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준 "대통령 권위 완전히 무너졌다"
"주변에서 지금 정부에 들어가지 말라더라"
차기 대통령실장 후보로 거명되는 윤여준 전 의원이 10일 “주변에서 MB 정부에 지금 들어가지 말라는 조언하더라"며 이명박 정부에 합류할 생각이 없음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윤 전 의원은 이날 <시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정부의 인식이 근본적으로 생각이 바뀌지 않는 한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최근 위기와 관련,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지도자 반열에 있는 사람이 현실적 변화의 실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게 문제”라며 “국정 쇄신책으로 국민의 표적이 되고 있는 사람 몇 사람 물러나는 것으로 해결된다고 보지 않는다”며 일부 인적 교체를 통해선 현 위기를 해소할 수 없음을 지적했다.
그는 “언론에 나타나는 걸 보면 청와대가 뭔가 잘못 생각하는 것 같다"며 "진정성 있는 국면 못 만들어내면 오늘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촛불시위로 나타난 국민 정서는) 쇠고기나 대운하가 문제의 핵심은 아니다. 정권이 상실한 신뢰와 권위를 회복하는 일이 관건”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의 상황이 매우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조중동까지 청와대와 내각의 전면적 개편을 요구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내각과 청와대 쇄신이 진정성을 보인다면 국민 민심이 진정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권위를 잃는 것은 순식간이지만 회복하기는 어렵다”며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천천히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국정최고 책임자의 권위가 완전히 무너졌다는 측면에서 민주주의의 위기라고 생각한다. 자질 여부 떠나서 국정 최고지도자의 민주적 권위가 인정 안 되면 민주주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새롭게 민주적 권위 세우기에 나서야 할 때다. 이를 위해 학계, 종교계 등 지도자들이 깊이 고민하고 국민한테 호소하는 움직임을 통해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이날 보수단체들이 개최하는 촛불 맞불집회에 대해서도 “규모나 진정성에 있어서 비교가 되겠느냐”며 “정치적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윤 전 의원은 이날 <시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정부의 인식이 근본적으로 생각이 바뀌지 않는 한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최근 위기와 관련,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지도자 반열에 있는 사람이 현실적 변화의 실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게 문제”라며 “국정 쇄신책으로 국민의 표적이 되고 있는 사람 몇 사람 물러나는 것으로 해결된다고 보지 않는다”며 일부 인적 교체를 통해선 현 위기를 해소할 수 없음을 지적했다.
그는 “언론에 나타나는 걸 보면 청와대가 뭔가 잘못 생각하는 것 같다"며 "진정성 있는 국면 못 만들어내면 오늘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촛불시위로 나타난 국민 정서는) 쇠고기나 대운하가 문제의 핵심은 아니다. 정권이 상실한 신뢰와 권위를 회복하는 일이 관건”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의 상황이 매우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조중동까지 청와대와 내각의 전면적 개편을 요구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내각과 청와대 쇄신이 진정성을 보인다면 국민 민심이 진정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권위를 잃는 것은 순식간이지만 회복하기는 어렵다”며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천천히 풀어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국정최고 책임자의 권위가 완전히 무너졌다는 측면에서 민주주의의 위기라고 생각한다. 자질 여부 떠나서 국정 최고지도자의 민주적 권위가 인정 안 되면 민주주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새롭게 민주적 권위 세우기에 나서야 할 때다. 이를 위해 학계, 종교계 등 지도자들이 깊이 고민하고 국민한테 호소하는 움직임을 통해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이날 보수단체들이 개최하는 촛불 맞불집회에 대해서도 “규모나 진정성에 있어서 비교가 되겠느냐”며 “정치적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