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트럼프에 렘데시비르 투약, "중증은 아니다"

개발중인 항체물질 리제네론도 투여

코로나19에 감염돼 육군 병원에 입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중증환자 치료제인 렘데시비르가 투약됐다.

숀 콘리 대통령 주치의는 2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메릴랜드주의 월터 리드 군병원에 입원한 트럼프 대통령이 렘데시비르를 투약받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은 어떤 산소공급도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전문가들과 상의해 렘데시비르 치료를 시작하기로 선택했다"면서 "1회분(도즈) 접종을 마치고 편안히 쉬고 있다. 대통령이 매우 잘 견뎌내고 있다고 발표할 수 있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는 지난 5월 코로나19 치료제로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긴급사용을 승인받은 약물로, 주로 중증환자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콘리 주치의는 앞서 배포한 자료에선 미국 생명공학업체 '리제네론'이 개발 중인 항체약물 8g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여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처방받은 약은 'Regn-COV2'로 명명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ies) 약물로, 대통령 의료진은 리제네론이 개발 중인 항체와 코로나에서 회복한 환자의 항체를 혼합하는 '칵테일' 요법을 트럼프에게 사용했다. 이는 중병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으려는 조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에게 처방된 항체 약물의 안전성과 효능은 아직 완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콘리 주치의는 실험용 항체 약물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아연, 비타민D, 아스피린, 파모티딘과 멜라토닌을 복용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