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원희룡 "비 오는 날 밤 차선 안보인 이유, 알고보니..."

"도로차선 공사 하며 불법하도급 주고 수백억 챙겨"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도로 차선 공사를 하면서 불법하도급을 주고, 수백억 원을 챙긴 업체와 관계자들이 적발되었다"고 밝혔다.

원희룡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비 오는 날 밤에 차선이 잘 보이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런 불법하도급과 부실시공이었던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더욱이 도로공사 직원들은 국민안전을 위협할 것을 알면서도 가짜 수주업체에 일감을 던져줬다니, 기가 찰 노릇"이라며 "결국, 이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며 수백억원의 세금을 도둑질한 것"이라고 도로공사를 질타했다.

그는 "공공 전반에 만연한 불법하도급과 이권 카르텔, 국토부가 앞장 서 확실히 바로잡겠다"고 말해, 향후 이권 카르텔 조사가 토지주택공사, 도로공사를 뛰어넘어 전방위로 확산될 것임을 시사했다.
박도희 기자

댓글이 15 개 있습니다.

  • 0 0
    콩두부

    불량하도급으로 진행되지 않는 구간은 잘 보이나요?
    차선은 시간이 지나면 도료에 섞인 유리알이 타이어와의 마찰로 이탈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단, 비싼도료, 정상적인 공사는 좀 더 오래갈 뿐이다.
    미국과 같이 차선을 점과 점의 연장선으로 보면 해결이 쉽다
    https://youtu.be/qUr7v4Hw7aY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1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2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1
    이런건 경찰이 발표하는거 아니냐

    얼마나 할짓 없으면
    경찰거까지 뺏어서 지넘이 발표하냐
    대가리 좋은 넘들은 죄다 사기꾼 된다더만
    희룡이도 사기꾼이 더 어울리네

  • 1 2
    양평 고속도로 비리

    원희룡이 대권에 관심 있다면
    양평 고속도로 종점 비리
    파헤쳐야 한다

    김건희 잡고 윤석열 때려야
    원희룡 대권 먹는다

  • 1 0
    선권

    조심해라. 그론놈들 특기가 성추행으로 엮는거다

  • 2 1
    원희룡 화이팅

    밑에 민주노총 빨갱이야
    이때다 하고 선전선동???
    노조에 주사파를 얹은 너희가 젤 저질이야

  • 2 1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3 0
    잘하고 있다

    말그대로의 의지가 사실이라면
    칭찬해야 겠지만 새로운 이권 세력을
    키우기 위한거라면 안된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1 0
    건설노조가아니라 건설 불법하도급이적폐

    https://vop.co.kr/A00001633318.html
    전문가들 하도급 최저가낙찰제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고
    학동 철거 건물 붕괴사고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당초 3.3㎡당 28만원으로 책정된 해체공사비가
    불법 재하도급을 거치며 4만원으로 대폭 줄어들었는데
    이런 경우 숙련 건설기능인을 확보 할수 없어서
    위험한부실공사를 할수밖에업는 구조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