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삼성전자, 2.4조 들여 플랙트 인수. '제2의 하만' 기대

플랙트는 유럽 최대 공조기업. AI시대 맞아 공조 수요 급증

삼성전자가 유럽 최대 냉난방 공조기기 업체인 독일 플랙트그룹을 전격 인수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로봇, 자율주행, 확장현실(XR) 등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공조 수요가 계속 급성장할 것으로 판단, 신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공조시장에도 진출하기로 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중인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유로(우리돈 2조4천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조단위 인수합병(M&A)은 2017년 전장·오디오 자회사 하만 인수후 8년 만이다. 인수 첫해인 2017년 하만의 영업이익은 600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1조3천억원을 기록하며 '빅히트' 인수 성공 사례로 꼽힌다.

플랙트는 1918년 설립된 100년 역사의 글로벌 공조 기업으로, 고객별 니즈에 맞춘 제품과 설루션을 공급할 수 있는 라인업과 설계 역량을 갖췄다.

그간 ▲ 안정적 냉방이 필수인 대형 데이터센터 ▲ 민감한 고서·유물을 관리하는 박물관·도서관 ▲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터미널 ▲ 항균·항온·항습이 중요한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 설비를 공급해왔고, AI시대를 맞아서는 글로벌 대형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공조사업 중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 대상 중앙공조 시장은 2024년 610억달러에서 2030년 990억 달러로 연평균 8%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로 공조 시장을 이끌 전망이다.

플랙트는 데이터센터 외에도 글로벌 톱 제약사, 헬스케어, 식음료, 플랜트 등 분야에서 60개 이상의 폭넓은 대형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면서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0 0
    동학의 햇불

    한 우물만 파라.
    니들 그러다 한방에 훅 간다.
    전장에 공조에 그 다음은 자동차 기업 또 인수?
    선택과 집중을 해도 하이닉스에 개발리고 2위로 내려 앉은 판국에...

  • 1 0
    잘했다

    이번에 현엔 완전히 없애줘라.
    맨날 짓다가 무너지는 현x엔지니어링, 무능 병진들, 싹 없애라.

  • 3 0
    한심한 문어발이냐

    아니면 해외 돈 빨래냐
    이러니 tsmc는 고사하고 마이크론한테도 발리지
    하여간 능력없는 얘들은 남달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