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남기훈 상사 시신, 제2함대사령부에 안치
고인의 부모 "내 새끼 어찌할까, 어찌할까"
"기훈아, 내 새끼 기훈아~ 아이고, 어쩔까~"
침몰한 '천안함' 함미에서 발견된 고(故) 남기훈(36) 상사의 시신이 4일 오전 9시30분께 경기도 평택 해군2함대 사령부에 안치됐다.
천안함 사격통제장치 책임직위인 '사통장'을 맡았던 고인은 이날 오전 8시 독도함에서 헬기에 실려 평택 2함대 내 임시 안치소로 옮겨졌다.
고인을 실은 헬기가 2함대 헬기장에 도착하자 양편으로 늘어서 있던 해군 장병 20여명이 구급차로 옮겨지는 고인을 향해 거수경례를 했다.
이어 헌병대 차량을 선두로 고인을 운구할 구급차는 인근 의무대 앞에 마련된 임시 안치소로 향했다.
임시 안치소 앞에 구급차가 들어오자 늘어선 장병 20여명이 거수경례를 했다.
이어 운구병 6명이 하얀색 천에 덮여 들것에 실린 고인을 의무대 안 검안장으로 운구했다.
고인이 운구되자 남 상사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내 새끼 어찌할까~ 내 새끼 어찌할까, 아이고 기훈아"를 목놓아 부르며 통곡했다.
남 상사 아버지는 싸늘한 주검이 돼 흰 천에 덮인 채 귀환한 아들을 연방 쓰다듬다 그 자리에 주저앉아 참았던 눈물을 터뜨리며 오열해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고인 안치 과정은 시종 무거운 분위기 속에 유족과 지인 10여명과 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30여분간 치러졌다.
유족들은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거나 두 손을 모으고 고인의 영면을 기도했다.
남 상사의 동기인 문종원(37.참수리 315호정 사통장) 중사는 "사통장 동기 34명 중 현재 (군에) 8명이 남았다. 한 명을 먼저 떠나보내 마음이 많이 아프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문 중사는 "항상 매사에 열심히 하고 '사통'직별에서 타의 모범이 되는 동기였다"라면서 "살아있을 거라는 희망을 품고 있었는데…"라고 고인을 추모했다.
2함대 관계자는 "실종자 가족협의회 결정에 따라 모든 실종자가 인양될 때까지 장례절차를 보류하기로 했다. 앞으로 절차는 가족 의견을 최우선으로 따라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침몰한 '천안함' 함미에서 발견된 고(故) 남기훈(36) 상사의 시신이 4일 오전 9시30분께 경기도 평택 해군2함대 사령부에 안치됐다.
천안함 사격통제장치 책임직위인 '사통장'을 맡았던 고인은 이날 오전 8시 독도함에서 헬기에 실려 평택 2함대 내 임시 안치소로 옮겨졌다.
고인을 실은 헬기가 2함대 헬기장에 도착하자 양편으로 늘어서 있던 해군 장병 20여명이 구급차로 옮겨지는 고인을 향해 거수경례를 했다.
이어 헌병대 차량을 선두로 고인을 운구할 구급차는 인근 의무대 앞에 마련된 임시 안치소로 향했다.
임시 안치소 앞에 구급차가 들어오자 늘어선 장병 20여명이 거수경례를 했다.
이어 운구병 6명이 하얀색 천에 덮여 들것에 실린 고인을 의무대 안 검안장으로 운구했다.
고인이 운구되자 남 상사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내 새끼 어찌할까~ 내 새끼 어찌할까, 아이고 기훈아"를 목놓아 부르며 통곡했다.
남 상사 아버지는 싸늘한 주검이 돼 흰 천에 덮인 채 귀환한 아들을 연방 쓰다듬다 그 자리에 주저앉아 참았던 눈물을 터뜨리며 오열해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고인 안치 과정은 시종 무거운 분위기 속에 유족과 지인 10여명과 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30여분간 치러졌다.
유족들은 손수건을 꺼내 눈물을 닦거나 두 손을 모으고 고인의 영면을 기도했다.
남 상사의 동기인 문종원(37.참수리 315호정 사통장) 중사는 "사통장 동기 34명 중 현재 (군에) 8명이 남았다. 한 명을 먼저 떠나보내 마음이 많이 아프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문 중사는 "항상 매사에 열심히 하고 '사통'직별에서 타의 모범이 되는 동기였다"라면서 "살아있을 거라는 희망을 품고 있었는데…"라고 고인을 추모했다.
2함대 관계자는 "실종자 가족협의회 결정에 따라 모든 실종자가 인양될 때까지 장례절차를 보류하기로 했다. 앞으로 절차는 가족 의견을 최우선으로 따라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