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위안화 연말까지 4% 이내 소폭 추가절상 그칠 것”

KIEP, “중국 위안화 급속한 평가절상 가능성 낮다"

위안화 추가절상에 대한 국내외적 압력으로 조만간 중국정부의 위안화 변동폭 확대조치가 예상되지만, 과도한 추가절상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5일 발표한 ‘중국의 환율변동폭 확대 가능성에 대한 평가 및 전망’ 보고서에서 "2005년 7월 단행된 환율제도 변경 이후에도 중국의 무역수지 흑자가 오히려 증가하는 등 위안화 평가절상 요인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면서 "특히 최근 중국의 외환보유액 급증과 지난달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위안화 절상압력이 재개되면서 위안화의 환율유연성 제고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소폭의 추가절상에 그칠 것"으로 진단했다.

이는 최근 중국이 지난해 무역수지 흑자를 1천21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일본을 제치고 세계최대의 외환보유국으로 부상함에 따라 위안화 절상압력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같은 급증 추세는 무역흑자의 급속한 증가,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지속적인 유입, 투기성 자금의 유입증대에 따른 것으로 향후에도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중국 내에서도 경제 불균형 심화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 위안화 변동폭 점진 확대로 절상요인 해소할 것”

KIEP는 이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는 위안화 변동폭의 점진적 확대를 통해 환율유연성을 높이고 위안화 절상요인을 해소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경우 지난 2005년 7월 환율제도 변경으로 ±0.3%로 유지되고 있는 위안화의 대미 달러 변동폭은 ±1.5%를 넘지 않는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적정밴드인 ±2.4∼±3.4% 수준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KIEP는 “중국정부가 지난해 7월 외환제도 변경 이후 환율유연성 확대 및 투기성 자금 유입에 대비하여 종합포지션관리제도 도입, 달러화를 제외한 기타 외환의 변동폭 완화, 시장조성자제도 도입,해외증권투자 허용 등의 조치들을 잇달아 도입하는 등 외환관리시스템 개선을 추진해왔다”며 “그러나 환율변동폭이 확대되더라도 위안화의 급속한 평가절상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인구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중국팀장은 "위안화의 과도한 평가절상은 미국 채권시장의 위축과 중국산 수입품 가격상승에 따른 미국 물가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다"면서 "또 중국 진출 미국기업들의 수익성 악화와 미국제품 수입수요 감소 등으로 미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위안화의 과도한 추가절상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평가했다.

이 팀장은 “중국정부가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환율의 절상속도 및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조절해나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환율변동폭이 확대되더라도 추가절상 폭이 작을 것”이라며 “따라서 위안화는 연말까지 4% 이내로 소폭의 추가절상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덧붙였다.

IMF “중국 새 부실대출 발생 가능성 높아...추가 긴축정책 필요”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은 지난달 27일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금리를 5.58%에서 5.85%로 전격 인상, 다음날인 28일 아시아를 중심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 주가가 출렁이고 국제 원자재시장에서도 급등세를 보이던 금.은 등에 대해 투매 현상이 나타나는 등 파장이 확산된 데다 이후 중국의 추가 금리 인상 움직임에 대한 논란이 제기돼 왔다.

이와 관련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2일 중국의 지난달 27일 대출금리 인상이 상징적인 조치에 불과해 경기 과열 억제를 위한 추가적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완다 쳉 IMF 아태담당 부이사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중국 정부가 경기 과열 억제를 위해 상대적으로 일찍 조치를 취한 것은 긍정적이나, 1년 만기 대출금리를 5.85%로 0.27%포인트 인상하는 데에 그치는 등 금리인상폭이 너무 적어 상징적인 조치에 그쳤다”며 “중국의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해 수익성이 없는 프로젝트에까지 은행 대출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부실대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건설 부동산 등 과잉 부문을 억제하기 위해 추가적인 긴축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