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결국 '비대위원장' 수락. 갈 길은 험난
28일 전국위원회 열어 확정. 내년 4월 부산시장 선거까지 운영될듯
심재철 대표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총선 이후 당 진로와 관련해 최고위원회와 당내 의견 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김 전 위원장에게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공식 요청했고, (김 전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그는 비대위 기한과 관련해선 "당헌상 비상상황 종료 후 소집된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출까지 존속하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며 당헌 96조6항을 거론한 뒤, "전당대회 일정을 정하는 부칙 조항을 전국위에서 수정해 당헌당규를 개정하는 절차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절차에 대해선 "김종인 비대위원장 임명을 위한 전국위원회를 28일에 개최할 것"이라며 "당헌과 기본 원칙에 따른 것이고 최고위의 마지막 역할이 될 수 있도록 당의 변화를 위한 새 출발에 마음을 모아줄 것을 거듭 부탁드린다"고 의결을 요청했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면서 통합당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로 급전환될 전망이다.
김 전 위원장 측근인 이준석 최고위원은 이와 관련,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과연 보수가 어떤 거대담론을 들고 왔느냐 라고 했을 때 제가 지금까지 당내 인사들 두루 만나고 교류하면서 그 부분에 대한 고민을 하는 분은 상당히 적었다"며 "김 위원장은 그 부분에 대한 고민, 오면 정강정책부터 고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김종인 비대위의 활동 시한에 대해 오거돈 부산시장 사퇴로 내년 4월 치러질 부산시장 선거 때까지 갈 가능성을 전망하기도 한다. 부산시장 선거에서 이길 경우 총선 참패의 충격에서 벗어나 반전 계기를 잡을 수도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김종인 비대위의 한계를 지적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21대 새 국회가 개원되면 당은 원내 중심으로 작동될 것이고, 그럴 경우 원외인 김 위원장의 통제력에도 제약이 따를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또한 많은 네거티브 인사들이 총선에서 낙마했으나 당 내부에 수구적 기류가 엄존하고 있고 벌써부터 유승민, 홍준표 등 차기대권주자들의 '김종인 견제'가 시작돼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