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신간] "MB는 36가지 전략으로 도덕성 검증 빠져나갔다"

허만섭 기자의 <이명박, 절반의 정직> "MB는 네거티브 피해자 아니었다"

"'이명박은 네거티브의 최대 피해자’라는 고정관념은 허구다. 이명박 측은 뒤지던 박근혜 측보다 네거티브를 오히려 더 빈번히(19.4%포인트) 실행했고 사실입증 근거를 덜(8.9%포인트) 제시했으며 상대편에 대해 모욕적 표현을 더(26.7%포인트) 자주 사용했다."

허만섭 <신동아> 기자가 최근 펴낸 <이명박, 절반의 정직>(디오네 간)이란 저서에서 도달한 결론이다.

허 기자는 지난해 한나라당 경선때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선거 캠페인 목적으로 배포한 ‘보도 자료’ 654건 및 이를 인용 보도한 언론 기사를 통계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박근혜 측은 도곡동, BBK 등 26개 공격 소재로 ‘이명박 도덕성 검증’ 공세를 폈다. 그러자 이명박 측은 제3의 대상인 노무현 정부를 표적으로 ‘이명박 죽이기’ 네거티브를 실행했다. 이명박 죽이기란 “국정원이 이명박 후보 주변을 뒷조사하는 등 노무현 정권이 이명박 죽이기를 하고 있다”는 공세였다.

필자에 따르면, 상대편의 네거티브를 다른 네거티브로 차단하는 이 전략은 여론의 향배를 돌려 이명박 대통령의 한나라당 경선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죽이기’가 실제로 존재한 진실이었는지 여부는 대선 이후에도 판명되지 않았다.

‘1위 후보자는 포지티브 의존, 2위 후보자는 네거티브 의존’이라는 선거 캠페인 도식은 성립하지 않았다. 이 대통령 측은 필요에 따라 네거티브도 적극 활용한 네거티브의 최대 수혜자였다. 박근혜 전 대표 측이 도리어 더 ‘정직’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공직에 출마한 뒤 무수히 많은 ‘도덕성 검증’, ‘진실 검증’의 위기를 맞았지만 이 같은 여러 수단&#8228;방법을 동원하여 유유히 극복하고 대통령의 자리를 쟁취했다. 지은이는 그 요체를 ‘절반의 정직’이라고 규정한다. 이는 도덕성 정면대결로는 승산이 없을 때 ‘정직하다’는 평판과 ‘정직하지 않다’는 평판의 중간지대에 섬으로써 ‘도덕성 검증’의 위기로부터 자신의 이미지를 지켜내는 방식이다. 또한 ‘진실’을 다 채우지 않고도 상대편을 설득해 내는 방식이다.

다른 사람의 부도덕을 비판하고 정의를 강변하는 도덕군자는 약간의 도덕적 흠에도 치명상을 입게 된다. 반면 부도덕한 사람으로 낙인찍히면 그것으로 공직의 꿈은 끝이 난다. 절반의 정직은 이 둘 사이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 측의 목표는 ‘도덕의 실천’이 아니었고 ‘도덕성 검증’이라는 명분 뒤에 ‘야수의 발톱’이 감춰져 있다고 보았기에 ‘도덕에 비껴서는’ 전략, ‘도덕을 덜 중요한 가치로 인식시키는’ 전략을 취한 것이다. 예컨대 이명박 대통령 측은 “대선은 도덕군자를 뽑는 게 아니다”면서 도덕의 가치를 낮추는 전략을 실행했다. 여기엔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기도 했다.

필자는 이와 관련, 이 대통령 측이 실제로 실행하여 성공을 거둔 36가지 ‘도덕성 검증 탈출 전략’과 4가지 ‘언론&#8228;유권자 설득 모델’을 설명하고 있다.

4가지 언론-유권자 설득 모델은 1. 상대가 관심 갖도록 구체적 사건화 하여 자신의 주장을 이야기하기(사건화). 2. 진실로 보이게끔 정황 근거(직접 경험, 실명 증언, 문서, 수치화, 유사사례, 선행보도, 과거 기사)를 대며 이야기하기(정황근거). 3. 상대에게도 중요하고 큰 함의가 있는 것처럼 이야기하기(상식). 4. 상대가 동화되어 마음에서 우러나 내편이 되도록 이야기하기(감성)이다. 이런 방식으로 하면 언론은 적극적으로 기사화하고 유권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태도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더 주목을 끄는 건 이명박 대통령 측의 36가지 ‘도덕성 검증’ 탈출 전략이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같은 <절반의 정직>이 집권 성공에는 기여했으나, 집권후 상황을 보면 국정운영에 적잖은 어려움을 자초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느낌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다음은 필자가 지적한 36가지 '도덕성 검증' 탈출 전략.

1. 도덕적 약점이 있음을 미리 고백한다.
2. 구체적 사안이 아닌 포괄적으로 고백한다.
3. 루머의 인터넷 확산을 초기에 제압한다.
4. 자신 있는 부분만 해명한다.
5. 부분적 사실로 전체의 진실성을 대체한다.
6. 도덕의 가치를 낮춘다.
7. 남의 도덕적 흠을 말하지 않는다.
8. 동조자가 없는 검증 공격은 무시한다.
9. 공격받은 내용이 사실이면 재빨리 시인하고 사과한다.
10. 시인은 간략하게 하여 사건을 무미건조하게 한다.
11. 공격받은 내용의 사회적 함의가 크지 않다는 점을 부각한다.
12. 필요할 경우 공격자의 전략을 폭로하거나 공격자의 도덕적 약점을 공격해 맞불을 놓는다.
13. 필요할 경우 공격예상자를 선제공격한다.
14. 공격받은 내용의 진실 여부를 판별할 평가권을 갖는다.
15. 공격자의 조사권을 무력화한다.
16. 사건 관계인을 우군화 한다.
17. 내부 충성심과 역량을 강화한다.
18. 자신을 피해자로 인식시킨다.
19. 말 바꾸기를 하지 않고 태도와 논리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20. 공격받은 내용 중 논리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을 집중 반박한다.
21. 유리한 용어를 사용한다.
22. 사건을 한마디로 알기 쉽게 규정한다.
23. 단순 명쾌한 표현으로 반박한다.
24. 공격의 핵심 논리를 허물어 큰불을 잡는다.
25. 반드시 도덕성 검증을 극복해 목표를 성취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26. 언론과 유권자에게 금전적 피해를 주거나 줄 것을 암시하는 언행을 하지 않는다. 27. 공격자가 도덕 명분론에만 빠져 유권자의 실질적(금전적) 이익을 침해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28. 유권자에게 실질적 이익을 주는 비전을 제시한다.
29. 자신의 주장이 사회의 보편적 시류와 일치함을 강조한다.
30. 네거티브를 당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갖는다.
31. 솔직함과 해석력으로 상황을 유리하게 해석한다.
32. 정황근거를 풍부하게 제시하고, 제시된 이상으로 과장하여 의미부여하지 않는다.
33. 일반인의 상식과 정서에 부합하는 용어로 해명한다.
34. 오만하다는 인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35. 제3의 대상을 공격하여 네거티브를 네거티브로 차단한다.
36. 운(運)의 영역을 인정한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0 0
    봄향기

    https://youtu.be/qaqvPsGXO2k
    수고 많으셨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 30 16
    국민심판

    문제는 죽어가는 국민이다 !
    진짜 큰일이다..
    이건 어느 구멍가게 장사꾼의 얘기가 아니다..
    바로 6천만 대한민국 국민의 생사를 결정할 대갈통 얘기 !
    부끄럽고..
    슬프고..
    암울할 뿐이다

  • 57 32
    미안하다 손가락 자르고싶다

    장사꾼 출신이 그렇지 뭐
    장삿꾼 출신은 사기꾼이나 마찬가지인데 장똘뱅이를 뽑았다고 좋아했던게 우리 국미늘이다. 땅을 칠 노릇이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