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공수처, 유신시절 중정과 비슷한 민간인 사찰"
"文대통령, 이 문제 어떻게 생각하는지 본인 입장 피력하라"
김 위원장은 이날 아침 국회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대통령 후보 부부에 대한 통신도 사찰한다는 게 우리나라에 여태까지 한 번도 그런 사태가 일어난 적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공수처라는 게 합법을 가장해 기자들도 비판적이면 전부 조회하고, 국민의힘 의원들은 70여명이나 무분별하게 통신 조회를 한 것 같다”며 “조금이라도 비위가 안 맞는 사람에 대해 감시국가 비슷하게 변하는 것"이라고 공수처를 질타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문 대통령은 권력기관이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누차 이야기했다. 그러나 최근 나타난 공수처의 무분별한 통신조회 문제에 대해 정부는 아무 말을 하지 않고 있다"며 "문 대통령은 이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본인의 의사를 피력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입장 표명을 압박했다.
그는 김진욱 공수처장을 향해서도 "무분별한 민간인 사찰이 실질적으로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스스로 반성하길 바란다"며 "공수처를 이런 식으로 운영했을 때 국민 저항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데 그때를 상상해서 합리적으로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