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미연준, 트럼프 압박에도 또 '금리 동결'

파월 "경제가 어디로 향하는지 불확실성 극도로 높아"

미국연방준비제도(Fed)는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금리를 동결했다.

미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4.25∼4.50%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세 차례 연속 동결이다.

연준은 금리 동결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증가했다"면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위험이 커졌다"며 동결 이유를 설명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경제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불확실성이 극도로 높아졌다는 직감이 든다”며 "우리는 양대 목표(고용과 물가)가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발표된 큰 폭의 관세가 지속하면 인플레이션 상승, 성장 둔화,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모든 정책은 여전히 진화 중이기 때문에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양대 목표인 고용과 물가 중 어떤 게 더 대응이 시급하냐는 질문에 "우리는 관망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다. 우리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더 관망하기 위해 치러야 할 비용이 꽤 낮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속되는 금리 인하 압박에 대해선 "우리의 직무 수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면서 "우리는 미국 국민의 이익을 위해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수단을 사용할 것이다. 경제 지표와 전망, 위험 균형이 우리가 고려하는 것의 전부"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선 "어떤 대통령과도 (먼저) 만남을 요청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파월 의장을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 "루저(loser)"라고 비난하며 금리인하를 압박했다. 하지만 앞서 파월 의장 경질 방침을 밝혔다가 미국주가가 폭락하는 등 시장이 민감 반응하자 경질 의사를 철회한 상태다. 미국의 '경제대통령'은 파월인 셈이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