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국민 79% “고시-공무원 시험에 국사 포함해야”

"이웃나라 역사왜곡 대처 위해 역사교육 강화해야"

국민 열 명 중 여덜명(78.9%)은 “고시나 일반 공무원 시험 등 모든 국가직 시험에 국사과목을 포함하거나 확대해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우리 국민의 열 명 중 아홉명(88.7%)에 가까운 사람들은 현재 사회과목에 통합되어 있는 역사과목을 분리해서 가르쳐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국민 90% “이웃나라 역사왜곡 대처 위해 역사교육 강화해야”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 달 22일부터 23일 이틀간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대국민 역사교육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8일 조사결과를 밝혔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종합하면 “우리국민은 역사에 대해 높은 관심은 있었으나 학교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불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국민 중 78.9%가 ‘역사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고, 조사 대상자의 70.5%는 ‘우리 역사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연령,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높았다.

응답자들은 ‘주변국의 역사 왜곡에 대한 대처 능력 제고’와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적으로 역사 교육 강화를 적극 지지(90.3%)하는 것으로 답했다.

“암기식 역사교육이 역사 망친다”

우리 역사에 관한 정보를 보다 많이 얻기 위하여 개선할 사항으로는 ▲학교 역사교육 강화(36.5%) ▲역사체험 공간 제공(27.8%) ▲재미있고 쉬운 역사물 개발ㆍ보급(19.2%) 등을 들었다.

한편 ‘역사교육 강화’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응답자의 88.7%는 ‘현재 사회과목에 통합되어 있는 역사과목 분리’를 꼽았다. 또 응답자의 78.7%는 ‘고시를 포함한 모든 공무원 시험에 국사 포함 확대’를 지지했다.

그러면서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국사과목 필수화 방안’(52.9%)에는 적극적인 지지를 나타내지 않았다.

학교 역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암기식 교육(33.7%) ▲체험 없는 교실 수업(32.0%) 등이 지적됐다.

또 일반 국민의 역사의식 제고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쉽게 풀이한 역사 교양서적 보급’(35.4%), ‘영화-드라마 등 역사 관련 콘텐츠 개발 보급’(24.6%), ‘역사ㆍ문화 강좌 확대’(22.6%) 등을 들었다.

교육부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역사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역사과목 독립, 우수한 역사 교과서 및 보조교재 개발ㆍ보급, 공무원 시험에 국사과목 포함 확대, 현장체험 기회의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