대당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외부 세력이 개입, 3순위 후보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행위를 제 세력 모두가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정당정치가 파괴되는 것은 물론 정치가 저급한 포퓰리즘에 휩싸일 수 있다"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다른 친박 의원은 "자기네(이명박계)가 졌다고 이렇게 나와도 되느냐. 대꾸할 가치가 없다"면서 "지금의 당 혁신안은 사실상 이명박 전 시장과 가까운 인사들이 주도해 만든 것인데 지금와서 불리하다고 다시 바꾸자는게 앞뒤가 맞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대선주자 `빅3'중 한명인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예전부터 "국민들의 참여를 최대한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소장파들 사이에서는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필요성과 함께 선거인단의 규모를 대폭 늘리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정병국 의원은 "대선주자간 합의를 전제로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지입장을 밝혔고, 박형준 의원은 "선거인단 규모가 적을 수록 경선이 격렬해지고 불공정 문제가 나오는 만큼 `조직선거'가 불가능하도록 선거인단의 규모를 대폭 늘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성민 대표 "이명박 측의 '헤어지기 위한 명분쌓기' 의혹"
이같은 한나라당의 때아닌 '오픈 프라이머리' 논란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해석은 "다른 복선이 깔려 있는 게 아니냐"는 쪽이다.
정치전문컨설팅 '민'의 박성민 대표는 "기본적으로 여론조사 방식은 기술적 결함이 있기 때문에 공정성을 1백% 보장할 수 없다. 여론조사 방식을 통한 후보 선출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제한 뒤 "당내 마땅한 후보가 없는 열린우리당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것은 이해가 되나 이것이 한나라당내에서까지 이야기되는 것은 '공정성 확보'보다는 '헤어지기 위한 명분쌓기'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요즘 한나라당의 모습을 보면 주류와 비주류가 자신들의 생각을 점점 노골화시키고 있는 것 같다"며 "이를 아우를 수 있는 카리스마 있는 인물이 없는 터라 이런 문제제기가 결국은 원심력으로 작용할 것 같다"고 재차 탈당 수순밟기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성장하고 정치문화가 발전하려면 최소한 하나의 제도를 10년 이상 실험해보고 경험해봐야 하는데 룰을 수시로 변경하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미국산 오렌지를 여의도에 심겠다는 발상"
정당정치로 박사학위를 받은 국회의 한 입법연구관은 "당원 여부와 상관없이 예비 경선에 참여 투표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미국 뿐"이라며 "미국 정치문화가 고스란히 녹아있는 이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한다는 것은 토양이 달라 우리나라에서는 자라기 힘든 미국산 오렌지나무를 여의도에 심겠다는 것과 같다"며 부정적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미국은 공화, 민주 중심의 양당 정치문화가 1백년이란 세월동안 부모로부터 계승되던, 문화로부터 체득하던 일반인들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 투표하라고 선전하지 않아도 자발적이건 자신의 소신을 피력하기 위해서든 가는데 우리네 정치문화는 정당과 유권자 간 일체감이 없기 때문에 '오픈 프라이머리'가 본래의 기능을 다하기 어렵다"며 시기상조론을 폈다.
그는 이어 "그로 인해 우리네 현실에서는 민의를 대변한다기보다는 경쟁력이 약한 후보가 사돈의 팔촌까지 마구잡이로 투표장에 끌어들여 묻지마 투표를 부추기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부정적 견해를 재차 밝혔다.
열린우리당에서 친노계 배제 차원에서 시작된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방침이 엉뚱하게 한나라당에서 박근혜-이명박간 갈등으로 비화되는 양상이다. 베이징의 나비가 플로리다에 태풍을 일으키는 식의 '버터플라이 임펙트(나비효과)'가 작동되고 있는 셈이다.
7.11 당대표 경선에서 당내 기반이 취약한 게 드러난 이명박 전 시장측은 이 제도 도입에 적극 찬성 입장을 밝히고 나선 반면, 박근혜 전대표측은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
정가에서는 한나라당의 때아닌 오픈 프라이머리 논쟁이 이명박 캠프의 탈당을 위한 명분쌓기가 아니냐는 분석을 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친박' 진영 "반대" vs '친이' "적극 검토해야"
오픈 프라이머리와 관련, 이명박 캠프는 적극 찬성 입장이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근들은 "현재의 지도부 구성이나 '친박' 성향이 강한 대의원 구조로 볼 때 내년 대선후보 경선은 사실상 끝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열린우리당은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하는데, 한나라당도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찬성 입장을 밝혔다.
'친이계'로 분류되는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7.11 경선을 통해 국민적 지지가 높은 이재오 후보가 당내 조직표에서 밀려 당 대표가 될 수 없었던 것은 당심과 민심의 괴리를 보여주는 웅변적 사건이었다"며 "내년 대선도 이런 식으로 갈 경우 한나라당은 또다시 필패할 게 분명한 만큼 내년 대선후보 경선에서는 반드시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 당선 가능성이 확실한 국민의 후보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친박계'인 모 중진의원은 "기본적으로 정당정치는 이념과 노선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모여 정권을 획득하는 것인데, 이념과 노선에 개의치 않고 인기로 후보를 뽑는 방식을 도입하자는 것은 정당정치를 하지 말자는 것밖에 더 되냐"고 반대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오픈 프라이머리는 경우에 따라서는 유력한 상대당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외부 세력이 개입, 3순위 후보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행위를 제 세력 모두가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정당정치가 파괴되는 것은 물론 정치가 저급한 포퓰리즘에 휩싸일 수 있다"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다른 친박 의원은 "자기네(이명박계)가 졌다고 이렇게 나와도 되느냐. 대꾸할 가치가 없다"면서 "지금의 당 혁신안은 사실상 이명박 전 시장과 가까운 인사들이 주도해 만든 것인데 지금와서 불리하다고 다시 바꾸자는게 앞뒤가 맞느냐"고 반박했다.
한편 대선주자 `빅3'중 한명인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예전부터 "국민들의 참여를 최대한 늘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소장파들 사이에서는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필요성과 함께 선거인단의 규모를 대폭 늘리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정병국 의원은 "대선주자간 합의를 전제로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지입장을 밝혔고, 박형준 의원은 "선거인단 규모가 적을 수록 경선이 격렬해지고 불공정 문제가 나오는 만큼 `조직선거'가 불가능하도록 선거인단의 규모를 대폭 늘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성민 대표 "이명박 측의 '헤어지기 위한 명분쌓기' 의혹"
이같은 한나라당의 때아닌 '오픈 프라이머리' 논란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해석은 "다른 복선이 깔려 있는 게 아니냐"는 쪽이다.
정치전문컨설팅 '민'의 박성민 대표는 "기본적으로 여론조사 방식은 기술적 결함이 있기 때문에 공정성을 1백% 보장할 수 없다. 여론조사 방식을 통한 후보 선출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제한 뒤 "당내 마땅한 후보가 없는 열린우리당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것은 이해가 되나 이것이 한나라당내에서까지 이야기되는 것은 '공정성 확보'보다는 '헤어지기 위한 명분쌓기'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요즘 한나라당의 모습을 보면 주류와 비주류가 자신들의 생각을 점점 노골화시키고 있는 것 같다"며 "이를 아우를 수 있는 카리스마 있는 인물이 없는 터라 이런 문제제기가 결국은 원심력으로 작용할 것 같다"고 재차 탈당 수순밟기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성장하고 정치문화가 발전하려면 최소한 하나의 제도를 10년 이상 실험해보고 경험해봐야 하는데 룰을 수시로 변경하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미국산 오렌지를 여의도에 심겠다는 발상"
정당정치로 박사학위를 받은 국회의 한 입법연구관은 "당원 여부와 상관없이 예비 경선에 참여 투표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나라는 세계에서 미국 뿐"이라며 "미국 정치문화가 고스란히 녹아있는 이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한다는 것은 토양이 달라 우리나라에서는 자라기 힘든 미국산 오렌지나무를 여의도에 심겠다는 것과 같다"며 부정적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미국은 공화, 민주 중심의 양당 정치문화가 1백년이란 세월동안 부모로부터 계승되던, 문화로부터 체득하던 일반인들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어 투표하라고 선전하지 않아도 자발적이건 자신의 소신을 피력하기 위해서든 가는데 우리네 정치문화는 정당과 유권자 간 일체감이 없기 때문에 '오픈 프라이머리'가 본래의 기능을 다하기 어렵다"며 시기상조론을 폈다.
그는 이어 "그로 인해 우리네 현실에서는 민의를 대변한다기보다는 경쟁력이 약한 후보가 사돈의 팔촌까지 마구잡이로 투표장에 끌어들여 묻지마 투표를 부추기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부정적 견해를 재차 밝혔다.
열린우리당에서 친노계 배제 차원에서 시작된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방침이 엉뚱하게 한나라당에서 박근혜-이명박간 갈등으로 비화되는 양상이다. 베이징의 나비가 플로리다에 태풍을 일으키는 식의 '버터플라이 임펙트(나비효과)'가 작동되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