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백령도주민 "초계함 다가온 건 처음", 김태영 국방과 상반

김태영 국방 "15번 근접했다"고 상반된 주장

지난 26일 천안함 침몰사고가 난 인천 백령도 근해가 해군 초계함의 ‘통상적인’ 작전구역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왔다.

29일 백령도 주민과 해경 등의 말을 들어보면, 사고 해역은 해심이 얕아 1천200t급 초계함 항로로는 적절하지 않다. 또 인천시 옹진군 대청도와 백령도 사이 해협이어서 조류가 빨라 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백령도 주민 조모(47)씨는 “이 섬에 태어나 살면서 대형 초계함이 백령도 앞 1마일(약 1.8km)까지 다가온 것을 본 것은 처음”이라며 “왜 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침수 직전 심각한 문제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라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천안함 침몰해역의 수심이 24m 정도로 알려졌지만, 썰물 때에는 4m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얕은 곳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규모가 작은 고속정은 백령도 가까이 오기도 한다. 하지만, 대형 초계함이 백령도 근해로 오는 것이 매우 드문 일이라고 주민들은 말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초계함의 때아닌(?) 출현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초계함이 사고를 당한 해역은 해군 작전구역에 해당하지만, 침몰 당시 백령도와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접근 및 침몰경위에 의구심을 갖는 것은 군도 마찬가지이다.

군 관계자는 “사고원인도 원인이지만 침몰위치를 주목하고 있다”며 “당시 기상이 갑자기 나빠져 피항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해상 치안.구조활동을 위해 해군과 자주 협조하는 해경 역시 대형 초계함이 거센 물살과 높은 파도를 피하려고 항구나 섬 주변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거의 본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해경 관계자는 “초계함은 고속정보다 기상 영향을 적게 받아 피항 개념이 잘 들어맞지 않는다”며 “침몰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8 개 있습니다.

  • 1 0
    하하하

    이제 안되니까 피항이래.. 그 큰배를 수심도 얕은 지역으로 몰고 갔는데 상부에 보고도 안했을까? 군함이 그런데 들어가면 상황보고 꼬박꼬박 해야할텐데.. 숨기는게 많으면 변명이 변명을 낳는 법이지.. 이해할 수 없는 구조작전은 어떻게 설명하려나? 어군탐지기도 잡는 선미를 해군함정이 못 찾는다? 지금이 석기시대인가? 잠수부로 침몰한 배 찾게.. 한심하다..

  • 5 0
    베이스타스

    이 정권은 거짓말로 정권을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언젠가는 거짓말로 망한다는것을 국민들이 본때를 보여주어야해.....

  • 2 0
    거짓말싫어

    요놈 정권의 하수인들은 주인이 거짓말장이라 그런지 말만하면 거짓말이야!!! 거짓말장이는 모두 축출하여야!!!!!!!!!!!!!!!

  • 0 0
    111

    구축함도 올라왔을거라 여겨진다

  • 3 1
    워매답답해라

    김태영이가 해군의 보고만 믿고 어설픈 확신을 하는듯.........

  • 1 0
    서해전쟁 교육계 비

    서해에서는 전쟁 교육계에서는 사기 비리 수사 대상자는 현직 교장만 48명이다. 전직 교장이 5명이나 포함됐고 조사대상에 올라있는 또 다른 전ㆍ현직 교장도 104명에 달한다.검찰의 서울시교육청 시설ㆍ인사비리 수사에서 전직 교육감을 포함한 장학관, 장학사 등 교직원 40명가량

  • 40 0
    상극

    질린다 질려. 뭐 이렇게 감추는 게 많냐. 아무튼 솔직, 정직, 진실 이런것과는 애시당초 상극정권 이다. 젊은 군인 46명이 숨진 이 마당에 그렇게 악착같이 감추고 덮어야 할 뭐가 있는거냐..

  • 1 1
    키르케

    기쁨조 인어가 유혹한거여. 노랫소리로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