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60% “반값아파트 공급 가능성 없다”
“일회성 선심정책 아닌 실현성 높은 정책 제시해야”
여야 정책대결로 번지며 2006년 하반기 부동산 정책의 최대 화두였던 ‘반값 아파트’에 대한 네티즌들의 신뢰도는 여전히 ‘실현 불가능’으로 낮게 평가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13일부터 19일까지 네티즌 2천6백38명을 대상으로 ‘반값아파트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우선 반값아파트 공급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60.6%(1천4백34명)가 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은 27.7%(6백55명)에 불과했다.
반값 아파트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도 ‘기존 아파트의 희소성으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할 것’이라는 부정적 응답이 30%(7백11명)을 기록, ‘기존 아파트값 상승 억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긍정적 응답(14.9%, 3백54명)의 두 배를 넘었다.
이밖에도 ‘분양가 저렴으로 반값아파트의 로또화(17.8%)’, ‘신규 분양아파트의 질적 하락(15.2%, 3백61명)’ 등 부정적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치열하게 정책대결을 벌이고 있는 ‘환매조건부’와 ‘대지임대부’의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는 환매조건부 분양제에 대한 지지 응답이 54.3%(1천2백86명)로 토지임대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값아파트를 성공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추가조치로는 현실적인 임대료 수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44.2%(1천46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분양원가 상한선을 조기에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20.5%(4백86명), 전매 금지기간을 현재 논의되고 있는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도 20.1%(4백77명)를 차지했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선심성 정책에 휘둘리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정부나 정책입안자들은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13일부터 19일까지 네티즌 2천6백38명을 대상으로 ‘반값아파트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우선 반값아파트 공급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60.6%(1천4백34명)가 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은 27.7%(6백55명)에 불과했다.
반값 아파트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도 ‘기존 아파트의 희소성으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할 것’이라는 부정적 응답이 30%(7백11명)을 기록, ‘기존 아파트값 상승 억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긍정적 응답(14.9%, 3백54명)의 두 배를 넘었다.
이밖에도 ‘분양가 저렴으로 반값아파트의 로또화(17.8%)’, ‘신규 분양아파트의 질적 하락(15.2%, 3백61명)’ 등 부정적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치열하게 정책대결을 벌이고 있는 ‘환매조건부’와 ‘대지임대부’의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는 환매조건부 분양제에 대한 지지 응답이 54.3%(1천2백86명)로 토지임대부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값아파트를 성공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추가조치로는 현실적인 임대료 수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44.2%(1천46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분양원가 상한선을 조기에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20.5%(4백86명), 전매 금지기간을 현재 논의되고 있는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도 20.1%(4백77명)를 차지했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선심성 정책에 휘둘리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정부나 정책입안자들은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