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44.4% "문희상안 반대" vs 32.6% "찬성"
지지율 낮아 추진 동력 약화될듯
한일 양국의 기업과 정부, 국민의 성금으로 강제징용 등 피해자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이른바 ‘문희상 안’에 대해 반대여론이 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YTN <더뉴스> 의뢰로 지난달 29일 전국 성인 501명을 대상으로 '문희상 안’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은 결과, ‘일본의 사죄와 법적 책임성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이 44.4%로 나타났다.
‘일본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고 현실적이므로 찬성한다’는 찬성 응답은 32.6%였으며, ‘모름/무응답’은 23.0%였다.
반대 여론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연령층·이념성향·정당지지층에서 절반을 넘거나 다수였다. 찬성 여론이 우세한 계층은 하나도 없고, 60대 이상에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 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고, 응답률은 5.2%,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고.
2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YTN <더뉴스> 의뢰로 지난달 29일 전국 성인 501명을 대상으로 '문희상 안’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은 결과, ‘일본의 사죄와 법적 책임성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이 44.4%로 나타났다.
‘일본이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고 현실적이므로 찬성한다’는 찬성 응답은 32.6%였으며, ‘모름/무응답’은 23.0%였다.
반대 여론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연령층·이념성향·정당지지층에서 절반을 넘거나 다수였다. 찬성 여론이 우세한 계층은 하나도 없고, 60대 이상에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 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고, 응답률은 5.2%,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고.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