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선거구 획정-쟁정법안, 우리는 연계 안할 수 없지만..."
"정의화, 지역구 253석으로 갈수 밖에 없다고 인정"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4일 선거구 획정-쟁점 법안 연계 논란과 관련, "우리는 연계를 안할 수 없다"고 종전 입장을 고수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청와대 신년인사회 참석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의화 국회의장이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은 연계할 수 없다"고 밝힌 데 대해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선 "선거구 획정위가 못한다고 하니 지역구 246석안(案)은 완전히 끝난 것"이라면서 "(정의화 의장은) '246석 안은 획정위에서 도저히 안된다고 하니 253석으로 할 수 밖에 없다, 그것으로 결정하자, 안 그러면 선거를 못 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지 않겠나, 253석을 양쪽에서 받는 것을 합의해보라'(고 했다). 246석은 안되는 것으로 판명났고, 253석은 양당이 그쪽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연계처리에 대한 당론 변경 가능성과 관련해 "결론이 난 것은 아니지만 고민하고 있다"고 말해, 지역구 253석안으로 직권상정할 경우 당론을 바꿀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은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김 대표는 "야당이 선거 가능 연령을 만18세로 낮추라고 (요구)하지만 수도권이 200∼300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의원들이 가만히 있겠느냐"면서 "그럼에도 나는 경제살리기 위한 법을 통과시켜 준다면 대선 때부터라도 하겠다고 했지만 야당은 이번부터 적용하자고 해서 지리하게 반복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선거구 획정 시한에 대해선 "임시국회가 8일에 끝나는데, 이날을 넘어갈 수 있다"며 "임시국회 기한을 연장하라고 원유철 원내대표에게 얘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 분야 외 쟁점법안인 테러방지법과 북한인권법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달 31일 회동에서 (안건에서) 빠졌다"며 "알맹이를 빼고 하는 것은 필요 없다고 해서 더는 양보하지 말라고 했다"고 밝혀, 더이상 임시국회내 처리를 고집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청와대 신년인사회 참석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의화 국회의장이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은 연계할 수 없다"고 밝힌 데 대해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선 "선거구 획정위가 못한다고 하니 지역구 246석안(案)은 완전히 끝난 것"이라면서 "(정의화 의장은) '246석 안은 획정위에서 도저히 안된다고 하니 253석으로 할 수 밖에 없다, 그것으로 결정하자, 안 그러면 선거를 못 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지 않겠나, 253석을 양쪽에서 받는 것을 합의해보라'(고 했다). 246석은 안되는 것으로 판명났고, 253석은 양당이 그쪽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연계처리에 대한 당론 변경 가능성과 관련해 "결론이 난 것은 아니지만 고민하고 있다"고 말해, 지역구 253석안으로 직권상정할 경우 당론을 바꿀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은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김 대표는 "야당이 선거 가능 연령을 만18세로 낮추라고 (요구)하지만 수도권이 200∼300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해당 의원들이 가만히 있겠느냐"면서 "그럼에도 나는 경제살리기 위한 법을 통과시켜 준다면 대선 때부터라도 하겠다고 했지만 야당은 이번부터 적용하자고 해서 지리하게 반복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선거구 획정 시한에 대해선 "임시국회가 8일에 끝나는데, 이날을 넘어갈 수 있다"며 "임시국회 기한을 연장하라고 원유철 원내대표에게 얘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 분야 외 쟁점법안인 테러방지법과 북한인권법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달 31일 회동에서 (안건에서) 빠졌다"며 "알맹이를 빼고 하는 것은 필요 없다고 해서 더는 양보하지 말라고 했다"고 밝혀, 더이상 임시국회내 처리를 고집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