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국 국가채무비율 낮지만 소득수준 등 감안시 선진국보다 높아"

빠른 고령화로 향후 국가재정 급속 악화 우려

우리나라의 현재 국가채무비율은 높지 않지만, 소득수준이나 인구구조 차이 등을 고려할 경우 선진국보다 오히려 높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2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의 국가채무 비율(D2)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2.2%)에 비해 크게 낮았다.

그러나 1인당 국민소득(GDP기준)이나 고령사회 진입 등 특정 시점에서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이 결코 낮은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2만7천 달러에 도달한 2014년 국가채무(D1) 비율은 35.9%였다.

동일한 소득수준에 도달할 당시 독일(45.5%), 영국(52.3%), 일본(61.6%), 프랑스(66.6%) 등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진입하는 2018년 국가채무비율 전망은 40.9%인 반면 프랑스가 고령사회에 진입한 1979년 국가채무비율은 32.6%였고, 독일은 36.8%(1991년)로 우리나라보다 오히려 낮았다.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이 정점을 찍었던 2016년 국가채무 비율(38.3%)은 독일 36.8%(1991년), 프랑스 40.7%(1986년) 등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국채 발행으로 인해 국가채무가 많이 늘어나다 보니 이자지출 규모도 덩달아 커지면서 향후 재정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재정건전성 지표로 활용 중인 조세수입 대비 국가채무 이자지출 비율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2015년 기준 8.8%로 집계됐다.

이는 국가부채 규모가 훨씬 큰 독일(6.8%), 프랑스(7.0%)보다 높고 영국(8.9%)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이자지출 비율을 비교해봐도 우리나라가 1.63%로 독일(1.56%)보다 높았고, 부채비율이 6배 높은 일본(1.93%)과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예산정책처는 "우리나라의 현재 국가채무비율이 양호하다고 해도 국가채무를 통한 재원 조달은 향후 이자 부담을 초래해 복지 등 필요한 분야에 투입될 재원을 구축하는 재정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0 0
    ㄴㅣㅏㄴㅏ

    참고로 전세계 어떤 국가에서도
    가계부채로 망한 나라가 없다

    개인 책임보다 국가와 정부
    썩어빠진 관료들의 책임이였다는 것이지
    수습은 관료들 돈잔치 국민들 고난의 행군
    대부분의 국가부도 국가들이 이딴식

  • 1 0
    ㄴㅣㅏㄴㅣ

    항상 국가 부채 , 지방 재정부채가 문제지
    한은이 국가부채에 대한 책임 면피용으로
    가계부채, 자영업 부채로 언론플레이 하는겨

    이명박근혜때 방만한 재정운용에 대해
    한은이 침묵과 묵인으로 일관했었지
    그일이 지금 이지경에 이르렀잖여

  • 0 0
    이렇게본다2

    친박경제관료가 부채질한 부동산가계부채가 뇌관이되서
    경기침체와 세수 공백이생기고 미국금리인상되면 외화유출되고
    한국채권가치하락으로 채권이자가 높아지다가..아예 외국자본이
    매입안해버리면..국가부도가 나는게 경제위기의 핵심이며
    일제가 러일전쟁으로 국채발행을 과도하게하자
    영국미국이 일본국채를 매입안하면서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킬정도로 국가부도는 연쇄반응이다..

  • 0 0
    이렇게본다

    정상적인 경제성장은
    인플레이션을 동반하며..노무현때 집값상승은..실물경기의
    상승때문이다. 그러나..수첩새누리가 했던 억지부동산부양은
    경기는 침체하는데 공급감소로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온후 세수감소로인한 적자누적으로 국가부도위험이 있다..
    결국 확장재정으로 인한 혜택은 재벌대기업에주고 세수는
    국민들의 생필품 부가세인상하여 만들겠다는것이다..

  • 1 2
    문베스

    먹고 뉴욕으로 튀어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