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새우깡' 이어 '건면 라면'에선 벌레 나와
농심 생산제품에 대한 불신, 전방위로 확산
농심의 '새우깡'에 이어 농심의 '건면' 용기라면 제품에서도 벌레가 나와, 농심 제품에 대한 불신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광주에 사는 류모씨는 22일 "지난 1월 말에서 2월 초 사이 농심의 건면 용기라면을 먹던 중 면에서 유충 4마리와 유충 껍데기를 발견했다"며 그동안 냉동실에 얼려 보관해온 문제의 용기라면을 언론에 공개했다.
문제의 라면에는 면발에 몇마리의 벌레가 붙어 있었으며, 밑바닥에는 유충 껍데기도 발견됐다.
류씨는 이 사실을 농심측에 통고하며 시정 조치를 요구했으나, 농심 측은 직원을 보내 문제의 라면만 회수하려 해 이를 넘겨주지 않고 그동안 냉동실에서 보관해왔다고 밝혔다.
류씨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설 연휴 전에 피해사실을 알렸는데도 회사 측에서는 식품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며 "이후 한 달여간 아무 소식이 없다가 `생쥐머리 새우깡'으로 파문이 일자 나에게 이틀 연속 찾아와 라면을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농심측은 이에 대해 "면은 110도의 고온에서 30분 동안 익히고 스프는 영하 35도에서 동결처리해 벌레가 나올 수 없다"며 자신들의 책임을 강력 부인했다.
광주에 사는 류모씨는 22일 "지난 1월 말에서 2월 초 사이 농심의 건면 용기라면을 먹던 중 면에서 유충 4마리와 유충 껍데기를 발견했다"며 그동안 냉동실에 얼려 보관해온 문제의 용기라면을 언론에 공개했다.
문제의 라면에는 면발에 몇마리의 벌레가 붙어 있었으며, 밑바닥에는 유충 껍데기도 발견됐다.
류씨는 이 사실을 농심측에 통고하며 시정 조치를 요구했으나, 농심 측은 직원을 보내 문제의 라면만 회수하려 해 이를 넘겨주지 않고 그동안 냉동실에서 보관해왔다고 밝혔다.
류씨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설 연휴 전에 피해사실을 알렸는데도 회사 측에서는 식품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며 "이후 한 달여간 아무 소식이 없다가 `생쥐머리 새우깡'으로 파문이 일자 나에게 이틀 연속 찾아와 라면을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농심측은 이에 대해 "면은 110도의 고온에서 30분 동안 익히고 스프는 영하 35도에서 동결처리해 벌레가 나올 수 없다"며 자신들의 책임을 강력 부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