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22일 "새 정부는 필요한 경제민주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해 오해를 불식시켜야 할 것"이라며 박근혜 당선인에게 이례적으로 이틀 연속 '경제민주화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인수위가 제시한 5대 국정 목표에 경제민주화가 빠진 것을 두고 경제민주화 의지가 후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날에도 논평을 통해 "대선 때 박근혜 후보의 국정운영 4대 지표로 꼽혔고, 새누리당의 정강정책인 ‘국민과의 약속’에도 명시돼 있는 경제민주화가 5대 국정 목표에 빠진 것과 관련해 경제민주화 의지가 후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유념해야 한다고 본다"고 경제민주화 공약 후퇴에 따른 비판 여론을 우려한 바 있다.
새누리당이 이처럼 이틀 연속 경제민주화 공약 이행을 촉구한 것은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박 당선인 지지율이 44%로 곤두박질치는 등, 공약 파기와 인사 파행에 따른 민심 이반이 심상치 않다는 위기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변인은 이날 해단식을 갖는 인수위에 대해서도 "인수위가 주요 활동과 관련해 국민과의 소통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동감한다"며 "인수위가 국민에게 혼란을 주지 않으려는 충정에서 보안을 유지하려 한 까닭은 충분히 이해하나 그러면서도 국민과 언론에 알릴 것은 보다 적극적으로 알리고, 국민의 의견을 더욱 더 열심히 들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그는 "새 행정부와 새 청와대는 인수위에 대해 밀봉이니 불통이니 하는 비판이 나오는 점을 교훈으로 삼아 같은 지적을 받지 않도록 국민과의 소통노력을 강화해주기 바란다"며 거듭 박 당선인에게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 새누리당 중진 의원은 "MB정부 초기때 '고소영'이란 인사 실패와 '명박산성'으로 대표되는 불통으로 레임덕에 걸렸던 것과 유사한 사태가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며 "박 당선인이 조속히 정치력을 발휘해 정부조직법 등 여야 갈등을 풀고 다시 개혁적 이미지를 보여줘야만 할 때"라고 우려했다.
또다른 의원은 "'경제민주화'는 박 당선인을 대통령 만든 간판급 공약인데, 인수위가 경제민주화란 단어 자체를 아예 삭제한 것은 정치적으로 볼 때 악수(惡手)로 이런 악수가 없다"며 "경제민주화를 놓고 김종인 위원장과 대립각을 세워온 일부 인수위의 박 당선인 측근들이 박 당선인을 벼랑끝 위기로 몰아넣은 셈"이라고 개탄했다.
여성 대통령을 뽑고 바랄 걸 바래라, 박근혜가 토론할 것 같으냐, 조용히 가정교사를 부르지 무식하다는 걸 드러내는 일이니 자존심 상해서 않한다. 그 동안 언론도 한마디 하면 그걸로 소설을 써지 야당과 대립각을 세워서 광고 팔아 먹고는, 지금은 안면 바꿔 언론에 알려 주라고 채근하니 박근혜도 기가 막힐 것이다.
새누리와 51%지지자들이 해결해라. 잘 하리라 뽑아놨으니 못할 때마다 나서야 되지 않겠나싶다. 안뽑은 이들이야 나라가 어렵겠구나 하는 마음에 이미 기대도 없거니와, 그렇게 안보고 잘 하리라 뽑은 자들은 못할 때마다 나서서 몸이 망가지더라도 채찍을 가할 책임이 있는거다. 잘못 투표해 나라 망친 책임은 져야 인간이지
'준비된 여성 대통령' 머지않아 새누리에서 부터 골치아픈 구호로 전락해 비판이 솔솔 봄바람과 함께 불어온다,에 500원 엘리자베스,대처,메르켈. 비유하며 한껏 띠웠다 갈지 자, 우왕좌왕,좌충우돌로 여론 뭇매 맞으면 여자라 안보, 국방,외교,경제에 ...... 라는 드립이 그곳에서 부터 나올꺼야 가부장적 전통이 강한 동네이니
중국경제연구원장도 중국의 전세계제조우위의 1위생산기지를 당분간 10년간 유지한다고하지만 미국과 일본 유럽은 이미 3d프린터 개인제조시대를 준비하고있죠 그걸 중국연구원장은 간과한게 아닌가하는 판단의 기사를 봤는데요 지금 경제민주화는 바로 그러한 개인제조시대의 시대적패러다임과 맥을 같이하는거라고 보이는데요 지금 대기업제조패러다임에서 변화가 되야한다는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