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는 내전이나 국제전 아닌 복합전"
[학술회의] “맥아더 논쟁 소모전으로 번지는 것 경계해야”
6.25 전쟁은 내전이나 국제전이 아닌 복합전쟁 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고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31일 한국전쟁학회가 배재대 학술지원센터에서 개최한 '한국전쟁의 성격과 맥아더 논쟁의 재조명'이라는 주제의 학술회의에서 "한국전쟁을 동족상잔이나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이라는 일차원적, 양극단적 관점에서 벗어나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분단의 초기 성격과 6ㆍ25전쟁의 성격’이라는 논문을 발제한 이교수는 “한국전쟁은 내전도, 국제전도 아니며 북한의 주장처럼 조국(민족)해방전쟁의 성격만 지닌 것도 아니다”라며 “분단에서 전쟁 발발에 이르기까지 남북의 내적 요인, 미소 냉전체제의 외적 요인이 계속 중첩됐다는 점을 들어 한국전쟁은 ‘복합전’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쟁 성격이 국면마다 달라지고 내외 요인 중첩된 복합전
이교수는 “발발을 모의하는 단계에서 국제전 성격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실제 북한 중국 소련 등 ‘북방 3각’이 전쟁을 주도했다”며 “그러나 정작 발발 직후에는 김일성이 혼자 싸우면서 내쟁적 성격이 부각됐으며 이후 미국과 중국의 참전으로 국제전적 성격이 더 강화되는 등 국면마다 특성이 변했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는 김일성 책임론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남침 승인과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전쟁이 스탈린의 세계 전략에 이용되고 우리 민족에게 어떤 파탄을 가져올 것인지 예상하지 못했다”며 “그런 점에서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교수는 “김일성은 중국의 공산주의 신정부 수립 등 동북아에서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는 전략적 상황을 이용, 미국과의 대결에서 승기를 잡으려는 소련의 공세 정책에 역이용당했다”며 “우리 민족이 겪은 엄청난 희생 때문에 인류가 3차 대전을 모면했는지도 모르며, 한국전쟁으로 미국과 일본이 평화조약과 군사방위조약을 체결하고 미국의 두 개의 중국정책이 공고화하는 등 동아시아의 냉전체제는 유럽과 달리 열전으로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김남균 평택대 교수는 최근 국내 진보와 보수진영의 대결국면까지 치달았던 맥아더 논쟁이 소모적인 논란으로 번지는 것을 경계했다.
김교수는 “맥아더는 ‘정복자’와 ‘해방자’라는 이중적인 역사적 역할을 가졌기 때문에 평가 역시 입장과 시각에 따라 편차가 클 수 밖에 없다”며 “인천상륙작전과 북진을 감행한 점령군이면서도 남한 국민에게는 해방자이며, 일본 국민에게도 점령군 사령관이자 군국주의로부터의 해방자라는 모순된 존재”라고 지적했다.
그는 “맥아더는 한반도와 일본에서 친미정권의 유지와 발전에 결정적 보호자 역할을 했다”며 “그를 빼고는 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 팽창의 역사를 논의할 수 없다”고 평했다.
맥아더는 정복자와 해방자라는 이중적 역할로 바라봐야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은 “필요 이상으로 영웅시할 이유도 없지만 맥아더가 주권을 지키기 어려운 절망적 상황에서 한국민을 구원한 것은 사실”이라며 “맥아더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전쟁의 확대나 원폭투하 주장 등과 관련해, 맥아더에게 모든 책임을 지우는 모순에 빠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조연구원은 “한국 지도자와 국민 대다수가 중공군의 개입 계기가 된 유엔군의 38선 북진을 희망했으며 당시 다수의 국민은 무력으로라도 통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미국 등의 원조로 김일성의 무력 남침이 실패했듯, 아군의 무력 통일도 중국 소련의 저지로 좌절된 것을 교훈 삼아 통일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데 더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은경 동덕여대 교수는 터키의 참전 성격에 대해 "터키에게 한국전쟁은 전적으로 이념전이었다"면서 "한국전쟁 파병으로 터키 국내에서 반소.반공체제를 구체화시킬 수 있었으며, 나아가 친미.친서방으로 전환된 외교노선을 전 세계에 공포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31일 한국전쟁학회가 배재대 학술지원센터에서 개최한 '한국전쟁의 성격과 맥아더 논쟁의 재조명'이라는 주제의 학술회의에서 "한국전쟁을 동족상잔이나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이라는 일차원적, 양극단적 관점에서 벗어나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반도 분단의 초기 성격과 6ㆍ25전쟁의 성격’이라는 논문을 발제한 이교수는 “한국전쟁은 내전도, 국제전도 아니며 북한의 주장처럼 조국(민족)해방전쟁의 성격만 지닌 것도 아니다”라며 “분단에서 전쟁 발발에 이르기까지 남북의 내적 요인, 미소 냉전체제의 외적 요인이 계속 중첩됐다는 점을 들어 한국전쟁은 ‘복합전’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쟁 성격이 국면마다 달라지고 내외 요인 중첩된 복합전
이교수는 “발발을 모의하는 단계에서 국제전 성격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실제 북한 중국 소련 등 ‘북방 3각’이 전쟁을 주도했다”며 “그러나 정작 발발 직후에는 김일성이 혼자 싸우면서 내쟁적 성격이 부각됐으며 이후 미국과 중국의 참전으로 국제전적 성격이 더 강화되는 등 국면마다 특성이 변했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는 김일성 책임론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남침 승인과 지원을 요청하면서도, 전쟁이 스탈린의 세계 전략에 이용되고 우리 민족에게 어떤 파탄을 가져올 것인지 예상하지 못했다”며 “그런 점에서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교수는 “김일성은 중국의 공산주의 신정부 수립 등 동북아에서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는 전략적 상황을 이용, 미국과의 대결에서 승기를 잡으려는 소련의 공세 정책에 역이용당했다”며 “우리 민족이 겪은 엄청난 희생 때문에 인류가 3차 대전을 모면했는지도 모르며, 한국전쟁으로 미국과 일본이 평화조약과 군사방위조약을 체결하고 미국의 두 개의 중국정책이 공고화하는 등 동아시아의 냉전체제는 유럽과 달리 열전으로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김남균 평택대 교수는 최근 국내 진보와 보수진영의 대결국면까지 치달았던 맥아더 논쟁이 소모적인 논란으로 번지는 것을 경계했다.
김교수는 “맥아더는 ‘정복자’와 ‘해방자’라는 이중적인 역사적 역할을 가졌기 때문에 평가 역시 입장과 시각에 따라 편차가 클 수 밖에 없다”며 “인천상륙작전과 북진을 감행한 점령군이면서도 남한 국민에게는 해방자이며, 일본 국민에게도 점령군 사령관이자 군국주의로부터의 해방자라는 모순된 존재”라고 지적했다.
그는 “맥아더는 한반도와 일본에서 친미정권의 유지와 발전에 결정적 보호자 역할을 했다”며 “그를 빼고는 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 팽창의 역사를 논의할 수 없다”고 평했다.
맥아더는 정복자와 해방자라는 이중적 역할로 바라봐야
조성훈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은 “필요 이상으로 영웅시할 이유도 없지만 맥아더가 주권을 지키기 어려운 절망적 상황에서 한국민을 구원한 것은 사실”이라며 “맥아더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전쟁의 확대나 원폭투하 주장 등과 관련해, 맥아더에게 모든 책임을 지우는 모순에 빠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조연구원은 “한국 지도자와 국민 대다수가 중공군의 개입 계기가 된 유엔군의 38선 북진을 희망했으며 당시 다수의 국민은 무력으로라도 통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미국 등의 원조로 김일성의 무력 남침이 실패했듯, 아군의 무력 통일도 중국 소련의 저지로 좌절된 것을 교훈 삼아 통일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데 더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은경 동덕여대 교수는 터키의 참전 성격에 대해 "터키에게 한국전쟁은 전적으로 이념전이었다"면서 "한국전쟁 파병으로 터키 국내에서 반소.반공체제를 구체화시킬 수 있었으며, 나아가 친미.친서방으로 전환된 외교노선을 전 세계에 공포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