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4개 쟁점' 놓고 막판진통
영변시설 해체, 테러국 지정 해제, 북-일 수교실무그룹 구성, 경수로
북한과 미국이 '영변 핵시설 해체'와 '테러국 지정 해제'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또한 수교를 위한 일본과의 실무그룹 구성에 반대하는 등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이 제시한 합의안 초안을 놓고 갈등을 겪어, 중국은 10일 수정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쟁점 1] 북한 "영변 핵시설 가동정지" vs 미국 "해체해야"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차관보와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6자회담 이틀째인 9일 중국 베이징에서 저녁식사를 겸한 2시간여 동안의 북-미 직접협상을 벌였다.
힐 차관보는 회담후 "한 두가지 넘어서야 할 쟁점으로 좁혀진 상태"라고 회담 결과를 밝혔다. 그는 이어 남은 쟁점과 관련, "우리의 관심은 (핵시설의) 동결이 아닌 해체"라며 "폐쇄, 해체, 포기라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며, 동결은 이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혀, 북한 핵시설의 폐쇄 여부를 놓고 북한과 진통을 겪고 있음을 시사했다.
러시아 <인타팍스> 통신은 9일 밤 이와 관련, "초기단계 조치의 하나인 영변의 실험용 흑연감속로의 '가동정지'라는 문구에 대해 미국이 '해체'로 바꿀 것을 요구했으나 북한이 응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른바 미국이 그동안 요구해온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의 영변시설 폐기를 요구한 셈이다.
[쟁점 2] 북한 "미국,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의 대북적대시정책 폐기해야"
북한은 미국의 이같은 요구에 대해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의 대북적대시정책 폐기'로 맞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의 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인터넷판은 9일 베이징발 기사를 통해 "미국에 의한 '대북 적대시정책'이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 폐기되는 것이 핵폐기를 향한 초기단계 조치의 전제조건"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김계관 북한 부상이 8일 기조연설에서 요구한 '테러국 지정 해제'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쟁점 3] 에너지 지원 방식 놓고도 갈등, 중국 초안엔 '경수로' 빠져 있어
북한에 대한 에너지 지원 방식 및 지원 규모를 놓고도 진통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중국 외교소식통은 9일 "중국이 제시한 합의문 초안에는 '북한에 대한 경수로 지원'이란 문구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초안에는 북한이 핵시설을 동결하는 대가로 동결후 중유를 지원한다고 돼 있다"고 밝혔다.
현재 6자회담 참가국은 북한에 지원할 중유의 규모를 놓고 숫자를 계속 수정 중에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쟁점 4] 북한, 일본과의 수교 실무그룹 구성 반대
북한은 미국과의 관계정상화 실무그룹 구성에는 적극 찬성 입장을 밝히면서도, 일본과의 관계정상화 실무그룹 구성은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9일 6자회담에 참가하고 있는 일본대표단 말을 빌어 "북한이 일본과의 국교정상화에 관한 실무그룹 설치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며 "일본측이 납치피해자의 안부 확인을 요구하는 것이 그 이유"라고 전했다.
러시아 수석대표인 로슈카프 외무차관은 이와 관련 9일 기자들과 만나 "일본인 납치문제는 논리적으로 귀결될 때까지 협의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측이 일본과의 실무그룹 설치에 합의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9일 6자회담 논평에서 일본이 6자회담에서 납북문제 해결을 주장한 것에 대해 "많은 나라들이 북-미간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 입장을 공감을 표시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한반도의 핵문제 해결에 관심이 없다"며 "일본은 흐름에 역행하고 있다"고 일본을 맹비난했다.
한편 <지지통신><요미우리> 등 일본언론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이 제시한 합의문 초안이 난항을 겪자 10일 오전 수정안을 제시, 합의도출을 시도할 예정이다. 중국은 늦어도 11일까지는 합의문을 도출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쟁점 1] 북한 "영변 핵시설 가동정지" vs 미국 "해체해야"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차관보와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6자회담 이틀째인 9일 중국 베이징에서 저녁식사를 겸한 2시간여 동안의 북-미 직접협상을 벌였다.
힐 차관보는 회담후 "한 두가지 넘어서야 할 쟁점으로 좁혀진 상태"라고 회담 결과를 밝혔다. 그는 이어 남은 쟁점과 관련, "우리의 관심은 (핵시설의) 동결이 아닌 해체"라며 "폐쇄, 해체, 포기라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며, 동결은 이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혀, 북한 핵시설의 폐쇄 여부를 놓고 북한과 진통을 겪고 있음을 시사했다.
러시아 <인타팍스> 통신은 9일 밤 이와 관련, "초기단계 조치의 하나인 영변의 실험용 흑연감속로의 '가동정지'라는 문구에 대해 미국이 '해체'로 바꿀 것을 요구했으나 북한이 응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른바 미국이 그동안 요구해온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의 영변시설 폐기를 요구한 셈이다.
[쟁점 2] 북한 "미국,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의 대북적대시정책 폐기해야"
북한은 미국의 이같은 요구에 대해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의 대북적대시정책 폐기'로 맞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의 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인터넷판은 9일 베이징발 기사를 통해 "미국에 의한 '대북 적대시정책'이 돌이킬 수 없는 형태로 폐기되는 것이 핵폐기를 향한 초기단계 조치의 전제조건"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김계관 북한 부상이 8일 기조연설에서 요구한 '테러국 지정 해제'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쟁점 3] 에너지 지원 방식 놓고도 갈등, 중국 초안엔 '경수로' 빠져 있어
북한에 대한 에너지 지원 방식 및 지원 규모를 놓고도 진통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중국 외교소식통은 9일 "중국이 제시한 합의문 초안에는 '북한에 대한 경수로 지원'이란 문구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초안에는 북한이 핵시설을 동결하는 대가로 동결후 중유를 지원한다고 돼 있다"고 밝혔다.
현재 6자회담 참가국은 북한에 지원할 중유의 규모를 놓고 숫자를 계속 수정 중에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쟁점 4] 북한, 일본과의 수교 실무그룹 구성 반대
북한은 미국과의 관계정상화 실무그룹 구성에는 적극 찬성 입장을 밝히면서도, 일본과의 관계정상화 실무그룹 구성은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9일 6자회담에 참가하고 있는 일본대표단 말을 빌어 "북한이 일본과의 국교정상화에 관한 실무그룹 설치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며 "일본측이 납치피해자의 안부 확인을 요구하는 것이 그 이유"라고 전했다.
러시아 수석대표인 로슈카프 외무차관은 이와 관련 9일 기자들과 만나 "일본인 납치문제는 논리적으로 귀결될 때까지 협의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측이 일본과의 실무그룹 설치에 합의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9일 6자회담 논평에서 일본이 6자회담에서 납북문제 해결을 주장한 것에 대해 "많은 나라들이 북-미간 핵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 입장을 공감을 표시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한반도의 핵문제 해결에 관심이 없다"며 "일본은 흐름에 역행하고 있다"고 일본을 맹비난했다.
한편 <지지통신><요미우리> 등 일본언론에 따르면, 중국은 자국이 제시한 합의문 초안이 난항을 겪자 10일 오전 수정안을 제시, 합의도출을 시도할 예정이다. 중국은 늦어도 11일까지는 합의문을 도출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