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위기의 민노당 자주파, '전국모임' 해산

"심상정-노회찬, 탈당 선언 재고해달라"

민주노동당의 분당 국면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당내 자주파 계열의 '자주와 민주, 통일을 지향하는 전국모임(전국모임)'이 18일 다수파의 패권적 당 운영을 사과하며 해산 결정을 내렸다.

전국모임은 또 심상정, 노회찬 의원의 탈당 선언 제고를 호소하며 당 혁신에 전폭적인 협력과 지지를 약속하는 등 민노당 분열로 인한 자주파의 위기의식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전국모임의 해산 결정에도 불구하고 이날 하루만 서울, 경기, 경남, 강원, 광주지역에서 1천여명에 육박하는 당원들의 집단 탈당을 선언해 분당 사태를 진화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전국모임 "다수파의 패권주의 뒤늦게 깨달아"

전국모임은 '해산에 즈음하여'라는 성명을 통해 "당내 다수파의 패권적 모습으로 많은 동지들이 가슴 아파 하는 것에 대해 뒤늦게 나마, 저희들도 뼈저리게 깨닫고 있다"며 "이에 대한 해결은 분열과 탈당이 아니라 당의 공적 체계와 당의 민주적 질서를 바로 세우고 당이 노동자 민중의 바다로 제대로 들어갈 때 해결되는 것"이라고 분당 중단을 호소했다.

전국모임은 또 "탈당을 선언한 심상정, 노회찬 의원께 호소드린다"며 "민주노동당을 통해서 성장했고 민주노동당을 대변하고 있는 두 분 의원들이, 원칙에 근거해서 탈당 선언을 재고해 주실 것을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전국모임은 "다수파이자 당권파로서 당의 대선패배에 대한 정치적 도의적 책임감을 통감하며 작금의 당 분열상황을 막지 못한 통렬한 반성의 일환으로 2월 9일운영위원회에서 전국모임해산을 결의했다"며 "당의 위기를 거듭 혁신의 계기로 삼고자 백의종군의 자세로 지역과 현장으로 내려가 투쟁을 일으키고 진보정치의 새로운 무기들을 만들고자 한다"고 해산 배경을 밝혔다.

전국모임, 분당 자제 호소하면서도 심상정 비대위-탈당파 맹비난

전국모임은 그러나 분당의 기폭제가 됐던 종북주의 논란과 일심회 관계자 제명건을 비롯한 혁신안 부결에 대해서는 여전히 "근거없는 정치공세"라며 심상정 비대위와 탈당파를 맹비난했다.

전국모임은 "우리는 대선패배의 도의적 책임을 통감하고 심상정 비대위의 위기수습에 전폭적 협력을 약속했지만 분당을 위한 명분 쌓기로 종북주의와 패권주의 덧칠이 자행됐다"며 "근거없는 종북낙인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정치공세였다"고 주장했다.

전국모임은 심상정 비대위에 대해서도 "심상정 비대위는 친북색깔을 지운다는 명목으로 일심회 관련 당원의 제명을 공언했다"며 "심지어 ‘제명 안’을 당의 혁신안으로 설명하고 자신의 신임과 연계시키기 까지 했다"고 비판했다.

전국모임은 "천영세 대표를 중심으로 당의 위기를 수습하고 하루빨리 전열을 가다듬어 투쟁에 나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 새 출발은 노동자 민중에 대한 한결같은 사랑과 믿음, 우리 스스로 성찰하고 혁신하는 나날이 새로워지려는 우리의 결심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강원도, 광주 당원 2백여명 추가 탈당

한편, 자주파의 탈당 중단 호소에도 평등파들의 집단 탈당은 계속됐다. 이날 서울, 경기, 경남에 이어 광주와 강원도에서도 2백여명의 당원들이 집단 탈당을 선언했다.

광주시당 소속 한국노총 조합원 70여명은 이날 탈당 성명에서 "민주노동당이 비정규직 노동자와 사회적 약자의 바램을 외면하고 통일지상주의정당, 편햐적 친북정당, 탈법.편법 회계운영에 눈 감는 부도덕한 정당으로 전락했다"며 새로운 진보신당 창당에 합류하겠다고 밝혔다.

길기수 도당 위원장이 비대위에 참여했던 강원도당도 당원 1백50여명이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노당이 스스로 환골탈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민주노동당의 오류와 한계를 극복하고 노동자, 서민, 민중과 소통하는 진보정당의 꿈을 다시 펼치겠다"고 탈당을 선언했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3 2
    푸세

    간조기 전술이냐?
    집집마다 방공호는 파놨냐?
    방사포는 눈이 없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