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영연맹, '신기록 수영복' 일부 퇴출 판정
FINA 이사 "수영복 아닌 선수와 코치의 힘으로 최고가 되길"
국제수영연맹(FINA)이 신기록 경신을 겨냥해 개발된 최첨단 재질 수영복 일부에 대해 퇴출 판정을 내렸다.
AP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FINA는 20일(한국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전문가위원회를 열고 전체 348종의 수영복 중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10종의 경기용 수영복을 오는 7월 로마세계선수권대회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FINA는 지난해 베이징올림픽 때부터 새로운 소재와 디자인의 수영복을 입은 선수들이 수많은 세계 최고 기록을 세우는 가운데 '기술 도핑'이라는 등의 논란이 일자 지난 1년여간 21개 수영복 제조사의 수영복 348종을 모두 조사해왔다.
그 결과 조사대상 수영복 가운데 202종의 수영복은 사용을 허용한 반면 10종의 수영복에는 부적합 판정, 그리고 136종의 수영복은 제조사에 디자인 등을 부분적으로 바꿔 한 달 안에 다시 제출해 다시 심의를 받도록 했다.
이번에 사용이 금지된 10개 수영복은 부력과 두께가 제한 규정을 초과해 퇴출됐다는 것이 FINA 측의 설명이다. 이로써 오는 7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은 대회에서 이번에 FINA로부터 부적합 판정을 받은 10종의 수영복을 착용할 수 없게 됐다.
한편 이번 FINA의 전면적인 수영복 심의 결과로 인해 세계적인 수영복 제조사들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해 무려 108개의 세계신기록이 작성되는 데 일조한 스피도의 레이저(LZR) 수영복은 무사히 심의를 통과한 반면, 올 시즌 자유형 100m 세계신기록을 세운 알랭 베르나르가 착용한 수영복인 아레나의 X-글라이드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마린 보이' 박태환(단국대)은 다행히 스피도 제품을 사용하고 있어 현재 착용하는 자신의 수영복을 그대로 로마 세계선수권에 착용할 수 있다.
FINA 코넬 마르쿨레스쿠 총괄이사는 "우리는 제조업자와 논쟁을 하거나 더욱 많은 제품을 승인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로마 대회에서는 수영복이 아닌 선수와 코치의 힘으로 최고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AP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FINA는 20일(한국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전문가위원회를 열고 전체 348종의 수영복 중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10종의 경기용 수영복을 오는 7월 로마세계선수권대회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FINA는 지난해 베이징올림픽 때부터 새로운 소재와 디자인의 수영복을 입은 선수들이 수많은 세계 최고 기록을 세우는 가운데 '기술 도핑'이라는 등의 논란이 일자 지난 1년여간 21개 수영복 제조사의 수영복 348종을 모두 조사해왔다.
그 결과 조사대상 수영복 가운데 202종의 수영복은 사용을 허용한 반면 10종의 수영복에는 부적합 판정, 그리고 136종의 수영복은 제조사에 디자인 등을 부분적으로 바꿔 한 달 안에 다시 제출해 다시 심의를 받도록 했다.
이번에 사용이 금지된 10개 수영복은 부력과 두께가 제한 규정을 초과해 퇴출됐다는 것이 FINA 측의 설명이다. 이로써 오는 7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은 대회에서 이번에 FINA로부터 부적합 판정을 받은 10종의 수영복을 착용할 수 없게 됐다.
한편 이번 FINA의 전면적인 수영복 심의 결과로 인해 세계적인 수영복 제조사들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해 무려 108개의 세계신기록이 작성되는 데 일조한 스피도의 레이저(LZR) 수영복은 무사히 심의를 통과한 반면, 올 시즌 자유형 100m 세계신기록을 세운 알랭 베르나르가 착용한 수영복인 아레나의 X-글라이드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마린 보이' 박태환(단국대)은 다행히 스피도 제품을 사용하고 있어 현재 착용하는 자신의 수영복을 그대로 로마 세계선수권에 착용할 수 있다.
FINA 코넬 마르쿨레스쿠 총괄이사는 "우리는 제조업자와 논쟁을 하거나 더욱 많은 제품을 승인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로마 대회에서는 수영복이 아닌 선수와 코치의 힘으로 최고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