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민노당, 일심회 2명 제명. ‘종북주의 청산’ 초강수

일부 자주파 강력 반발, 임시전당대회 통과 진통 예고

분당 국면에 봉착한 민주노동당의 심상정 비대위가 27일 일심회 관계자 2명을 제명조치하기로 하는 등 이른바 ‘종북주의 청산’ 승부수를 던졌다. 이에 대해 자주파 일부는 비대위 혁신안의 임시당대회 부결 가능성을 경고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심상정 비대위는 27일 최기영 전 사무부총장, 이정훈 당원 등 일심회 관계자들의 제명, 북핵자위론의 당 강령 위반, 자주파의 패권주의 행태의 재발방지 대책을 골자로 하는 ‘제2창당을 위한 평가와 혁신안 승인의 건’을 확정했다. 비대위는 이를 오는 2월3일 임시전당대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손낙구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주노동당의 친북정당 이미지를 누적시키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됐던 이른바 ‘일심회’ 사건 관련자들의 행위와 ‘북핵 자위론’ 발언 등 편향적 친북행위에 대해 당헌당규와 강령을 위반한 행위로 명확하게 규정했다”며 “최기영, 이정훈 등 이른바 ‘일심회’ 사건 관련 당원은 민주노동당의 내부정보를 외부에 유출하고 외부세력에 의해 지도받아 당내 활동을 전개, 당 강령과 당헌당규를 위반한 해당행위를 함으로써 제명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2006년 10월 북핵사태 당시 당 정책의장의 ‘북핵자위론’ 발언은 전쟁과핵을 반대하는 평화정당의 정신을 담은 당 강령을 위배한 행위”라며 “‘미군철수 완료시점에 북핵무기 폐기 완료’ 대선공약에 대해서도 같은 맥락에서 당 강령을 위반한 내용으로 즉각 폐기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밖에 “당의 단결을 가로막고 국민들에게 정파 다툼에 몰두하는 당의 이미지를 갖게 하고 위장전입과 집단 주소 이전을 통해 당권을 장악하는 등 일부 정파의 패권주의 행태 등에 대해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반성과 함께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한다는 내용을 담았다”고 말했다.

이같은 비대위 혁신안은 그동안 신당창당파 등 강경평등파가 주장해왔던 종복주의 청산 요구를 사실상 전적으로 수용한 안이다.

이에 대해 자주파 일부에서는 비대위 혁신안의 부결을 예고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자주파 계열의 황선 전 부대변인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최기영 전 사무부총장과 이정훈 당원의 제명 조치는 가결이 힘들 것”이라며 “당 운영 문제나 절차의 미흡함을 쇄신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견해의 차이를 전면에 내세운 것은 지나치게 한쪽에 치우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국가보안법 체제에서 대법원이 내린 판결을 진보정당이 그대로 차용해 제명을 운운하는 것 자체가 진보의 가치를 상당히 훼손하는 것”이라며 “당대회 소수의 현장발의면 몰라도 전권을 위임받은 비대위가 결론 내릴 문제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반면 신당파의 김형탁 전 대변인은 본지와 통화에서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의 흐름에 있어서도 혁신안 자체는 그동안의 노력과 결과가 보이는 상당히 강도 높은 혁신안”이라고 긍정평가하면서도 “우리는 총선전 당을 해산하고 재창당의 길을 열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창당 운동에 대한 판단을 달리할 이유는 없다”며 “진보진영 전체를 묶는 창당 운동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노당은 당원과 대의원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대회에 앞서 오는 31일 혁신안에 대한 당원 설명회를 열고 당원들의 의견을 최종 수렴할 예정이지만 자주파의 집단 반발, 평등파의 탈당 흐름을 제어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9 17
    마오

    주사파가 무장할거야
    쇠파이프로.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