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민주통합당 의원은 12일 안철수 전 교수가 정부조직법 문제에 대해 양비론을 편 데 대해 "정부여당, 국회도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행정권도 장악한 박근혜 정부와 야당을 놓고 둘 다 똑같이 놓고 둘 다 양보하라 하는 건 약간 현실을 도외시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안 전 교수의 양비론에 대해 "안철수 교수의 충정이라고 본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정운영의 책임은 야당에 있는 게 아니고 정부 여당과 청와대에 있는 것"이라며 "그래서 양보하고 협상안을 만들고 야당을 설득하고 국민을 설득하는 게 야당 몫이 아니다. 정부 여당 몫"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안 전 교수의 노원병 독자출마에 대해서도 "일단 한쪽은 분열되고 한쪽은 분열되지 않으면 분열되는 쪽이 불리하겠죠? 그런데 당분간 저희는 야권에서 연합정치는 숙명이다 이렇게 생각한다"며 "저는 (단일화가) 필요하고 가능할 거라고 보는 쪽"이라고 말했다.
그는 "왜냐하면 어제 안철수 교수가 정치공학적인 단일화를 안 하겠다고 했지 단일화 자체를 부정하진 않았다"며 "그 의미를 저는 노원병의 유권자들이 노원병의 야권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단일화 열망이 있으면 그 단일화는 이루어 지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친노책임론에 대해선 "총선 대선을 다 민주당이 져서 일정하게 친노라고 하는 그룹이 약화되는 건 피할 수 없다고 본다"면서도 "친노라는 게 세력으로 모여있다기보다는 노무현 대통령이 내세웠던 가치와 정신에 동의하는 그룹이라, 그거는 뭐 작년 1년 민주당을 대표했던 분들이 조금 약화돼도 민주당 내 다른 그룹이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면서 민주당을 운영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비노 대표주자로 거론되는 김한길 전 대표에 대해서도 "김한길 전 대표님도 친노"라며 "노무현 대통령과 아주 가까우셨고 노무현의 가치와 철학에 동의하는 분"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의 정부조직법 요구는 뭐야, 다 포기하고 청문회하자고 했지, 정부조직법에서 요구하는 것은 없고, 김재철과 청문회를 위한 뒷다리 잡기지, 안철수는 여야당 정치권의 자기 몫 챙기기에 식상한 유권자 표를 얻기 위해 나온거지, 야권 분열로 압박하지 마라, 시민단체란 인간들도 그런 논리로 단일화하라고 압박했지
말 많았던 지난 총선 공천 때 잘못된 공천으로 최민희 이 분이 언급되던 것이 기억 나네요. 명함은 그럴 듯해도 현장 사정 잘 아는 분들 중 개탄하는 사람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정상적인 공천이 이루어졌다면 민주당 의원이 될 수 없었던 분이 설치니 피식 웃음만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