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합리파' 후쿠다 총리 체제 출범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 등 기대감 커져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71) 전 일본 관방장관이 일본의 차기 총리로 취임할 자민당 총재에 당선됐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에 따르면 후쿠다 전 관방장관은 23일 일본 도쿄(東京)의 자민당 본부에서 실시된 총재선거에서 경쟁자인 아소 다로(麻生太郞.67) 간사장을 제치고 제22대 총재로, 사퇴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후임으로 선출됐다.
지난 1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퇴진 표명으로 실시된 선거에서 후쿠다씨는 당소속 중.참 양원 국회의원 3백87명과 지방표 1백41표로 구성된 전체 5백28표 가운데 당선 요건인 과반수를 훨씬 넘은 3백30표를 얻었다.
아소 간사장은 전체 유효표 5백27표 가운데 1백97표를 얻어 선전했으나, 결국 3번째 총재 도전에는 실패했다.
후쿠다 신임 총재는 오는 25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실시되는 총재 지명선거를 거쳐 내각을 발족시킬 예정이며, 중의원은 자민당과 연립 파트너인 공명당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총리 지명은 확정적이다.
후쿠다 총재는 이에 앞서 24일 자민당 간사장 등 당직 인사를 단행한다.
후쿠다 다케오(福田赳夫) 전 총리의 장남인 후쿠다 신임 총재는 일본 정치 사상 첫 부자 총리 기록을 세웠으며, 부친과 똑같이 71세에 총리가 되는 진기록도 남기게 됐다.
후쿠다 총재는 민간 석유회사에서 17년간 근무한 뒤 1976년 중의원이던 부친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 1990년 선거구를 물려받아 중의원에 당선된 전형적인 세습의원으로, 외무 정무차관과 관방장관을 지냈다.
후쿠다 총재는 총리에 지명되면 곧바로 조각에 착수, 25일중 내각을 출범할 예정이지만 현재 임시국회가 열리고 있으며, 현 아베 내각의 각료들이 발족후 1개월도 채 안됐다는 점에서 현 내각을 대폭 교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후쿠다 총재는 선거 압승으로 참의원내 제1당으로 부상, 조기 중의원 해산과 총선거 실시를 요구하고 있는 민주당 등 야당의 강력한 공세속에서 정권의 기틀을 닦아나갈 수 있을지, 추락한 자민당에 대한 국민과 야당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나갈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국회에서 민주당이 강력 반대하고 있는 테러대책특별법의 처리 문제가 시급한 과제이며, 연금 재원이 될 소비세 인상문제, 그리고 참의원 선거 참패의 원인이 된 지방과 도시의 격차 해소 등의 난제를 안고 있다.
후쿠다 총재는 그동안 계속 대테러전을 수행하고 아시아 각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국내의 불평등을 해소하겠다며, 북한 문제에 대한 외교적 조치와 해상자위대의 인도양 급유활동 연장, 낙후 농촌에 대한 지원 확대 등 주요 정책을 계속 추진하는 한편 국민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혀왔다.
해외에서는 호의적인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지지(時事) 통신>에 따르면 후쿠다 총재의 선출에 대해 미국 정부는 축하 인사를 건넨 뒤 "일본이 인도양에서 계속 공헌할 수 있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밝혔다.
부시 행정부 당국자는 차기 정부의 출범에 환영을 표시하는 한편 "공통 가치의 촉진을 위해 동맹국 일본과 계속 협력하고 싶다"며 해상자위대에 의한 급유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차기 정부가 전력을 다하게 줄 것을 요청했다.
이 당국자는 북핵 6자회담에서도 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희망한다며 북핵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하는 과정에서 일본인 납치문제를 항상 염두에 둘 것이라고 다짐했다.
중국 당국은 후쿠다 총재의 당선에 대해 크게 환영하고 있다.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들은 후쿠다 차기 총리에 대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사이에 조율해온 '연내 방중'을 요청, 가능한 빨리 베이징 방문을 실현시킬 방침이라고 전했다.
후쿠다 신임 총재는 선거에 앞서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하지 않겠다"고 표명했다는 점에서 중국측은 그를 "양국 관계의 안정을 시도할 안심할 수 있는 상대"로 보고 있는 것으로 통신은 지적했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에 따르면 후쿠다 전 관방장관은 23일 일본 도쿄(東京)의 자민당 본부에서 실시된 총재선거에서 경쟁자인 아소 다로(麻生太郞.67) 간사장을 제치고 제22대 총재로, 사퇴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후임으로 선출됐다.
지난 1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퇴진 표명으로 실시된 선거에서 후쿠다씨는 당소속 중.참 양원 국회의원 3백87명과 지방표 1백41표로 구성된 전체 5백28표 가운데 당선 요건인 과반수를 훨씬 넘은 3백30표를 얻었다.
아소 간사장은 전체 유효표 5백27표 가운데 1백97표를 얻어 선전했으나, 결국 3번째 총재 도전에는 실패했다.
후쿠다 신임 총재는 오는 25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실시되는 총재 지명선거를 거쳐 내각을 발족시킬 예정이며, 중의원은 자민당과 연립 파트너인 공명당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총리 지명은 확정적이다.
후쿠다 총재는 이에 앞서 24일 자민당 간사장 등 당직 인사를 단행한다.
후쿠다 다케오(福田赳夫) 전 총리의 장남인 후쿠다 신임 총재는 일본 정치 사상 첫 부자 총리 기록을 세웠으며, 부친과 똑같이 71세에 총리가 되는 진기록도 남기게 됐다.
후쿠다 총재는 민간 석유회사에서 17년간 근무한 뒤 1976년 중의원이던 부친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 1990년 선거구를 물려받아 중의원에 당선된 전형적인 세습의원으로, 외무 정무차관과 관방장관을 지냈다.
후쿠다 총재는 총리에 지명되면 곧바로 조각에 착수, 25일중 내각을 출범할 예정이지만 현재 임시국회가 열리고 있으며, 현 아베 내각의 각료들이 발족후 1개월도 채 안됐다는 점에서 현 내각을 대폭 교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후쿠다 총재는 선거 압승으로 참의원내 제1당으로 부상, 조기 중의원 해산과 총선거 실시를 요구하고 있는 민주당 등 야당의 강력한 공세속에서 정권의 기틀을 닦아나갈 수 있을지, 추락한 자민당에 대한 국민과 야당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나갈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국회에서 민주당이 강력 반대하고 있는 테러대책특별법의 처리 문제가 시급한 과제이며, 연금 재원이 될 소비세 인상문제, 그리고 참의원 선거 참패의 원인이 된 지방과 도시의 격차 해소 등의 난제를 안고 있다.
후쿠다 총재는 그동안 계속 대테러전을 수행하고 아시아 각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국내의 불평등을 해소하겠다며, 북한 문제에 대한 외교적 조치와 해상자위대의 인도양 급유활동 연장, 낙후 농촌에 대한 지원 확대 등 주요 정책을 계속 추진하는 한편 국민의 신뢰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혀왔다.
해외에서는 호의적인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지지(時事) 통신>에 따르면 후쿠다 총재의 선출에 대해 미국 정부는 축하 인사를 건넨 뒤 "일본이 인도양에서 계속 공헌할 수 있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밝혔다.
부시 행정부 당국자는 차기 정부의 출범에 환영을 표시하는 한편 "공통 가치의 촉진을 위해 동맹국 일본과 계속 협력하고 싶다"며 해상자위대에 의한 급유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차기 정부가 전력을 다하게 줄 것을 요청했다.
이 당국자는 북핵 6자회담에서도 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희망한다며 북핵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하는 과정에서 일본인 납치문제를 항상 염두에 둘 것이라고 다짐했다.
중국 당국은 후쿠다 총재의 당선에 대해 크게 환영하고 있다.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들은 후쿠다 차기 총리에 대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사이에 조율해온 '연내 방중'을 요청, 가능한 빨리 베이징 방문을 실현시킬 방침이라고 전했다.
후쿠다 신임 총재는 선거에 앞서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하지 않겠다"고 표명했다는 점에서 중국측은 그를 "양국 관계의 안정을 시도할 안심할 수 있는 상대"로 보고 있는 것으로 통신은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