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거시경제 대가 펠프스 교수 수상
"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 이해를 증진시켜"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에드먼드 펠프스(73) 교수에게 돌아갔다.
"거시경제 움직임에 대한 견해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아"
10일 <로이터통신> <AP통신> 등에 따르면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9일(현지시간) "거시경제 정책의 장.단기 효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심화시킨 공로로 펠프스 교수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그의 연구가 경제정책 뿐만 아니라 경제학 연구에서도 결정적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왕립과학원에 따르면 펠프스 교수는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trade off)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펠프스 교수는 지난 1960년대 말에 주류적 경제학 견해였던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안정적 역(逆)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에 도전해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는 등 거시 경제학을 미시적 토대에서 연구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다.
당시만 해도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를 물가를 낮추려면 실업률이 높아지고, 반대로 실업률을 낮추려면 물가가 오르게 마련이라며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그러나 그는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이 떨어지는 현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근로자들이 인플레이션을 자각,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할 것이며, 결국 실업률은 자연수준으로 되오를 것"이라고 반박했다.
실업률을 떨어뜨리기 위해 물가상승을 용인하려는 경기진작책은 사실 고용을 늘리지 못한 채 인플레이션만 유발시킬 것이라며 따라서 물가상승 기대를 제한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내세운 그의 결론은 기존의 학설을 뒤집으며 새로운 경제학의 지평을 개척했다.
펠프스 교수와 뜻을 같이 했던 밀턴 프리드먼은 "일정기간동안 온 국민을 속이거나 일부 국민을 영원히 속이는 것은 가능할 지 모르나, 영원토록 온 국민을 속이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말을 인용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을 통한 실업률 하락정책'을 반대했고, 프리드먼은 펠프스 교수보다 30년 앞선 지난 1976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지난 2000년 미국의 고성장-저물가 현상과 관련해 잠재성장률과 자연실업률(NAIRU; 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는 정도의 실업률 수준) 논쟁이 한창일 때 펠프스 교수는 "1970년대 5% 내외이던 미국의 자연실업률이 1980년대 중반 6.5%까지 상승했으나,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생산성 급증 및 주식시장 활황 등의 영향으로 3.5∼4.0%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그의 분석은 '물가상승 압력이 과거만큼 크지 않으므로 고성장과 저실업에도 불구, 긴축정책을 펼 필요가 없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면서 현실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왕립과학원은 "펠프스 교수는 인플레가 실업률 뿐만 아니라 가격과 임금상승에 대한 회사와 종업원의 기대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했다"면서 소위 '기대조정 필립스곡선'(expectations-augmented phillips curve) 모델을 통해 인플레와 실업률의 상충관계에 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현재의 낮은 인플레가 어떻게 미래의 낮은 인플레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해 기업이나 정부 지도자들의 미래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주었다고 설명했다.
균형실업률을 증명,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준 펠프스 교수의 연구에 대해 왕립과학원은 "그의 연구는 거시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면서 그의 연구는 70년대에 물가와 실업률이 동시 오르는 원인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펠프스 교수는 또 모든 경제정책의 목표인 완전 고용과 안정된 물가, 급성장 사이의 상충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기업에서 새로운 기술과 발전의 확산에 있어 '인적 자본'의 중요성을 분석하는 데 선구자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펠프스 교수는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경제자문단과 미국 재무부, 미 상원 금융위원회,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의 자문역을 역임했다. 경제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계량경제학회, 미국 과학예술아카데미, 뉴욕과학아카데미 회원이기도 하다.
1959년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85년 모교에서 명예상을 받았다. 예일대, 펜실바니아대 교수로 강의한 데 이어 1971년부터 콜럼비아 대학교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경제성장을 위한 재정중립>(1965) <경제성장의 황금법칙>(1966) <고용과 인플레이션 이론의 미시경제학적 토대>(1970년) <거시경제이론 연구 선집>(1980) <정치경제학>(1985) 등이 있다.
펠프스 교수는 이날 <AP통신>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은 했지만 언제 받을지 등은 전혀 몰랐는데 이제 이런 멋진 상을 받았다는 실감이 든다"며 "나는 경제모델 속에 사람들을 넣으려고 노력했으며, 특히 다른 경제 주체들이 미래에 무엇을 할지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를 고려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펠프스 교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으로 올해 노벨상은 받은 6번째 미국인이 됐다. 또 경제학상 부문에서 1999년 환율에 대한 혁신적 분석기법으로 유로화 출범의 기초를 제공한 공로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A. 먼델 이후 첫 단독 수상자이기도 하다.
펠프스 교수에게는 1천만 스웨덴 크로네(약 1백40만 달러)의 상금이 수여되며 시상식은 오는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올해 노벨상 4개 부문 모두 미국인이 독식
지난 2일부터 사흘에 걸쳐 발표된 과학 분야 상은 미국인이 석권하면서 미국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미국 스탠퍼드대 로저 콘버그 교수가 화학상을 받은 것을 비롯, 생리의학상은 스탠퍼드대 앤드루 파이어 교수와 매사추세츠대 의대 크레이그 멜로 교수가 선정됐다.
물리학상 역시 미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존 매더 박사와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조지 스무트 교수가 받았다.
노벨상은 2일 의학상을 시작으로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9일 경제학상이 발표된 데 이어 문학상은 12일, 평화상은 13일 발표될 예정이다.
"거시경제 움직임에 대한 견해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아"
10일 <로이터통신> <AP통신> 등에 따르면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9일(현지시간) "거시경제 정책의 장.단기 효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심화시킨 공로로 펠프스 교수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그의 연구가 경제정책 뿐만 아니라 경제학 연구에서도 결정적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왕립과학원에 따르면 펠프스 교수는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trade off)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펠프스 교수는 지난 1960년대 말에 주류적 경제학 견해였던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안정적 역(逆)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에 도전해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는 등 거시 경제학을 미시적 토대에서 연구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다.
당시만 해도 인플레와 실업률 사이의 상충관계를 물가를 낮추려면 실업률이 높아지고, 반대로 실업률을 낮추려면 물가가 오르게 마련이라며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그러나 그는 "물가가 오르고 실업률이 떨어지는 현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근로자들이 인플레이션을 자각,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요구할 것이며, 결국 실업률은 자연수준으로 되오를 것"이라고 반박했다.
실업률을 떨어뜨리기 위해 물가상승을 용인하려는 경기진작책은 사실 고용을 늘리지 못한 채 인플레이션만 유발시킬 것이라며 따라서 물가상승 기대를 제한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내세운 그의 결론은 기존의 학설을 뒤집으며 새로운 경제학의 지평을 개척했다.
펠프스 교수와 뜻을 같이 했던 밀턴 프리드먼은 "일정기간동안 온 국민을 속이거나 일부 국민을 영원히 속이는 것은 가능할 지 모르나, 영원토록 온 국민을 속이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말을 인용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을 통한 실업률 하락정책'을 반대했고, 프리드먼은 펠프스 교수보다 30년 앞선 지난 1976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지난 2000년 미국의 고성장-저물가 현상과 관련해 잠재성장률과 자연실업률(NAIRU; 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는 정도의 실업률 수준) 논쟁이 한창일 때 펠프스 교수는 "1970년대 5% 내외이던 미국의 자연실업률이 1980년대 중반 6.5%까지 상승했으나,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와 생산성 급증 및 주식시장 활황 등의 영향으로 3.5∼4.0%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그의 분석은 '물가상승 압력이 과거만큼 크지 않으므로 고성장과 저실업에도 불구, 긴축정책을 펼 필요가 없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면서 현실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왕립과학원은 "펠프스 교수는 인플레가 실업률 뿐만 아니라 가격과 임금상승에 대한 회사와 종업원의 기대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했다"면서 소위 '기대조정 필립스곡선'(expectations-augmented phillips curve) 모델을 통해 인플레와 실업률의 상충관계에 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현재의 낮은 인플레가 어떻게 미래의 낮은 인플레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해 기업이나 정부 지도자들의 미래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주었다고 설명했다.
균형실업률을 증명,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준 펠프스 교수의 연구에 대해 왕립과학원은 "그의 연구는 거시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면서 그의 연구는 70년대에 물가와 실업률이 동시 오르는 원인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펠프스 교수는 또 모든 경제정책의 목표인 완전 고용과 안정된 물가, 급성장 사이의 상충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기업에서 새로운 기술과 발전의 확산에 있어 '인적 자본'의 중요성을 분석하는 데 선구자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펠프스 교수는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경제자문단과 미국 재무부, 미 상원 금융위원회,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의 자문역을 역임했다. 경제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계량경제학회, 미국 과학예술아카데미, 뉴욕과학아카데미 회원이기도 하다.
1959년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1985년 모교에서 명예상을 받았다. 예일대, 펜실바니아대 교수로 강의한 데 이어 1971년부터 콜럼비아 대학교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경제성장을 위한 재정중립>(1965) <경제성장의 황금법칙>(1966) <고용과 인플레이션 이론의 미시경제학적 토대>(1970년) <거시경제이론 연구 선집>(1980) <정치경제학>(1985) 등이 있다.
펠프스 교수는 이날 <AP통신>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노벨상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은 했지만 언제 받을지 등은 전혀 몰랐는데 이제 이런 멋진 상을 받았다는 실감이 든다"며 "나는 경제모델 속에 사람들을 넣으려고 노력했으며, 특히 다른 경제 주체들이 미래에 무엇을 할지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를 고려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펠프스 교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으로 올해 노벨상은 받은 6번째 미국인이 됐다. 또 경제학상 부문에서 1999년 환율에 대한 혁신적 분석기법으로 유로화 출범의 기초를 제공한 공로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A. 먼델 이후 첫 단독 수상자이기도 하다.
펠프스 교수에게는 1천만 스웨덴 크로네(약 1백40만 달러)의 상금이 수여되며 시상식은 오는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올해 노벨상 4개 부문 모두 미국인이 독식
지난 2일부터 사흘에 걸쳐 발표된 과학 분야 상은 미국인이 석권하면서 미국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미국 스탠퍼드대 로저 콘버그 교수가 화학상을 받은 것을 비롯, 생리의학상은 스탠퍼드대 앤드루 파이어 교수와 매사추세츠대 의대 크레이그 멜로 교수가 선정됐다.
물리학상 역시 미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존 매더 박사와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조지 스무트 교수가 받았다.
노벨상은 2일 의학상을 시작으로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9일 경제학상이 발표된 데 이어 문학상은 12일, 평화상은 13일 발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