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언론자유 구가"
'국경없는 기자단', "미국은 부시 때문에, 일본은 쇼비니즘 때문에 위축"
한국의 언론자유가 작년에 비해 개선되며 아시아에서 뉴질랜드 다음으로 언론자유를 누리는 국가로 조사됐다.
"한국, 뉴질랜드 다음으로 아시아에서 언론자유 구가"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언론감시단체 <국경없는 기자회>(RSF)는 24일 전쟁과 정치적 탄압, 국가안보 우려, 점증하는 민족주의 등으로 미국·프랑스·일본·덴마크 등 세계 각국의 언론자유가 크게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31위로 전년보다 개선됐다고 밝혔다.
RSF가 1백68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6 세계언론자유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에 비해 3단계 오른 31위를 기록, 아시아권에서 뉴질랜드(18위)에 이어 가장 언론자유를 누리는 국가로 분류됐다.
반면에 일본의 경우는 점증하는 민족주의 탓에 언론 자유가 14단계나 하락한 51위로 추락했으며, 중국은 사회주의 당국의 언론통제를 받고 있다는 점을 들어 최하위권인 1백63위로 분류됐다.
또한 북한은 작년(1백67위)에 최하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가장 낮은 1백68위로 5년 연속 최악의 언론 탄압국이라는 불명예를 썼다. RSF는 북한에 대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자국의 모든 언론을 계속해서 통제하고 있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북한과 함께 언론 침해국이라는 오명을 쓰게 된 국가는 에티오피아(1백60위), 사우디아라비아(1백61위), 이란(1백62위), 중국(1백63위), 미얀마(1백64위), 쿠바(1백65위), 에리트리아(1백66위), 투르크메니스탄(1백67위) 등이다.
RSF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불행하게도 언론자유를 억압하고 있는 나라들의 상황은 거의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북한, 에리트리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서는 기자들이 취재를 하기 위해 목숨을 걸어야 하고 자신들의 취재원을 보호하거나 취재를 하기 위해서 감독에 가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언론자유도 급락
부시 대통령 때문에 미국의 언론자유도 급락했다.
RSF는 “저개발국이나 가난한 나라들에서도 점차 언론자유를 인식하는 흐름이 늘고 있는 반면 미국, 프랑스, 일본은 언론자유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경종을 울려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테러와의 전쟁으로 미국과 이라크 등에서 정부와 언론이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은 첫 조사가 실시된 2002년 17위였으나 올해에는 53위로 추락했다.
RSF는 “이는 ‘테러와의 전쟁’ 속에서 조지 W 부시 대통령 행정부와 언론 및 연방법원들 간 악화되고 있는 관계 탓으로 부시 행정부가 국가안보를 구실로 자신이 추구하는 ‘테러와의 전쟁’에 문제를 제기할 경우 수상한 언론인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미국이 보츠와나, 크로아티아, 통가 등 3개국과 함께 공동 53위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RSF는 "특히 미국은 연방법원인 33개주와 달리 취재원 보호라는 언론의 권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테러리즘과 관계없는 취재를 하는 기자들마저도 위협하고 있다"며 "미국의 언론자유 침해 수준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핀란드,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등 4개국 공동1위
반면 핀란드,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등 4개국은 공동 1위를 차지해 언론인들이 활동하기 가장 좋은 국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작년 이슬람의 예언자 마호메트 만평 파문을 겪은 덴마크는 만화 저자에 대한 위협 때문에 순위가 작년 공동 1위에서 19위로 급락했다. 만평을 재게재한 아랍권의 언론인들과 언론사들에 대한 탄압으로 예멘(1백49위), 알제리(1백26위), 요르단(1백9위), 인도(1백5위) 등의 순위도 작년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프랑스는 안보와 언론간의 긴장으로 순위가 작년 30위에서 올해 35위로 떨어졌다. 이는 2002년에 비하면 무려 24계단이나 떨어진 수치다.
전쟁이 끊이지 않은 레바논은 지난 5년 동안 56위에서 1백7위로 떨어졌으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도 각각 1백34위와 1백35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RSF는 정치적 탄압이 심한 이란과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의 언론자유도 거의 바닥권이라고 밝혔다.
RSF는 2002년부터 매년 세계언론자유지수를 발표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특파원 1백30명과 기자, 법률 전문가, 인권활동가들과의 연계를 토대로 진행됐다.
"한국, 뉴질랜드 다음으로 아시아에서 언론자유 구가"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언론감시단체 <국경없는 기자회>(RSF)는 24일 전쟁과 정치적 탄압, 국가안보 우려, 점증하는 민족주의 등으로 미국·프랑스·일본·덴마크 등 세계 각국의 언론자유가 크게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31위로 전년보다 개선됐다고 밝혔다.
RSF가 1백68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6 세계언론자유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에 비해 3단계 오른 31위를 기록, 아시아권에서 뉴질랜드(18위)에 이어 가장 언론자유를 누리는 국가로 분류됐다.
반면에 일본의 경우는 점증하는 민족주의 탓에 언론 자유가 14단계나 하락한 51위로 추락했으며, 중국은 사회주의 당국의 언론통제를 받고 있다는 점을 들어 최하위권인 1백63위로 분류됐다.
또한 북한은 작년(1백67위)에 최하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가장 낮은 1백68위로 5년 연속 최악의 언론 탄압국이라는 불명예를 썼다. RSF는 북한에 대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자국의 모든 언론을 계속해서 통제하고 있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북한과 함께 언론 침해국이라는 오명을 쓰게 된 국가는 에티오피아(1백60위), 사우디아라비아(1백61위), 이란(1백62위), 중국(1백63위), 미얀마(1백64위), 쿠바(1백65위), 에리트리아(1백66위), 투르크메니스탄(1백67위) 등이다.
RSF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불행하게도 언론자유를 억압하고 있는 나라들의 상황은 거의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북한, 에리트리아, 투르크메니스탄 등에서는 기자들이 취재를 하기 위해 목숨을 걸어야 하고 자신들의 취재원을 보호하거나 취재를 하기 위해서 감독에 가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언론자유도 급락
부시 대통령 때문에 미국의 언론자유도 급락했다.
RSF는 “저개발국이나 가난한 나라들에서도 점차 언론자유를 인식하는 흐름이 늘고 있는 반면 미국, 프랑스, 일본은 언론자유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경종을 울려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테러와의 전쟁으로 미국과 이라크 등에서 정부와 언론이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은 첫 조사가 실시된 2002년 17위였으나 올해에는 53위로 추락했다.
RSF는 “이는 ‘테러와의 전쟁’ 속에서 조지 W 부시 대통령 행정부와 언론 및 연방법원들 간 악화되고 있는 관계 탓으로 부시 행정부가 국가안보를 구실로 자신이 추구하는 ‘테러와의 전쟁’에 문제를 제기할 경우 수상한 언론인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미국이 보츠와나, 크로아티아, 통가 등 3개국과 함께 공동 53위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RSF는 "특히 미국은 연방법원인 33개주와 달리 취재원 보호라는 언론의 권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테러리즘과 관계없는 취재를 하는 기자들마저도 위협하고 있다"며 "미국의 언론자유 침해 수준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핀란드,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등 4개국 공동1위
반면 핀란드,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등 4개국은 공동 1위를 차지해 언론인들이 활동하기 가장 좋은 국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작년 이슬람의 예언자 마호메트 만평 파문을 겪은 덴마크는 만화 저자에 대한 위협 때문에 순위가 작년 공동 1위에서 19위로 급락했다. 만평을 재게재한 아랍권의 언론인들과 언론사들에 대한 탄압으로 예멘(1백49위), 알제리(1백26위), 요르단(1백9위), 인도(1백5위) 등의 순위도 작년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프랑스는 안보와 언론간의 긴장으로 순위가 작년 30위에서 올해 35위로 떨어졌다. 이는 2002년에 비하면 무려 24계단이나 떨어진 수치다.
전쟁이 끊이지 않은 레바논은 지난 5년 동안 56위에서 1백7위로 떨어졌으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도 각각 1백34위와 1백35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RSF는 정치적 탄압이 심한 이란과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의 언론자유도 거의 바닥권이라고 밝혔다.
RSF는 2002년부터 매년 세계언론자유지수를 발표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특파원 1백30명과 기자, 법률 전문가, 인권활동가들과의 연계를 토대로 진행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