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절반 "문 닫을뻔 한 적 있다"
CEO 사망, 임직원 비리, 적대적 M&A, 생산제품 하자 때문
국내기업의 절반가량이 문을 닫아야 할 정도로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공회의소 3백개 제조업체 대상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은 최근 3백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위기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45.2%가 '존폐위기를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들 기업들은 위기의 원인으로 '최고경영진 사망, 임직원 비리, 적대적 인수·합병(M&A) 등 경영상 문제'(32.2%), '생산제품의 하자'(19.9%), '노사문제'(13.0%) 등을 꼽았다.
지속가능경영원은 실례로 지난 2004년 국내 불량만두 파동으로 대부분의 만두제조업체가 줄도산을 겪은 가운데 만두제조업체 A사 역시 3개월 동안 1백억원 가량의 매출 손실을 겪었던 사례를 들었다.
그러나 이 기업은 고객과 언론을 대상으로 제조과정에서 위생상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등 적극적인 위기관리 노력을 통해 2004년 목표치(3백억원)를 33%나 상회한 4백억원 매출을 달성하면서 위기를 우량기업 도약의 발판으로 삼았다.
프랑스 천연탄산수 제조기업인 페리에도 1990년 탄산음료 '페리에'제품에서 발암물질 벤젠이 검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기업은 즉각적인 조사 후 경영책임자가 언론을 통해 회사의 책임을 시인하고 2천5백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해 전세계 판매제품 1억6천만병을 수거하겠다고 밝혀 경영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지속가능경영원은 밝혔다.
기업들 위기관리 필요성 느끼나 관리에 어려움 느껴
지속가능경영원은 이같이 다양한 위기상황에 노출되면서 기업들은 위기관리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었다며, 조사결과 ‘위기관리가 필요한가’라는 물음에 응답기업 88.8%가 ‘그렇다’(‘매우 그렇다’(20.8%), ‘그렇다’(68.0%)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업들은 위기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기업들이 지적한 어려움으로는 ‘위기관리에 대한 낮은 인식’(37.6%), ‘신속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 부족’(25.6%), ‘정보 및 인력 부족’(15.2%) 등이 꼽혔다.
또 기업들은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담당 부서로 ‘기획부서’(29.9%), ‘홍보부서’(21.3%)를 많이 꼽은 반면 ‘특별한 부서가 없다’는 응답이 24.1%를 차지했으며, ‘위기관리 전담부서’를 두고 있다는 응답은 5.7%에 그쳤다.
위기 상황을 대비한 위기관리 매뉴얼 보유를 묻는 질문에는 ‘보유하고 있다’는 기업은 44.4%였으며,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기업은 55.6%로 많은 기업들이 위기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또 위기관리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78.4%가 ‘실제로 매뉴얼이 활용된 적이 없다’고 응답해 ‘매뉴얼’의 실효성도 뒤쳐지고 있었다.
기업이 위기상황에 부딪혔을 때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관리해 사건이 위기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90.4%를 차지했다.
기업이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대상으로는 ‘고객’(43.1%), ‘언론’(19.9%), ‘정부 유관기관’(14.8%), ‘시민단체’(6.5%) 등의 순이었다.
지속가능경영원은 효과적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매뉴얼’을 발간, 8월말까지 2천여 회원사에 배포할 예정이다.
상공회의소 3백개 제조업체 대상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은 최근 3백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국내기업의 위기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45.2%가 '존폐위기를 겪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들 기업들은 위기의 원인으로 '최고경영진 사망, 임직원 비리, 적대적 인수·합병(M&A) 등 경영상 문제'(32.2%), '생산제품의 하자'(19.9%), '노사문제'(13.0%) 등을 꼽았다.
지속가능경영원은 실례로 지난 2004년 국내 불량만두 파동으로 대부분의 만두제조업체가 줄도산을 겪은 가운데 만두제조업체 A사 역시 3개월 동안 1백억원 가량의 매출 손실을 겪었던 사례를 들었다.
그러나 이 기업은 고객과 언론을 대상으로 제조과정에서 위생상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등 적극적인 위기관리 노력을 통해 2004년 목표치(3백억원)를 33%나 상회한 4백억원 매출을 달성하면서 위기를 우량기업 도약의 발판으로 삼았다.
프랑스 천연탄산수 제조기업인 페리에도 1990년 탄산음료 '페리에'제품에서 발암물질 벤젠이 검출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 기업은 즉각적인 조사 후 경영책임자가 언론을 통해 회사의 책임을 시인하고 2천5백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해 전세계 판매제품 1억6천만병을 수거하겠다고 밝혀 경영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지속가능경영원은 밝혔다.
기업들 위기관리 필요성 느끼나 관리에 어려움 느껴
지속가능경영원은 이같이 다양한 위기상황에 노출되면서 기업들은 위기관리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었다며, 조사결과 ‘위기관리가 필요한가’라는 물음에 응답기업 88.8%가 ‘그렇다’(‘매우 그렇다’(20.8%), ‘그렇다’(68.0%)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업들은 위기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기업들이 지적한 어려움으로는 ‘위기관리에 대한 낮은 인식’(37.6%), ‘신속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 부족’(25.6%), ‘정보 및 인력 부족’(15.2%) 등이 꼽혔다.
또 기업들은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담당 부서로 ‘기획부서’(29.9%), ‘홍보부서’(21.3%)를 많이 꼽은 반면 ‘특별한 부서가 없다’는 응답이 24.1%를 차지했으며, ‘위기관리 전담부서’를 두고 있다는 응답은 5.7%에 그쳤다.
위기 상황을 대비한 위기관리 매뉴얼 보유를 묻는 질문에는 ‘보유하고 있다’는 기업은 44.4%였으며,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기업은 55.6%로 많은 기업들이 위기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또 위기관리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78.4%가 ‘실제로 매뉴얼이 활용된 적이 없다’고 응답해 ‘매뉴얼’의 실효성도 뒤쳐지고 있었다.
기업이 위기상황에 부딪혔을 때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관리해 사건이 위기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90.4%를 차지했다.
기업이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대상으로는 ‘고객’(43.1%), ‘언론’(19.9%), ‘정부 유관기관’(14.8%), ‘시민단체’(6.5%) 등의 순이었다.
지속가능경영원은 효과적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매뉴얼’을 발간, 8월말까지 2천여 회원사에 배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