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92% "기업 미래 지식경영에 달려"
기업마다 지식경영 바람. 기업 53.5% 지식경영 추진
21세기 기업경쟁력의 핵심기준으로 기업 구성원의 보유지식을 얼마나 경영활동에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지식경영 통해 업무 효율화, 생산성 향상, 기업가치 증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기업 3백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16일 발표한 ‘국내기업의 지식경영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92.0%가 기업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지식경영’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중 64.5%는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상의 조사 결과 이같은 기업인들의 인식을 반영하 듯 최근 기업현장에 지식경영 바람이 불면서 실제로 국내기업의 44.3%는 지식경영을 추진하고 있었고 9.2%는 조만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대기업은 조사대상의 62.7%가 지식경영을 추진(51.4%) 또는 추진계획(11.3%)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39.6%만이 지식경영을 추진(33.3%) 또는 추진계획(6.3%)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지식경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 ‘업무의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51.7%)’, ‘기업 가치의 증대’ (12.8%), ‘기업환경 변화에 신속한 대응’(12.2%) 등을 꼽았다.
지식경영 방법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사내 커뮤니티 지원’(44.5%), ‘지식창고 구축’(20.6%) 등을 선호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지식’의 종류는 ‘신기술 동향’(17.3%)이나 ‘R&D’(11.3%) 등과 같은 중장기적이고 전략적 관점보다는 현장 종업원들에 체화돼 있는 ‘경험이나 노하우’(42.2%)를 다른 종업원들과 공유하는 실용적인 관점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현장에서 확보된 노하우나 경험지식은 기업 경쟁력 제고에 직결될 뿐 아니라 문서화가 어렵고 이직, 배치전환 등 고용사정에 따라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지식경영 추진시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지식공유 문화정착’(33.9%), ‘최고경영자의 마인드’(32.4%), ‘지식경영시스템 구축’(12.9%)순으로 응답했다. 지식경영이 활성화되려면 시스템 구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식경영과 관련된 인식제고 및 문화정착 등 사회전반적인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기업들은 '개별 기업차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금융세제상 지원'(28.8%), '커뮤니티 운영 지원'(17.0%), '종합지식정보 제공'(16.7%) 등 지식공유 촉진을 위한 인프라 조성을 바라고 있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국내기업들은 지식경영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도입비용과 운영방법의 미숙 등으로 인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 관련 부처나 상공회의소와 같은 종합경제단체가 지식경영으로 인한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지식경영 통해 업무 효율화, 생산성 향상, 기업가치 증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국내기업 3백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16일 발표한 ‘국내기업의 지식경영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92.0%가 기업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지식경영’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중 64.5%는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상의 조사 결과 이같은 기업인들의 인식을 반영하 듯 최근 기업현장에 지식경영 바람이 불면서 실제로 국내기업의 44.3%는 지식경영을 추진하고 있었고 9.2%는 조만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 대기업은 조사대상의 62.7%가 지식경영을 추진(51.4%) 또는 추진계획(11.3%)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은 39.6%만이 지식경영을 추진(33.3%) 또는 추진계획(6.3%)이라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지식경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로 ‘업무의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51.7%)’, ‘기업 가치의 증대’ (12.8%), ‘기업환경 변화에 신속한 대응’(12.2%) 등을 꼽았다.
지식경영 방법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사내 커뮤니티 지원’(44.5%), ‘지식창고 구축’(20.6%) 등을 선호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지식’의 종류는 ‘신기술 동향’(17.3%)이나 ‘R&D’(11.3%) 등과 같은 중장기적이고 전략적 관점보다는 현장 종업원들에 체화돼 있는 ‘경험이나 노하우’(42.2%)를 다른 종업원들과 공유하는 실용적인 관점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현장에서 확보된 노하우나 경험지식은 기업 경쟁력 제고에 직결될 뿐 아니라 문서화가 어렵고 이직, 배치전환 등 고용사정에 따라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지식경영 추진시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지식공유 문화정착’(33.9%), ‘최고경영자의 마인드’(32.4%), ‘지식경영시스템 구축’(12.9%)순으로 응답했다. 지식경영이 활성화되려면 시스템 구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지식경영과 관련된 인식제고 및 문화정착 등 사회전반적인 분위기 조성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기업들은 '개별 기업차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금융세제상 지원'(28.8%), '커뮤니티 운영 지원'(17.0%), '종합지식정보 제공'(16.7%) 등 지식공유 촉진을 위한 인프라 조성을 바라고 있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국내기업들은 지식경영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도입비용과 운영방법의 미숙 등으로 인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 관련 부처나 상공회의소와 같은 종합경제단체가 지식경영으로 인한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