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매수심리 8개월만에 소폭 반등
전세수급지수도 7개월만에 상승
서울아파트 매수심리가 정부의 전방위 부동산규제 완화로 8개월 만에 소폭 반등했다.
6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4.1로 지난주(63.1)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상승 전환한 것은 지난해 5월 첫주(91.1) 이후 8개월(35주) 만에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주 조사(99.6)에서 기준선인 100 아래로 떨어져 1년1개월이 넘도록 기준선을 밑돌며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매수우위 시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수가 여전히 60선에 머물러 매수세가 살아났다고 판단하기는 이른 시점이다.
서울 5개 권역중 가장 지수가 낮은 은평·마포·서대문구 등 서북권의 지수가 지난주 56.3에서 금주 58.5로 2.2포인트 상승했다. 5개 권역중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또 강남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은 지난주 71.7에서 73.2로, 용산·종로·중구가 포함된 도심권은 62.4에서 63.8로 각각 상승했다.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은 62.3에서 63.2로, 양천·영등포·강서구 등 서남권은 60.1에서 60.2로 올랐다.
경기(66.2→67.2)와 인천(64.6→66.1)도 지수가 상승하며 수도권 전체도 65.0에서 66.1로 반등했다.
부산 등 5개 광역시와 지방 역시 각각 68.2에서 69.9, 74.9에서 76.4로 상승했다.
그 결과 전국 지수도 지난주 70.2에서 금주 71.5로 올랐다. 전국 매매수급지수가 상승 전환한 것은 지난해 5월 셋째주(94.1) 조사 이후 33주 만에 처음이다.
전세수급지수도 동반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주 60.4에서 이번주 61.2로 올라섰다. 지난해 6월(95.0) 이후 7개월 만에 상승 전환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4.1로 지난주(63.1)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상승 전환한 것은 지난해 5월 첫주(91.1) 이후 8개월(35주) 만에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셋째주 조사(99.6)에서 기준선인 100 아래로 떨어져 1년1개월이 넘도록 기준선을 밑돌며 살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은 매수우위 시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수가 여전히 60선에 머물러 매수세가 살아났다고 판단하기는 이른 시점이다.
서울 5개 권역중 가장 지수가 낮은 은평·마포·서대문구 등 서북권의 지수가 지난주 56.3에서 금주 58.5로 2.2포인트 상승했다. 5개 권역중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또 강남3구와 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은 지난주 71.7에서 73.2로, 용산·종로·중구가 포함된 도심권은 62.4에서 63.8로 각각 상승했다.
노원·도봉·강북구 등이 있는 동북권은 62.3에서 63.2로, 양천·영등포·강서구 등 서남권은 60.1에서 60.2로 올랐다.
경기(66.2→67.2)와 인천(64.6→66.1)도 지수가 상승하며 수도권 전체도 65.0에서 66.1로 반등했다.
부산 등 5개 광역시와 지방 역시 각각 68.2에서 69.9, 74.9에서 76.4로 상승했다.
그 결과 전국 지수도 지난주 70.2에서 금주 71.5로 올랐다. 전국 매매수급지수가 상승 전환한 것은 지난해 5월 셋째주(94.1) 조사 이후 33주 만에 처음이다.
전세수급지수도 동반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주 60.4에서 이번주 61.2로 올라섰다. 지난해 6월(95.0) 이후 7개월 만에 상승 전환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