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남측의 "남북정상회담 열어야"에 강력반발
쌀 지원 중단에 '한국 왕따' 전략?
6.15 민족통일대축전에서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촉구하는 남측 인사의 발언에 북측이 민감하게 반응해 배경이 주목된다.
남측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의장 자격으로 행사에 참가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14일 저녁 인민문화궁전에서 열린 북측 주최 환영연회에서 건배사를 통해 "이 땅에 통일에 도움이 되는 평화가 뿌리내리도록 하기 위해 주변 국가들이 아니라 민족이 주축이 되는 평화논의를 먼저 시작해야 한다"면서 "그런 점에서 2차 남북정상회담도 하루 빨리 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북측은 "사전에 협의된 내용이 아니다"며 항의하고 방북취재단에게 해당 내용을 기사화하지 말아줄 것을 요구하는 등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북측 인원이 방북취재단의 화면 송출 작업중에 해당 내용에 손을 대 제대로 된 영상을 송출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남측에서 수시로 남북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역설해 온 정 전 장관의 발언에 북측이 이처럼 신경질적으로 나온데 대해 일각에서는 정상회담을 바라보는 남북 간 온도차를 반영한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남측은 노무현 대통령이 조건이 성숙하고 북측이 정상회담에 나설 의사가 있을 경우 임기 말이라도 정상회담에 적극 임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정상회담에 대해 적극적인 반면 북측은 정상회담이라는 말을 꺼내는 것조차 꺼릴 만큼 소극적인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북측에서 아직은 정상회담 문제를 공론화시키지 않고 싶은 상황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6.15행사에 참여한 북측 인원들이 정상회담에 대해 다룰 수 있을만한 위치가 아니어서 민감하게 반응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북측 참석자들이 정상회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만이 결정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자신들은 건드릴 수 없는 이슈라고 생각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정 전 장관의 발언이 북측으로서는 `정상회담 약속을 지켜라'고 촉구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남측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의장 자격으로 행사에 참가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14일 저녁 인민문화궁전에서 열린 북측 주최 환영연회에서 건배사를 통해 "이 땅에 통일에 도움이 되는 평화가 뿌리내리도록 하기 위해 주변 국가들이 아니라 민족이 주축이 되는 평화논의를 먼저 시작해야 한다"면서 "그런 점에서 2차 남북정상회담도 하루 빨리 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북측은 "사전에 협의된 내용이 아니다"며 항의하고 방북취재단에게 해당 내용을 기사화하지 말아줄 것을 요구하는 등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북측 인원이 방북취재단의 화면 송출 작업중에 해당 내용에 손을 대 제대로 된 영상을 송출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남측에서 수시로 남북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역설해 온 정 전 장관의 발언에 북측이 이처럼 신경질적으로 나온데 대해 일각에서는 정상회담을 바라보는 남북 간 온도차를 반영한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남측은 노무현 대통령이 조건이 성숙하고 북측이 정상회담에 나설 의사가 있을 경우 임기 말이라도 정상회담에 적극 임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등 정상회담에 대해 적극적인 반면 북측은 정상회담이라는 말을 꺼내는 것조차 꺼릴 만큼 소극적인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북측에서 아직은 정상회담 문제를 공론화시키지 않고 싶은 상황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6.15행사에 참여한 북측 인원들이 정상회담에 대해 다룰 수 있을만한 위치가 아니어서 민감하게 반응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북측 참석자들이 정상회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만이 결정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자신들은 건드릴 수 없는 이슈라고 생각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정 전 장관의 발언이 북측으로서는 `정상회담 약속을 지켜라'고 촉구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