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커지는 건설·부동산발 금융불안…2금융권 부실지표 9년 내 최악

두 업종 연체율·고정이하비율 집계 이래 최고…20% 육박하기도

높은 수준의 금리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건설·부동산 업종의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불안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의 두 업종 관련 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 등 건전성 악화 지표가 불과 2년 사이 5∼9배로 뛰면서 나란히 집계 이래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올해 초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 개시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를 한고비 넘겼지만, 여전히 건설·부동산업발 금융 위기의 불씨가 살아 있는 만큼 적극적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 건설·부동산 금융권 대출 617조 '역대 최대'…2년새 15%↑

14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전체 금융권(은행+비은행)의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각 116조2천억원(55조5천억+60조7천억원), 500조6천억원(309조1천억+191조4천억원)에 이른다.

이 통계는 금융기관들이 제출한 업무보고서에 기재된 실제 대출·연체 등 현황을 집계한 결과다. 비은행권에는 저축은행,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제외), 보험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가 포함됐다.

두 업종의 잔액 모두 한은이 해당 업종 대출 통계를 금융업권별로 나눠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사실상 역대 최대 규모다.

1년 전 지난해 1분기(건설업 112조1천억원·부동산업 478조2천억원)보다 각 3.66%, 4.68% 늘었고 2022년 1분기(101조4천억원·437조2천억원)와 비교하면 2년 새 14.60%, 14.50% 증가했다.

◇ 저축은행 건설업 고정이하비율 19.8%…2년새 9배로

대출 규모뿐 아니라 부실대출 지표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준이다.

특히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올해 1분기 기준 각 7.42%, 5.86%로, 역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다.

2023년 1분기(3.38%·3.15%) 이후 1년간 각 2.2배, 1,9배로, 2022년 1분기(1.79%·1.31%) 이후 2년간 각 4.2배, 4.5배로 뛰었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건설업이 19.75%, 부동산업은 14.26%에 이르렀다.

역시 최고 기록일 뿐 아니라, 건설업의 경우 1년 전(4.41%)이나 2년 전(2.22%)의 무려 4.5배, 8.9배 수준이다. 저축은행 사태 직후 2013년 건설업종의 이 비율이 30%를 웃돌았는데, 당시 수준에 빠르게 근접하는 셈이다.

부동산업도 최근 1년, 2년 사이 각 3.3배(4.36%→14.26%), 7.8배(1.82%→14.26%)로 치솟았다.

2금융권보다 상대적으로 부동산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적은 은행권에서조차 건설·부동산업 연체율(1.01%·0.24%)은 2016년 3분기(1.37%), 2019년 1분기(0.24%) 이후 각 7년 6개월,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은행권의 건설·부동산 업종 고정이하여신비율(1.85%·0.40%)도 2019년 2분기(2.07%), 2019년 3분기(0.42%) 이후 각 4년 9개월, 4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 한은 "비은행권 연체율 빠르게 상승…부실자산 경공매 등 위험관리 필요"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부동산PF 익스포저는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직면한 주요 위험 중 하나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부동산 시장 부진 지속과 건설 원가 상승 등으로 부실 위험은 다소 증대된 상황"이라며 "충당금 적립 확대, 자본 확충 등으로 금융기관 손실 흡수능력이 커진 점을 고려하면 PF 사업장 잠재 위험이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동시에 "일부 비은행업권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부실자산에 대한 경·공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라고도 강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앞서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부동산 PF 위험과 관련한 질문에 "전체적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많이 줄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몇몇 기관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다.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런 우려에 대해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경·공매 추진, 자체 상각 등으로 건전성 관리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0 0
    부동산 불패 불나방 그래도 부동산

    과도한 빛으로 부동산 돈번다
    우리나라 GDP대비 세계 넘버원 아니
    그것도 전세자금 1000조 뺀 넘버원
    어떻게 빛투해서 부동산 매입
    소비못하고 빛갚는데 모든 수입 다쓰고
    부동산 가격이 오르겠니
    세계 최저 출산율 0.6%대 이게 나리니
    부동산불패 밑고 투자한 젊은친구들
    정부도, 언론도, 연예인 부동산 스타마케팅
    모두 뻥이고 오뢰지
    현금이 최고여 곧 중국일본

  • 2 0
    문제앙

    가자, 요덕으로

  • 2 0
    언론사 <= 건설사 대주주

    기레기 홀짓에 당하면 니덜 인생은 종친다 -

  • 3 0
    부동산은 이제 끝물이야

    더 이상 개호구가 받아주질 않아
    대출받아 나락으로 뒈질놈이 이제 읍어 -~ 알겠쥐?

  • 4 0
    ~ 터진다

    베이비 부머

    부동산 캐폭락하기 전에 ~ 상속하고 싶어 - 증여하고 싶어
    윤석열정권 추경호 경제 부총리놈이 상속세 폐지 주장
    민주당 고민정 계집이 총선 당선 되자마자 종부세 폐지 주장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