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수첩> "위험한 늙은 미국소 잔뜩 먹을 판"
미국인 안먹는 30개월이상 쇠고기 대량유입? "미정부는 업자편"
"도축되는 소의 20%이상이 30개월 이상된 늙은 소"
마이클 핸슨 소비자연맹 수석연구원은 “작년에 2천7백만마리의 어린 소가 도축됐고 30개월 이상 젖소 등도 6백70만 마리가 도축됐다”며 “이는 작년 도축소 20%(30개월 이상 도축 비율)보다 1% 많은 것”이라며 전체 도축되는 소의 20%이상 30개월 이상된 소임을 밝혔다.
그는 “미국 정부는 광우병 그 자체가 위협을 주고 있다고 생각을 안해서 (소고기 사료조치 강화를) 왜 해야하는지 모른다”며 “그것은 (미국 정부에게) 단지 돈을 더 사용하는 일일 뿐”이라고 말해, 미 정부가 업계편에 서서 정책을 집행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레지 제임스 오스틴 소비자연맹 관계자는 “만일 소고기를 먹고 싶지만 병에 걸릴 확률 낮추자면 자연산 식물성 사료 사용해야 하고 갈아만든 사료를 사용한 육류 이용을 피하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LA지역 유명 쇠고기 매장의 관계자는 “우리는 18개월 소만 판매한다. 24개월도 상태는 좋다. 그러나 나이든 소(30개월 이상)는 미국의 많은 곳에서 판매가 허락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PD수첩>은 “미국은 1등급 ‘프라임’, 2등급 ‘초이스’ 등 총 8등급으로 소고기를 품질별 분류하고 있는데 이 매장에서 등급판정을 받은 소고기의 75%가 초이스 등급을 받았다”며 “이 매장에서 최하등급 미 소고기가 24개월 이하였다”고 전했다.
미 11개 시민단체, 캐나다 30개월 소 수입 반대 소송
<PD수첩>은 또 “미국인이 먹는 소와 한국인이 먹는 소의 차이는 30개월 이상 소를 허용하느냐에 있었다”며 지난 해 미국의 캐나다산 30개월 이상 소 수입 저지 소송을 낸 미국 11개 시민단체의 입장을 소개했다.
소송을 제기한 빌 블라드씨는 “소송을 제기한 이유는 미 농무부의 광우병 보호규정 완화 정책이 잘못됐기 때문”이라며 “광우병은 언제나 치명적이고 난치병이며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미 소비자연맹 관계자도 “광우병과 인간광우병은 끔찍한 불치병이고 백신이나 약을 먹어서 고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라고 소송 이유를 밝혔다.
플로랜스 크래니츠씨는 “30개월 이상 소들에게서 광우병 감영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변종 인간광우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아 대책 강화가 없는 상황에서 들여온다면 미국의 젊은이들을 큰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PD수첩>은 “문제는 캐나다보다 미국의 광우병 대책이 허술하다는 것”이라며 “캐나다는 광우병위험물질을 모두 제거토록 명령하지만 미국은 지금까지 별 다른 규제없이 소의 부산물로 동물사료를 만들어와 광우병 원인체의 변형 프리온이 축적되는 광우병 위험물질을 닭, 돼지에 공급하고 이 가축의 사체를 갈아 소를 먹이면 광우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다.
"미 정부는 축산업자편"
<PD수첩>은 이미 AP통신 보도 등을 통해 밝혀진 내용이나, 미국정부가 미국 축산업자 편임을 지적하기도 했다.
미 캔사스주의 식육 생산업체 크릭스톤 팜스의 조 페프로라 생산부 부회장은 “우리는 해외소비자들에게 수출소가 광우병에서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모든 소를 검사해왔다”며 “그러나 미 농무부가 이를 허가하지 않아 더 이상 검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정부의 광우병 검사 금지 명령에 대해 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 1심에서 승소한 상황이지만 미 정부는 즉각 항소하는 한편 최근 연방항소법원에 지방법원 판결의 파기를 요청한 상태다.
마이클 핸슨 소비자연맹 수석연구원은 “미 정부와 육류협회가 광우병 검사에 반대하는 이유는 크릭스콘 팜스에 검사를 허용할 경우 모든 소를 광우병 검사 완료 표시를 해서 수출할 것이기 때문”이라며 “그렇게 되면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는 광우병 검사를 한 고기를 더 선호하게 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공무원-전문가 "일본은 한 사람의 사망자도 싫다"
<PD수첩>은 이날 한국과 비슷한 압력을 받고 있는 일본의 대응을 집중조명하기도 했다.
카타가이 토시오 일본 농림수산성 관계자는 “물론 국제수역은 국제기준이고 우리 역시 가맹국이여서 국제적 스탠다드라는 건 인정한다”면서도 “다만 국제기준이 그대로 일본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카네코 키요토시 전 식품안전위원회 프리온조사위원회 위원장(도쿄 의대 신경생리학 박사)도 “소의 월령제한과 위험물질 제거는 반드시 유지될 것이다. 두 가지가 안정성의 버팀목이기 때문이다”라며 “광우병이 발생한 다음 수입중단은 이미 늦는다. 예를 들어 미국은 식중독으로 연간 수백명이 죽는데 그것에 비하면 광우병이 문제될 게 없다는 식의 논리지만 일본은 한 사람도 싫다는 것이 기준”이라고 밝혔다.
"OIE 기준의 최저 기준일뿐"
<PD수첩>은 정부가 글로벌 스탠다드라고 주장하는 OIE 기준이 국제사회의 최저 기준임을 지적하기도 했다.
모니크 엘루아 프랑스 농림수산부 관계자는 “우리에게 국제수역사무국의 권고는 최소 기본 사항이며 자체적으로 더 엄격한 기준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장 뤽 앙고 국제수역사무국 부회장도 “우리의 기준은 권고사항이며 국가에 강요하지 않는다”며 “가령 위험미확인으로 분류된 국가로부터의 수입 여부를 권고하지만 이후 규정 적용 여부나 원하는 경우 수입하는 것에 대한 우리 규약은 강제적 성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PD수첩> "정부의 국민 건강 소홀, 무능, 빗나간 분석이 국민 분노 원인"
<PD수첩>은 또한 미국산 30개월 이상 소고기를 한국보다 먼저 수입한 4개국인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바베이도스가 2천여톤 이하인데 비해 한국은 무려 20만여톤에 달한다는 자료를 제시하며 “왜 한국만?”이라고 반문했다.
우리 정부의 국민보건 의식 수준이 개도국 수준에 머물고 있는 데 대한 신랄한 질타인 셈.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은 “일본이나 중국도 한국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며 “규정대로 수입해서 안전하다고, 자국 국민들의 건강권을 지킨다고 믿는 나라가 없다는 것이다. 도저히 우리 정부를 납득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PD수첩>은 마무리에서 “지금 상황의 원인을 정부는 홍보부족, 근거없는 괴담.선동 탓으로 돌리는데 과연 그럴까”라고 반문하며 “국민 건강을 너무 소홀히 했다고 밖에 볼 수 없는 협상결과, 영어해석을 잘못한 농림부의 무능, 정부의 빗나간 분석에 대한 국민 분노가 진정한 원인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미국도 잘 안 먹는 소를 먹으라는데 어떻게 따르겠는가”라고 말하며 “정부는 이제라도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