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 “차기정부, 노동자 희생 강요말라”
“정책협약 본질 벗어나면 투쟁 나설 수밖에 없다”
한국노총의 22대 위원장으로 선출된 장석춘 위원장은 29일 노동조합의 핵심 과제를 비정규직 문제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또 차기정부와의 관계에 대해 정책협약의 실제 이행을 강조하며 본질을 벗어갈 경우 강력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당선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노총은 유례없는 정책연대를 차기정부와 맺었기 때문에 부담감도 있다”며 “하지만 차기 정부가 한국노총을 배제하고 경제를 발전시키는 한축인 노동자 배제하고 희생을 강요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정책협약 본질을 벗어나는 것이며 한국노총의 강한 투쟁을 불러올 수 있다”며 “한국노총은 차기정부와 정책협의에 대한 협의뿐 아니라 이행확인을 철저하게 점검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노동계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는 차기정부의 공공부문 개혁안에 대해서도 “어느 정권이든 가장 손쉬운 부분이 공공부문이고 국민에게 어필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정부안이 다 옳지는 않다”며 “차기정부와 하나하나 사안을 놓고 우리가 처한 입장에 대해 이해시킬 것은 이해시키고 정부안이 무리수가 된다면 투쟁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차기정부의 노동운동 방향에 대해선 “예전 20, 30년전 노동운동이 아닌 패러다임전환을 해야한다. 대중지지 못받는 노동운동은 도태된다”며 “사회개혁조합주의 뿌리내리려면 관이 주도하는 형태의 대타협을 노사가 주도하고 관은 옆에서 어드바이스 해주는 역할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새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조에게 임금양보를 요구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경제를 성장시킨다면서 경제 한축인 노동자의 희생을 음으로 양으로 강요해서는 안된다”며 “임금을 자제하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수긍할 수 있는 측면이 많지 않다.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아직 정부는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안도 못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 위원장은 전날 민주노총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간담회 무산에 대해선 “안타깝다. 민노총 조합원들도 엄연한 경제 한축인데 당선자가 (이석행 위원장의)수배 때문에 안만난다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빨리 성사가 돼서 민노총 지도부와 당선자가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민주노총은 노사관계로드맵을 처리할 때 한국노총을 인정하지 않고 비난했다. 위원장 폭행도 했는데 기본적인 사과도 하지 않았다”며 “이런 것에 대한 태도 변화를 촉구한다. 양대노총이 합쳐도 자본과 권력보다 약한데 안타까움이 있다”고 민주노총에 쓴소리를 했다.
장 위원장은 또 차기정부와의 관계에 대해 정책협약의 실제 이행을 강조하며 본질을 벗어갈 경우 강력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당선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노총은 유례없는 정책연대를 차기정부와 맺었기 때문에 부담감도 있다”며 “하지만 차기 정부가 한국노총을 배제하고 경제를 발전시키는 한축인 노동자 배제하고 희생을 강요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정책협약 본질을 벗어나는 것이며 한국노총의 강한 투쟁을 불러올 수 있다”며 “한국노총은 차기정부와 정책협의에 대한 협의뿐 아니라 이행확인을 철저하게 점검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노동계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는 차기정부의 공공부문 개혁안에 대해서도 “어느 정권이든 가장 손쉬운 부분이 공공부문이고 국민에게 어필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정부안이 다 옳지는 않다”며 “차기정부와 하나하나 사안을 놓고 우리가 처한 입장에 대해 이해시킬 것은 이해시키고 정부안이 무리수가 된다면 투쟁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차기정부의 노동운동 방향에 대해선 “예전 20, 30년전 노동운동이 아닌 패러다임전환을 해야한다. 대중지지 못받는 노동운동은 도태된다”며 “사회개혁조합주의 뿌리내리려면 관이 주도하는 형태의 대타협을 노사가 주도하고 관은 옆에서 어드바이스 해주는 역할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새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조에게 임금양보를 요구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경제를 성장시킨다면서 경제 한축인 노동자의 희생을 음으로 양으로 강요해서는 안된다”며 “임금을 자제하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수긍할 수 있는 측면이 많지 않다.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아직 정부는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안도 못 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 위원장은 전날 민주노총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간담회 무산에 대해선 “안타깝다. 민노총 조합원들도 엄연한 경제 한축인데 당선자가 (이석행 위원장의)수배 때문에 안만난다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빨리 성사가 돼서 민노총 지도부와 당선자가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민주노총은 노사관계로드맵을 처리할 때 한국노총을 인정하지 않고 비난했다. 위원장 폭행도 했는데 기본적인 사과도 하지 않았다”며 “이런 것에 대한 태도 변화를 촉구한다. 양대노총이 합쳐도 자본과 권력보다 약한데 안타까움이 있다”고 민주노총에 쓴소리를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