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박근혜측, '이명박 운하' 조목조목 반박

"주장만 되풀이, 기자회견 왜 했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17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자신의 경부 운하 구상을 직접 홍보한데 대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측은 이 날 맞불 기자회견으로 조목조목 비판하고 나섰다.

"운하 안만들어도 수질개선 방법은 많아"

박근혜측 유승민, 이혜훈 의원은 이 날 오후 국회 기자회견장에서 이 전 시장이 직접 경부 운하 설명회를 가진데 대해 “주장만 되풀이되었고 설명은 없었다”고 혹평했다.

이들은 우선 경부 운하 건설로 인한 환경과 식수원 문제에 관해 “이 전 시장측이 운하를 건설하면 수질이 좋아진다고 했는데 운하를 건설하지 않아도 강물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이 후보 측이 운하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즐겨 인용해온 울산 태화강이 사실은 운하를 만들지 않고도 강물을 깨끗하게 만들 수 있었던 사례”라며 “이 후보는 낙동강, 영산강의 오염을 지적하면서 경부운하 건설만이 낙동강을 깨끗하게 만들고, 또 호남운하 건설만이 영산강을 깨끗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호남운하 건설이 좌절되면 오염된 영산강을 그대로 내버려 둘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들은 또 “한강과 낙동강에 바지선이 다니다가 사고가 나서 운하가 오염되면 어떻게 할거냐는 질문에는 계속 묵묵부답”이라며 “독극물 운송은 정두언 의원이 아직도 공식으로 취소하지 않았지만 들리는 말에 의하면 정두언 의원의 실언이라니까 그렇다 치자. 그러나 시멘트, 유연탄, 컨테이너 속의 화물들, 그리고 바지선의 기름 유출 등 오염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없다”고 경부 운하 구상을 정면 비판했다.

이들은 이어 “오늘 아침 이명박 캠프의 박형준 대변인은 모 방송프로그램에서 독일 운하에서는 그런 오염사고가 없었다고 발언했는데, 이건 명백한 거짓말”이라며 “최근에도 독일운하에서는 바지선 전복사고가 발생해서 운하운항을 수개월 중단한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특히 “중요한 사례는 4개국을 거쳐서 북해로 흐르는 라인강 전역을 오염시킨 1986년의 환경대참사였다. 스위스 바젤 근처의 Sandoz 라는 화학공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30톤의 화학물질이 라인강을 거쳐 북해로 흐르는 동안 라인강 전체가 붉은 색으로 변하면서 썩어들어가고 물고기 50만 마리가 죽고 주민들은 악취 때문에 대피하는 소동을 빚었다”며 지난 86년 11월 영국 BBC 방송 뉴스에서 보도된 내용을 소개했다.

"한강 취수원 이전하면 어디서 물 긷나?"

이들은 한편 식수원 보호 대책의 일환으로 이 전 시장측이 제기한 한강 취수원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수도권의 1일 급수량은 팔당과 잠실수중보 지역에서 1천3백만톤을 취수해서 사용하고 있다. 팔당에서 취수하는 이유는 북한강보다 남한강의 수량이 더 풍부하기 때문”이라며 “그런데 한강 취수원을 북한강으로 옮긴다면 하루에 1천3백만톤을 취수할 수 있는 것이 북한강 어느 곳에 있는지 밝혀라”고 이 전 시장측에 되물었다.

이들은 “북한강 취수 부족분은 강변여과수로 공급한다고 하는데 현재 전체 취수원의 87%를 하천수에 의존(나머지는 지하수)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이 많은 양을 강변여과수로 대체하려면 강변여과수 시설을 몇 개나 건설해야 하는지, 그 시설을 만들기 위한 넓은 부지는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밝혀라”고 이 전 시장측의 취수원 이전 주장을 비판했다.

이들은 더 나아가 “운하가 완성되고 난 이후에 바지선이 식수원 위를 다니는 것도 두렵지만 공사기간 중 하천을 준설하는 과정에서 식수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며 “준설을 하면 강이 뒤죽박죽이 되어 도저히 강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 동안 정부는 준설과정의 오염현상 때문에 하천준설을 제대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운하 사고 대비위해 만든다던 이중수로, 보름만에 없었던 일로?"

이들은 또 이 전 시장측이 운하 사고를 대비해 한 때 내놓은 이중수로 건설 문제에 대해 “식수원 오염문제가 제기되니까 이 후보 측은 이중수로로 해결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중수로는 보름만에 사라졌다”며 “전형적인 말바꾸기, 거짓말이 거짓말을 낳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이와관련 이들은 “시멘트로 강물을 가두면 생태계 파괴는 어떡하나?”라며 “이 후보 측은 5백40km 중에서 25km의 터널을 포함한 40km만 인공수로를 건설하고 나머지 5백km는 자연하천을 그대로 쓴다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들은 “마치 대단히 환경친화적인 토목사업이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 그런 말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1백~3백m 폭으로 평균 수심 6m 이상을 파는 사업이 어찌 자연하천을 그대로 쓰는 사업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들은 또 “경부운하의 편익을 계산할 때 8억m3의 골재를 팔아서 8조원을 충당한다고 했는데 인공수로를 40km만 건설하고 나머지는 자연하천을 그대로 사용하면 도저히 8억m3의 골재가 나올 수 없다는 것이 하천전문가들의 말”이라며 “또 8억m3라는 골재량 자체도 다른 전문가들은 불과 2억8천만m3, 5천만m3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경부 운하로 운송하는데 최소 11단계 필요, 경제성 '제로'"

이들은 이 전 시장측이 주장하는 운하의 경제성에 대해서도 “부산에서 인천까지 멀쩡한 남해와 서해를 거쳐 가는 해운에 30시간 정도 걸리는데, 16~19개 갑문과 댐을 통과해야 하는 운하가 부산에서 서울까지 24시간 걸린다고 하니까 상식적으로 납득되지 않는다”며 “운하로 자기 짐(부산항에 수입한 컨테이너의 경우)을 운송하기를 원하는 화주는 다음의 11단계를 각오해야 한다”며 운하를 이용한 운송에 최소 11단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주장한 운하 운송 11단계는 “선박양하(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내리는 것) → 부두보관 → 부두상차(운하항으로 옮기기 위해 컨테이너를 트럭에 올리는 것) → 시내운송(바지선이 정박된 내항으로 운송) → 운하선적항 하차(트럭 위의 컨테이너를 트레일러로 옮기는 것) → 바지선적(바지선에 컨테이너를 올리는 단계) → 결속(바지선에 올린 컨테이너를 움직이지 않게끔 묶는 것) → 바지운항 → 운하양하항 결속해체(묶인 것을 다시 푸는 것) → 양하/상차(컨테이너를 배에서 내려 트럭에 올림) → 시내운송 (화주에게)” 등이다.

이들은 이같은 운하 운송 11단계를 통해 “이 후보측의 ‘물류비용이 1/3로 줄어든다’, ‘도로운송시 42만원에 비하여 운하운송 운임은 15만원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위의 11단계에서 최소한 6단계 이상은 생각하지도 않고 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한편 이 전 시장측의 민자유치를 통한 운하 건설 주장과 관련, “운하운임을 싸게 해주면 결국 정부가 국민세금으로 운하운영의 손실을 보는 민자업체에게 보상해줘야 한다”며 “모든 민자사업이 다 그렇게 되고 있다. 운하운임이 비싸면 민자업체는 좋겠지만 아무도 운하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이 전 시장측의 골재 판매수익 8조원으로 운하 건설비용을 충당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완전한 허구”라며 “건설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골재 8억m3를 채취할 수 있는지도 지극히 의문이지만, ‘1m3당 1만원을 번다’(이명박측 주장)는 것은 기업은 운영해봤다는 분의 말씀인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골재 8억m3가 한꺼번에 골재시장에 쏟아지면 골재 값이 폭락할 것은 뻔한 이치”라며 “더 심각한 문제는 골재 채취에 아무런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1만원 어치의 골재를 채취, 보관, 운반, 판매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최소한 6천원 이상은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또 최근 논란이 되고있는 수자원공사 등 3개 정부기관의 운하 타당성 용역 보고서와 관련, “이명박 후보측 인사들이 ‘박근혜 후보측이 수자원공사 등의 보고서를 여권으로부터 입수받아 자신들을 공격하는 자료로 삼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수자원공사 등 3개 기관의 보고서가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왜곡된 것이라고 주장한다면 이명박 캠프의 보고서도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왜곡된 것은 마찬가지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