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동성애.트랜스젠더.이주노동자 문제 서구문화 침투 탓"?

범민련 주장에 민노당 발끈, ‘기사 삭제-공개사과’ 촉구

동성애와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 문화를 ‘외래자본의 예속성 심화, 서구문화의 침투’ 등으로 해석한 조국통일연합남측본부(범민련)의 지난 3월 기고글이 뒤늦게 민주노동당 안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민족통일운동진영의 대표적인 단체인 범민련 정책위원회가 기관지 ‘민족의 진로’에 기고한 ‘실용주의의 해악에 대하여’라는 칼럼에서 주장한 내용이 진보진영의 성소수자인권운동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는 것.

범민련 “민족성 견지 못한 탓에 동성애.트랜스젠더.이주노동자 문제 심각”

범민련은 글을 통해 서구 실용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문제를 비판하면서 “외국인 노동자문제, 국제결혼, 영어 만능적사고의 팽배, 동성애와 트랜스젠더, 유학과 이민자 급증, 극단적 이기주의 만연, 종교의 포화상태, 외래자본의 예속성 심화, 서구문화의 침투 등 불과 몇 년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범민련은 이어 “이 문제들은 유심히 살펴보면 90년대를 기점으로 우리사회에 신자유주의 개방화, 세계의 일체화와 구호가 밀고 들어오던 시점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며 “유형은 달라도 결국은 이남사회가 민족성을 견지하지 못하고 민족문화전통을 홀대하며, 자주적이고 민주적이지 못한 상태에서 외래적으로 침습해오고 그것이 확대재생산되는 구조속에서 이 문제들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래자본 예속성 심화, 유학과 이민자 급증 등 90년대 이후 두드러지고 있는 사회문제와 동성애.트랜스젠더, 이주노동자의 등장을 동일선상에서 비유한 것.

이에 대해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성소수자위원회, 동성애자인권연대 등은 “사회적 소수자의 차별을 심화시키는 천박한 발상”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동성애자인권연대 “민족 앞세워 다양성 짓밟는 파시즘적 발상”

동성애자인권연대는 이와 관련 지난 4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글을 게재한 범민련에 ‘실용주의 철학의 유입으로 발생한 사회문제 중 사회적 소수자들이 언급된 이유 등’을 질의했다.

그러나 되돌아온 범민련의 질의 답변은 “글쓴이의 생각을 존중하며 편집 의도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면 글을 살려 싣고 있으며, 소수자문제를 언급한 것이 아닌 복잡한 사회현상을 언급했다”며 별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범민련은 동성애자인권연대가 제기한 문제점들에 대해 “한국사회에서 토론 의제로 될 수 있으며 앞으로 사회적으로 충분한 토론과 이해가 넓어지기를 기대한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보내왔다.

동성애자인권연대는 이와 관련 7일 성명을 통해 “해당 기사를 접한 성소수자활동가는 물론, 여수화재참사로 실음에 잠겨있는 이주노동자들, 그리고 진보적 사회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여러 사람들이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며 범민련의 공개사과 및 기사 삭제를 촉구했다.

인권연대는 “해당 기사는 범민련 남측본부 측이 민족 우선주의에 메여 자본주의의 현실과 사회적 소수자들의 차별받는 현실 그리고 사회적 소수자들의 운동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 문제를 아무런 고민 없이 ‘복잡해지는 사회현상’으로만 바라보는 범민련 남측본부 측에 분노한다”고 밝혔다.

인권연대는 나아가 범민련 측의 주장을 “민족을 앞세워 다양성을 짓밟는 파시즘”이라고 규정하며 “이번 사건이 진보진영안의 진정한 ‘진보를 가늠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권연대는 “ 90년대 들어 성소수자들은 차별과 억압을 끊기 위해, 이주노동자들은 노동권을 보장받고 죽음으로 내몰리는 처지를 벗어나기 위해 싸우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세력은 범민족연합 남측본부뿐”이라고 꼬집었다.

민노당 “범민련, 사회적 소수자들에게 명확히 답하라”

민주노동당도 공식 “‘민족의 진로’측은 소수자들의 요구에 답해야 한다”며 공식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나섰다.

김형탁 민노당 대변인은 7일 논평을 통해 “실용주의 철학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기사 전체를 문제 삼고 싶은 생각은 없다”면서도 “문제의 구절은 분명히 복잡해지는 사회현상을 나열한 정도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또 “편집국의 답변대로 사회현상으로 이해했다 하더라도 사회적 소수자 문제를 사회현상 정도로 취급하는 것은 대단히 심각하다”며 “사회적 소수자들은 이중의 차별과 억압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신자유주의 반대 투쟁의 주체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한국사회에서 토론의제가 될 수 있다’는 범민련의 답변에 대해 “이 문제가 진보진영 내에서 또다시 토론을 통해 이해를 넓혀야 하는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며 “민족의 진로는 사회적 소수자들의 요구에 대해 명확한 태도로 답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과 동성애자인권연대, 이주노동자노조 등은 향후 범민련 측이 해당기사를 삭제하고 지면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사과를 촉구하는 공동대응을 벌여나갈 예정이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