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의 지상파 시청률, 10년새 반토막
20대 2.2%, 30대 3.5%, 40대 5.7%...신문 구독률도 반토막
지난 10년 사이 20~30대의 지상파 TV 뉴스 시청률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한국의 뉴스 미디어 2011'에 따르면 20대 시청자의 지상파TV 종합뉴스(메인뉴스) 시청률은 2001년 4.6%에서 올해 2.2%로 감소했으며 30대 역시 7.6%에서 3.5%로 줄었다.
반면, 60대 이상 시청자의 시청률은 2001년 11.1%에서 올해 11.5%로 오히려 늘었다.
50대 시청자는 11.1%에서 8.8%로 2.3%포인트, 40대는 9.2%에서 5.7%로 3.5%포인트 줄었다.
올해 지상파 3사의 뉴스 시청률을 보면 KBS가 18.3%로 가장 높았고, SBS 12.9%, MBC 9.8%로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지난 5년 사이 지상파TV의 뉴스를 내용별로 보면 사회, 경제, 문화, 국제 기사가 늘어난 반면 정치, 남북·북핵, 스포츠·연예 기사는 줄었다.
사회 뉴스는 2006년 전체 분량의 29.5%이던 것이 올해는 39.9%로 10%포인트 이상 늘어났다. 반면 남북·북핵 관련 기사는 7.5%에서 2.2%로 대폭 감소했다.
기사 형식은 스트레이트 기사가 2006년 85.3%에서 2011년 72.4%로 줄었고, 스트레이트 기사에 해설을 붙인 형식이 6.9%에서 9.7%로 늘었으며, 해설·해석 기사도 0.3%에서 6.3%로 많이 늘었다.
보고서는 "지상파 TV 뉴스가 속보 기능을 인터넷에 빼앗긴 가운데 심층 취재 강화를 시도했지만, 종합뉴스 프로그램의 포맷은 좀처럼 변화하지 않고 있다"며 "메인뉴스 중심의 제작구조를 벗어나 다양한 실험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신문 산업에 대해서는 광고 매출과 구독률의 지속적 하락을 지적하며 '위기'로 규정했다.
신문 산업의 광고 매출은 2000년 2조1천214억원에서 2009년 1조5천7억원으로 감소했으며 구독률 역시 2000년 59.8%에서 작년 29.0%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신문에 대한 신뢰도도 지속적으로 하락, 1996년 48.5%였던 신뢰도가 2000년 24.3%로, 2010년에는 다시 13.1%로 감소했다.
신문 산업 종사자의 직업 만족도는 1997년 54.0%에서 2003년 68.0%로 상승했지만, 2009년에는 62.7%로 하락세를 띠고 있으며 5점 만점으로 본 전직 희망 점수도 1997년 평균 2.6점에서 2009년 2.9점으로 상승했다.
신문 1면의 콘텐츠로는 스트레이트 기사 비중이 늘어난 반면, 분석·해설 기사나 인터뷰·좌담회 기사는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006년 80.3%였던 스트레이트 기사 비중은 올해 91.0%로 늘었다. 반면 분석·해설기사는 12.6%에서 4.4%로, 인터뷰·좌담회 기사는 2.4%에서 0.5%로 각각 감소했다.
인터넷 뉴스 미디어 중에서는 신문사의 자체 사이트보다 포털사이트의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지난 1주일간 인터넷 뉴스의 이용 방법'을 묻는 설문조사(복수응답)를 진행한 결과 86.5%가 '포털 첫 페이지의 뉴스 제목을 보고 뉴스를 클릭해봤다'고 답한 반면 '처음부터 인터넷 신문사를 찾아가 뉴스를 봤다'는 응답자는 4.3%밖에 안 됐다.
12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한국의 뉴스 미디어 2011'에 따르면 20대 시청자의 지상파TV 종합뉴스(메인뉴스) 시청률은 2001년 4.6%에서 올해 2.2%로 감소했으며 30대 역시 7.6%에서 3.5%로 줄었다.
반면, 60대 이상 시청자의 시청률은 2001년 11.1%에서 올해 11.5%로 오히려 늘었다.
50대 시청자는 11.1%에서 8.8%로 2.3%포인트, 40대는 9.2%에서 5.7%로 3.5%포인트 줄었다.
올해 지상파 3사의 뉴스 시청률을 보면 KBS가 18.3%로 가장 높았고, SBS 12.9%, MBC 9.8%로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지난 5년 사이 지상파TV의 뉴스를 내용별로 보면 사회, 경제, 문화, 국제 기사가 늘어난 반면 정치, 남북·북핵, 스포츠·연예 기사는 줄었다.
사회 뉴스는 2006년 전체 분량의 29.5%이던 것이 올해는 39.9%로 10%포인트 이상 늘어났다. 반면 남북·북핵 관련 기사는 7.5%에서 2.2%로 대폭 감소했다.
기사 형식은 스트레이트 기사가 2006년 85.3%에서 2011년 72.4%로 줄었고, 스트레이트 기사에 해설을 붙인 형식이 6.9%에서 9.7%로 늘었으며, 해설·해석 기사도 0.3%에서 6.3%로 많이 늘었다.
보고서는 "지상파 TV 뉴스가 속보 기능을 인터넷에 빼앗긴 가운데 심층 취재 강화를 시도했지만, 종합뉴스 프로그램의 포맷은 좀처럼 변화하지 않고 있다"며 "메인뉴스 중심의 제작구조를 벗어나 다양한 실험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신문 산업에 대해서는 광고 매출과 구독률의 지속적 하락을 지적하며 '위기'로 규정했다.
신문 산업의 광고 매출은 2000년 2조1천214억원에서 2009년 1조5천7억원으로 감소했으며 구독률 역시 2000년 59.8%에서 작년 29.0%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신문에 대한 신뢰도도 지속적으로 하락, 1996년 48.5%였던 신뢰도가 2000년 24.3%로, 2010년에는 다시 13.1%로 감소했다.
신문 산업 종사자의 직업 만족도는 1997년 54.0%에서 2003년 68.0%로 상승했지만, 2009년에는 62.7%로 하락세를 띠고 있으며 5점 만점으로 본 전직 희망 점수도 1997년 평균 2.6점에서 2009년 2.9점으로 상승했다.
신문 1면의 콘텐츠로는 스트레이트 기사 비중이 늘어난 반면, 분석·해설 기사나 인터뷰·좌담회 기사는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006년 80.3%였던 스트레이트 기사 비중은 올해 91.0%로 늘었다. 반면 분석·해설기사는 12.6%에서 4.4%로, 인터뷰·좌담회 기사는 2.4%에서 0.5%로 각각 감소했다.
인터넷 뉴스 미디어 중에서는 신문사의 자체 사이트보다 포털사이트의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지난 1주일간 인터넷 뉴스의 이용 방법'을 묻는 설문조사(복수응답)를 진행한 결과 86.5%가 '포털 첫 페이지의 뉴스 제목을 보고 뉴스를 클릭해봤다'고 답한 반면 '처음부터 인터넷 신문사를 찾아가 뉴스를 봤다'는 응답자는 4.3%밖에 안 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