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83개 민생법안 6월말까지 입법 합의
검찰개혁 위한 사개특위 설치, 개헌특위도 구성키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12일 국민연금관계법, 비정규직관련법 등 83개 법안에 대해 해당 상임위로 이관해 늦어도 6월말까지는 입법화하기로 합의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민주당 문희상 비대위원장 등 여야 6인합의체는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첫 회동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
양당은 특히 국민연금관계법, 비정규직관련법 등 다수 상임위에 걸쳐있는 법안에 대한 효율적 논의를 위해 양당 정책위의장이 지목하는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별도 법안심사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중지를 모으기로 합의했다.
양당은 또한 검찰개혁 등 사법개혁을 위해 법사위에 사개특위를 별도로 설치키로 합의했다.
이밖에 개헌특위 설치안에 합의하고, 기구는 양당 원내대표들의 추가 논의를 통해 구성하기로 했다.
양당은 그러나 4년전인 18대 국회에서도 개헌에 잠정합의함은 물론 국회의장 주재로 헌법연구자문위원회까지 출범시켜 결론까지 도출해놓고선 대선주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유야무야된 바 있다. 양당은 그 이후로도 틈만나면 개헌 이슈를 꺼내들며 합의에 합의를 반복해왔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민주당 문희상 비대위원장 등 여야 6인합의체는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첫 회동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
양당은 특히 국민연금관계법, 비정규직관련법 등 다수 상임위에 걸쳐있는 법안에 대한 효율적 논의를 위해 양당 정책위의장이 지목하는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별도 법안심사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중지를 모으기로 합의했다.
양당은 또한 검찰개혁 등 사법개혁을 위해 법사위에 사개특위를 별도로 설치키로 합의했다.
이밖에 개헌특위 설치안에 합의하고, 기구는 양당 원내대표들의 추가 논의를 통해 구성하기로 했다.
양당은 그러나 4년전인 18대 국회에서도 개헌에 잠정합의함은 물론 국회의장 주재로 헌법연구자문위원회까지 출범시켜 결론까지 도출해놓고선 대선주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유야무야된 바 있다. 양당은 그 이후로도 틈만나면 개헌 이슈를 꺼내들며 합의에 합의를 반복해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