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중국은 통화량 조절에 들어갔건만...

[송기균의 '마켓 뷰'] '자산 버블'에 따른 은행부실 우려

지난 4월 중국의 은행대출이 그 전달의 3분의1 이하로 대폭 축소되었다. 은행대출이 바로 통화량을 결정하는 변수이므로 중국정부가 과다한 통화량 공급에 제동을 걸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은행들은 올 1분기에만 2007년 연간 대출총액을 능가하는 대출을 공급하였고, 그 결과 통화량은 급증하였다. 1분기에 공급된 은행대출의 대부분은 중국정부의 경기부양을 위한 사회간접자본투자에 공급되었다. 그 결과 올해 4월까지 주요 도시의 고정설비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30.5%나 증가하였다.

중국정부의 공격적인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중국경제가 아직도 경기회복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제지표들이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은 6.1%로 2007년 성장률 13%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중국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 온 수출은 더 심각하다. 수출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4월 수출은 전년 대비 22.6% 감소하여 그 전달의 17.1% 감소보다 크게 악화되었다.

수출이 급격히 악화됨에 따라 내수를 살려 경기하강을 완화하겠다는 것이 중국정부의 정책방향이다. 이처럼 내수부양을 위해서는 통화량을 적극 늘려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대출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지난 4월 대출이 전달의 3분의 1 이하로 급감한 것은 다른 사정이 있기 때문이다.

통화량이 급증하여 시중 유동성이 크게 늘면 자산버블이 발생하고 향후 은행의 부실채권이 급증할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지난 4월 1.5% 하락하였다. 3월의 1.2% 하락보다 물가 하락세가 급격해졌다. 이처럼 중국경제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전혀 없는데도 통화량 급증에 제동을 건 것은 바로 자산가격 버블을 우려한 때문이다.

19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 정책기조를 바꿀 타이밍이 절대 아니며 아마도 올해는 유동성을 회수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하강 위험보다 자산가격 버블 위험을 중시하여 통화량 조절에 들어 간 중국과 경기회복을 위해 과잉 유동성을 방치하겠다는 우리 정부정책이 뚜렷이 대비된다.

필자 약력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1982), 동원증권 런던현지법인 대표, 코스닥시장 상장팀장, 코스모창업투자 대표, 경기신용보증재단 신용보증본부장, (현) 기업금융연구소 소장. 저서 <불황에서 살아남는 금융의 기술>
송기균 기업금융연구소장

댓글이 7 개 있습니다.

  • 14 7
    노경

    금본위제
    쑹훙빙은 글로벌 경제위기의 주범이 '미국 달러화'때문이라고 그의 저서 ◇화폐전쟁◇에서 지적했는데 달러 기반의 금융시스템을 제대로 감시할수가 없기때문이라고 한다. 금을 결제수단으로 쓰면 과연 경제시스템이 안정될수 있을까요???

  • 17 22
    호수

    거품경제(포말경제 : 泡沫&#32463;&#27982;)
    거품경제의 정의는
    '투기 거래가 극도로 활발하여 금융, 증권, 부동산 등의
    시장가격이 실제 시세를 벗어나 크게 상승하여
    표면적으로는 호경기로 보이는 경제 현상' 이라고 한다.
    일본은 90년대에 거품경제가 출현했었고,
    중국도 08년 베이징 올림픽 준비하기전,
    06,07년부터 시작 부동산 과열 및 증시 과열 현상이 있었다.
    경제적 내수 기반이 약한 한국만이 반복(올림픽,IT,부동산,녹색)되는 것 같다.
    거품경제의 끝은 Black hole,
    모든 것을 다 빨아들이고 껍질과 앙상한 뼈만 남긴다.
    태풍보다 허리케인보다 쓰나미보다 더 무서운 것이 거품이다.
    기획경제부와 한국은행간의 통화량에 대한 견해차이가 있다.
    그래서 더욱 정부보다 한 개인이 그리고 전문가들이
    나라경제에 대해 더 걱정이다.
    정부당국자들은 말한다 "기우" 라고,,
    우리서민은 체감경제(피부로 느끼는 경제)상황 인데도 말이다.
    한국국민들에게 거품이 신종플루(H1N1)로 번지지만 말기를 바란다.

  • 9 14
    111

    지금은 중국이 하는것처럼 유동성 조절로 줄여야 할때
    더 큰 화가 오기전에......중국은... 인플레이션 에 대비하는것이다.
    중국도 수입국가 에너지 과다 수입국가.수출의존도너무 높은국가.

  • 23 8
    111

    쿠바에 러시아 전폭기가 주둔하고
    쿠바와 러시아는 무역을 하고 있다
    서로돕고 산다. 북한은 무기를 팔면서 약소국 안보를스스로 지키게 만들어주고 식량을 수입한다.

  • 8 21
    111

    21세근 에너지와 자원부국이 세상을 이끌어간다. 미제와 그똘마니들이 아니다...
    제3세계국가 반미국가들.. 현재 대세의 흐름이다..
    새로운 교역과 새로운질서 와 새로운 군사라인.
    .중국과이란 송유관건설을 하면 아프칸을 지나가야 하지
    아프칸도 부자되.

  • 27 7
    111

    군사패권으로 기득권을 유지하지 못한다.
    전세계가 150개국이 넘는다.... 전부 핵을 가지게 된다
    군사패권이라는 사라진다....
    오로지 경제....

  • 11 20
    111

    중국경제는 자본주의 물을 먹은 경제로
    철저하게 내수기반 100% 경제가 아니다.
    수출의존에 살아가는 한국과 다를바 없다.
    대국이 되려면 내수기반으로 바꿔야 한다
    자립도라 한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