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상설특검만 수용 가능", 거취는 노코멘트
현안 챙기면서 버티기 계속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3일에도 국회 일정 및 현안과 관련해서만 의견을 개진할 뿐, 자신의 거취에 대해선 침묵으로 일관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사퇴를 공개 압박한 후 8일째 버티기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야당의 '성완종 리스트 별도특검' 주장에 대해 "작년 여야 합의로 통과돼 현재 시행중인 상설특검법을 무시하고 야당이 4월 28일 제출한 별도의 특검법으로 하자는 야당의 주장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야당이 상설특검법에 동의한다면 언제든지 여야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며 상설특검만을 수용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정부의 노동시장 개혁에 반발해 한국노총이 18년만에 총파업을 결의한 것과 관련해선 "그렇지 않아도 메르스 사태 등으로 경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인데 한노총의 총파업은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것"이라며 "한노총은 총파업 할 것이 아니라 노사정 대화의 장으로 나와서 노사가 상생하는 노동시장 개혁의 틀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책무가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밖에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지원 및 국회 결산심사 등을 독려했을 뿐,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조원진, 노철래 의원 등은 회의 시작에 앞서 "친이와 친박을 나눠서 앉자"며 뼈있는 농을 건네 팽팽한 당내 대립기류를 드러내기도 했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야당의 '성완종 리스트 별도특검' 주장에 대해 "작년 여야 합의로 통과돼 현재 시행중인 상설특검법을 무시하고 야당이 4월 28일 제출한 별도의 특검법으로 하자는 야당의 주장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야당이 상설특검법에 동의한다면 언제든지 여야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며 상설특검만을 수용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정부의 노동시장 개혁에 반발해 한국노총이 18년만에 총파업을 결의한 것과 관련해선 "그렇지 않아도 메르스 사태 등으로 경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인데 한노총의 총파업은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것"이라며 "한노총은 총파업 할 것이 아니라 노사정 대화의 장으로 나와서 노사가 상생하는 노동시장 개혁의 틀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책무가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밖에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지원 및 국회 결산심사 등을 독려했을 뿐,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조원진, 노철래 의원 등은 회의 시작에 앞서 "친이와 친박을 나눠서 앉자"며 뼈있는 농을 건네 팽팽한 당내 대립기류를 드러내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