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동아> "서울시민, 제발 투표 참여하라"
<중앙>은 사설 싣지 않고 관망 자세
<조선일보>는 이날자 사설을 통해 "주민투표 투표율이 33.3%에 미달해 투표함을 열지 못하면 야권은 자신들이 주장해 온 보편적 복지가 유권자의 선택이라고 주장할 수 있게 된다. 기획재정부는 정치권이 요구하는 각종 복지정책의 소요 재원을 모두 합치면 연간 평균 50조원가량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전체 예산 309조원 중 28%인 복지예산 비중이 44%로 급격하게 늘어나려면 교육이나 국방예산에서 그만큼 삭감하거나 국민들 세금 부담을 50조원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이어 "한 번 복지정책의 틀이 확대되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서는 것은 힘들다. 그리스·영국에서는 복지 축소로 청년들이 폭등을 일으켰다"며 "19세 미만의 다음 세대 인구 1100만명 어깨 위에 얹어질 부담도 서울 유권자 839만명의 선택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다른 투표에선 자신이 원하는 후보가 없으면 기권하는 선택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번 주민투표는 야권이 투표를 전면 거부함에 따라 투표율이 33.3%를 넘어 투표함을 열 수 있느냐 여부가 초점이 되고 말았다"며 "서울 시민들은 자신이 투표를 하지 않으면 기권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 복지에 표를 던지는 선택과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투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며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동아일보>도 이날 사설을 통해 "민주당을 비롯해 전면 무상급식을 주장하는 쪽은 ‘나쁜 투표, 착한 거부’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투표 불참을 외친다. 투표 거부도 일종의 의사표시라는 논리"라며 "유권자의 신성한 권리 행사에 ‘나쁜 투표’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나쁜 투표라면 휴일이 아닌데도 귀중한 시간을 내 투표장으로 향하는 시민은 ‘나쁜 시민’이란 말인가"라고 민주당 등을 비난했다.
사설은 "투표율이 33.3%를 넘겨 주민투표가 성립돼야만 그것이 가능하고 예산을 들여 투표를 시행한 의미를 갖는다. 국민의 생각을 알아야 바른 정책을 펼 수 있다"며 "서울시민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기회를 쉽게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투표 참여를 호소했다.
반면에 <중앙일보>는 이날 주민투표 관련 사설을 싣지 않고 관망하는 태도를 보여 대조를 이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