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당 대참패, 그 무서운 '民의 심판'
<분석> 계급적-정치적 정체성 부재의 필연적 귀결
열린우리당이 참패했다. 참패도 보통 참패가 아니라 대참패다. '정동영 브랜드네임' 때문에 간신히 전북 한곳만 건졌을뿐, 나머지 지역에서 전패했다.
패해도 단순히 패한 게 아니다. 서울만 해도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자가 강금실 열린우리당 후보를 3배이상의 큰 표차로 이겼다. 대전 한곳에서만 박빙의 차이로 졌을뿐, 나머지 지역도 예외없이 압도적 표차로 패했다. 전남-광주에서조차 마찬가지였다. 울산, 충남, 제주에서는 2위 자리마저 민노당이나 무소속에게 내줘야 했다.
당연히 열린우리당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 예상했던 패배나, 민심의 복수가 너무 혹독했다. 어떻게 민심을 되돌릴 것인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조차 막막한 상황이다. '패배 책임' 소재를 따지기조차 불가능해 보인다. 노무현 대통령, 정동영 당의장, 열린우리당 의원들 그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책임론을 잘못 꺼냈다가는 여론의 더욱 호된 질타와 비아냥이 기다릴 뿐이다. 당이 공중분해될지도 모른다.
계급적 정체성-정치적 정체성 부재
왜 이 지경에 이르렀나.
박근혜 테러 때문이 아니다. 한나라당이 잘해서도 아니다. 민주당이 그리워서도 아니다. 정부여당이 너무 잘못해서다. 2004년 4월총선때의 정반대다.
뭘 잘못했나. 우리당은 선거운동기간 중 온갖 반성을 했다. "오만했다" "무능했다" "개혁초심을 잃었다" "민생을 소홀히 했다" "독선적이었다" 등등. 다 맞는 말이다. 이 모든 것이 복합 작용한 결과다. 그러나 본디 백화점식 반성은 반성이 아니다. 진짜 뭘 잘못했는지 모를 때 "잘못했다"가 봇물 터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핵심은 간단하다. 노무현정권을 탄생시킨 지지층을 배신했기 때문이다. 노정권을 탄생시킨 시대정신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노정권은 극적으로 탄생했다. 기득권세력과 보수메이저언론이 총공세를 펴고 막판 정몽준 후보가 후보지지 철회를 했음에도 노정권은 탄생했다. 기적같은 탄생이었다. 그만큼 '변화'를 바라는 시대적 요구가 컸다.
시대가 원한 '변화'의 핵은 노대통령 표현을 빌면 "반칙없는 세상만들기"였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는 이런 기대를 저버렸다. 특히 아파트값 폭등을 방치, 서민-젊은층의 집장만을 힘들게 만들고 불로소득에 따른 양극화를 심화시킨 게 결정적 실정이었다. 그러나 노대통령은 탄핵때 국민들이 다시 구해줬음에도 곧바로 "열배 남는 장사도 있는 법"이라는 명언으로 아파트투기를 정당화하고, 분양원가 공개요구를 거부했다. 근자 들어 뒤늦게 지지율 폭락의 근원을 발견, '부동산버블과의 전쟁'을 선호하고 나섰으나 이미 버스는 지나간 뒤였다.
불로소득 양산에 따른 양극화 심화로 내수경기가 침체하면서 민생 고통이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만 줄기차게 외친 '민생 불감증'도 문제였다. 뒤늦게 복지 증가 등을 외쳤으나 몇푼 복지 지원 갖고 풀릴 문제가 아니었다. 요컨대 '계급적 정체성' 부재의 인과응보다.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면서도 수시로 '지역주의성'을 드러낸 '정치적 정체성' 부재도 부메랑을 맞은 주요 원인이었다. 특히 한나라당에 대해 "한나라당과 우리당은 다른 게 별로 없다"고 한 노대통령의 '대연정'이 지지층 이반의 결정타였다. 지역구조 타파가 명분이었으나 지지층이 갖고 있던 '정치적 정체성'을 완전무시한 오만한 정치발상이었다. 최근 문재인 전 민정수석의 "부산정권" 발언이나,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의 "나는 대통령을 두번 배출한 경남의 아들" 발언 등은 노무현 정권의 지역성을 더욱 분명히 노정했다.
열린우리당은 노대통령의 궤도 이탈 때마다 '이게 아닌데...'라고 우려하면서도 결국은 끽소리 못하고 노대통령 방침을 추종하는 결정을 내리는 '거수기 정당'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쿼바디스 노정권
'정체성 부재'. 이는 쉽게 해결될 성질의 간단한 질병이 아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체질 자체를 바꿔야 하는 중병이다. 더욱이 우리당 의원들의 정체성은 극과 극이고, 상당수는 애매모호 그 자체다. 과연 현정권의 틀을 유지하면서 정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렇다고 민주당 등과의 지역연합 등으로 풀릴 문제도 아니다. 한나라당과의 대연정도 사실상의 '정권 인도'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기댈 것은 단하나, 사실상 거대권력이 된 한나라당이 또다시 과거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기를 기다릴 뿐이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과연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할 지, 그렇다고 반사이익이 열린우리당으로 돌아올 지는 의문이다. 또한 한나라당이 동일한 실수를 범한다 할지라도 '정체성 부재'의 현 체제로는 등돌린 지지층의 회귀를 기대하기란 난망하다.
'새 술은 새 부대에'. 열린우리당이 지금부터 고민해야 할 근본 화두일지 모른다.
패해도 단순히 패한 게 아니다. 서울만 해도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자가 강금실 열린우리당 후보를 3배이상의 큰 표차로 이겼다. 대전 한곳에서만 박빙의 차이로 졌을뿐, 나머지 지역도 예외없이 압도적 표차로 패했다. 전남-광주에서조차 마찬가지였다. 울산, 충남, 제주에서는 2위 자리마저 민노당이나 무소속에게 내줘야 했다.
당연히 열린우리당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 예상했던 패배나, 민심의 복수가 너무 혹독했다. 어떻게 민심을 되돌릴 것인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조차 막막한 상황이다. '패배 책임' 소재를 따지기조차 불가능해 보인다. 노무현 대통령, 정동영 당의장, 열린우리당 의원들 그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책임론을 잘못 꺼냈다가는 여론의 더욱 호된 질타와 비아냥이 기다릴 뿐이다. 당이 공중분해될지도 모른다.
계급적 정체성-정치적 정체성 부재
왜 이 지경에 이르렀나.
박근혜 테러 때문이 아니다. 한나라당이 잘해서도 아니다. 민주당이 그리워서도 아니다. 정부여당이 너무 잘못해서다. 2004년 4월총선때의 정반대다.
뭘 잘못했나. 우리당은 선거운동기간 중 온갖 반성을 했다. "오만했다" "무능했다" "개혁초심을 잃었다" "민생을 소홀히 했다" "독선적이었다" 등등. 다 맞는 말이다. 이 모든 것이 복합 작용한 결과다. 그러나 본디 백화점식 반성은 반성이 아니다. 진짜 뭘 잘못했는지 모를 때 "잘못했다"가 봇물 터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핵심은 간단하다. 노무현정권을 탄생시킨 지지층을 배신했기 때문이다. 노정권을 탄생시킨 시대정신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노정권은 극적으로 탄생했다. 기득권세력과 보수메이저언론이 총공세를 펴고 막판 정몽준 후보가 후보지지 철회를 했음에도 노정권은 탄생했다. 기적같은 탄생이었다. 그만큼 '변화'를 바라는 시대적 요구가 컸다.
시대가 원한 '변화'의 핵은 노대통령 표현을 빌면 "반칙없는 세상만들기"였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는 이런 기대를 저버렸다. 특히 아파트값 폭등을 방치, 서민-젊은층의 집장만을 힘들게 만들고 불로소득에 따른 양극화를 심화시킨 게 결정적 실정이었다. 그러나 노대통령은 탄핵때 국민들이 다시 구해줬음에도 곧바로 "열배 남는 장사도 있는 법"이라는 명언으로 아파트투기를 정당화하고, 분양원가 공개요구를 거부했다. 근자 들어 뒤늦게 지지율 폭락의 근원을 발견, '부동산버블과의 전쟁'을 선호하고 나섰으나 이미 버스는 지나간 뒤였다.
불로소득 양산에 따른 양극화 심화로 내수경기가 침체하면서 민생 고통이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만 줄기차게 외친 '민생 불감증'도 문제였다. 뒤늦게 복지 증가 등을 외쳤으나 몇푼 복지 지원 갖고 풀릴 문제가 아니었다. 요컨대 '계급적 정체성' 부재의 인과응보다.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면서도 수시로 '지역주의성'을 드러낸 '정치적 정체성' 부재도 부메랑을 맞은 주요 원인이었다. 특히 한나라당에 대해 "한나라당과 우리당은 다른 게 별로 없다"고 한 노대통령의 '대연정'이 지지층 이반의 결정타였다. 지역구조 타파가 명분이었으나 지지층이 갖고 있던 '정치적 정체성'을 완전무시한 오만한 정치발상이었다. 최근 문재인 전 민정수석의 "부산정권" 발언이나,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의 "나는 대통령을 두번 배출한 경남의 아들" 발언 등은 노무현 정권의 지역성을 더욱 분명히 노정했다.
열린우리당은 노대통령의 궤도 이탈 때마다 '이게 아닌데...'라고 우려하면서도 결국은 끽소리 못하고 노대통령 방침을 추종하는 결정을 내리는 '거수기 정당'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쿼바디스 노정권
'정체성 부재'. 이는 쉽게 해결될 성질의 간단한 질병이 아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체질 자체를 바꿔야 하는 중병이다. 더욱이 우리당 의원들의 정체성은 극과 극이고, 상당수는 애매모호 그 자체다. 과연 현정권의 틀을 유지하면서 정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렇다고 민주당 등과의 지역연합 등으로 풀릴 문제도 아니다. 한나라당과의 대연정도 사실상의 '정권 인도'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기댈 것은 단하나, 사실상 거대권력이 된 한나라당이 또다시 과거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기를 기다릴 뿐이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과연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할 지, 그렇다고 반사이익이 열린우리당으로 돌아올 지는 의문이다. 또한 한나라당이 동일한 실수를 범한다 할지라도 '정체성 부재'의 현 체제로는 등돌린 지지층의 회귀를 기대하기란 난망하다.
'새 술은 새 부대에'. 열린우리당이 지금부터 고민해야 할 근본 화두일지 모른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