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전셋값 3년6개월래 최고 급등
전셋값상승률 0.8%, 집값은 0.5% 상승
가을철 이사철을 맞은 가운데 9월 전국 전셋값 상승률이 0.8%를 기록, 3년 6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집값도 0.5%로 전달인 8월에 기록한 0.2%에 비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용인 기흥 3.6%로 전국 최고 상승률
3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9월 전국 전셋값은 매수 대기자의 전세수요 전환, 가을 이사철 및 입주물량의 급감에 따른 계절적 수요 증가로 2003년 3월 이후 42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용인 기흥이 3.6%로 전국 최고의 상승률을 보였고, 파주(2.9%), 서울 은평.중랑(이상 2.3%), 고양 덕양(2.7%), 과천(2.8%) 등 수도권 대부분 지역도 강세를 보여 수도권의 주택 및 전세난이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경우 강북(1.3%)이 강남(1.2%)을 능가했고 울산(1.6%), 경기(1.5%), 인천(0.9%), 전남(0.7%)의 상승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이 2%이상 급등한 시.군.구만도 대구 달성(2.9%), 울산 북(3.1%).동(2.7%), 수원 장안(2.1%).권선(2.5%), 구리(2.2%), 용인 처인(2.2%), 수지(2.2%), 화성(2.5%), 충남 공주(2%) 등 16곳이나 됐다.
집값은 경기, 울산(이상 1%), 서울(0.8%)만이 전국 상승률을 웃돌았는데 특히 부천 오정(2.9%), 고양 덕양(2.7%),구리(2.3%), 부천 소사(2%), 서울 양천(1.9%).강서.동작(이상 1.3%), 수원 팔달(1.9%), 울산 북(1.6%) 등이 많이 올랐다.
반면 충남 공주(-0.8%), 대전 대덕(-0.7%), 대전 서, 부산 사상, 대구 수성(이상 -0.5%), 성남 분당(-0.1%)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전셋값은 중.소형(0.9%)이 대형(0.6%)에 비해 상승률이 높았으며 매매값은 0.4-0.5%로 평형별 상승률이 비슷했다.
이같은 전셋값 급등은 통계청이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 등 서민들의 주거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통계조사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통계청 조사결과 가을 이사철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9월 중 집세 중 전세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1.0% 상승, 지난 2004년 11월(1.1%) 이후 1년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셋값 급등은 올해 9월과 10월 수도권 입주 물량이 작년 동기(2만2천99가구)와 비교할 때 68% 수준인 1만5천2백가구에 그치는 등 전세물건 품귀현상이 극심해진 데다, 올해가 2년마다 전세계약이 갱신되면서 재계약을 하는 '짝수 전세계약 연도'이며,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전세수요가 더욱 늘어난 결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국민은행은 전셋값이 3년6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며, 최근 중개업체 설문 결과 9월 들어 주택 매매시장에서 '매수세 우위'가 증가하고 '매도세 우위'는 하락했고 전세시장은 거래가 활발하다는 응답이 11.8%로 3월이후 6개월만에 10%를 넘었다고 설명했다.
용인 기흥 3.6%로 전국 최고 상승률
3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9월 전국 전셋값은 매수 대기자의 전세수요 전환, 가을 이사철 및 입주물량의 급감에 따른 계절적 수요 증가로 2003년 3월 이후 42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용인 기흥이 3.6%로 전국 최고의 상승률을 보였고, 파주(2.9%), 서울 은평.중랑(이상 2.3%), 고양 덕양(2.7%), 과천(2.8%) 등 수도권 대부분 지역도 강세를 보여 수도권의 주택 및 전세난이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경우 강북(1.3%)이 강남(1.2%)을 능가했고 울산(1.6%), 경기(1.5%), 인천(0.9%), 전남(0.7%)의 상승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이 2%이상 급등한 시.군.구만도 대구 달성(2.9%), 울산 북(3.1%).동(2.7%), 수원 장안(2.1%).권선(2.5%), 구리(2.2%), 용인 처인(2.2%), 수지(2.2%), 화성(2.5%), 충남 공주(2%) 등 16곳이나 됐다.
집값은 경기, 울산(이상 1%), 서울(0.8%)만이 전국 상승률을 웃돌았는데 특히 부천 오정(2.9%), 고양 덕양(2.7%),구리(2.3%), 부천 소사(2%), 서울 양천(1.9%).강서.동작(이상 1.3%), 수원 팔달(1.9%), 울산 북(1.6%) 등이 많이 올랐다.
반면 충남 공주(-0.8%), 대전 대덕(-0.7%), 대전 서, 부산 사상, 대구 수성(이상 -0.5%), 성남 분당(-0.1%)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전셋값은 중.소형(0.9%)이 대형(0.6%)에 비해 상승률이 높았으며 매매값은 0.4-0.5%로 평형별 상승률이 비슷했다.
이같은 전셋값 급등은 통계청이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도 그대로 나타나는 등 서민들의 주거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통계조사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통계청 조사결과 가을 이사철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9월 중 집세 중 전세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1.0% 상승, 지난 2004년 11월(1.1%) 이후 1년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셋값 급등은 올해 9월과 10월 수도권 입주 물량이 작년 동기(2만2천99가구)와 비교할 때 68% 수준인 1만5천2백가구에 그치는 등 전세물건 품귀현상이 극심해진 데다, 올해가 2년마다 전세계약이 갱신되면서 재계약을 하는 '짝수 전세계약 연도'이며,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전세수요가 더욱 늘어난 결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국민은행은 전셋값이 3년6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며, 최근 중개업체 설문 결과 9월 들어 주택 매매시장에서 '매수세 우위'가 증가하고 '매도세 우위'는 하락했고 전세시장은 거래가 활발하다는 응답이 11.8%로 3월이후 6개월만에 10%를 넘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