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직서 수리될 의대 교수 없다. 1대 1 대화도 좋다"
"이달말 증원신청하면 절차 종료. 단일 대안 제시해달라"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오전 중대본 회의후 브리핑을 통해 "일각에서 4월 25일이 되면 대학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지나 자동으로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일률적으로 사직 효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의대 교수들은 집단행동이 아닌 대화의 자리로 나와 의견을 제시해 달라"며 "정부는 열린 자세로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의사협회가 요구한 정부와의 1대 1 대화에 대해서도 "정부는 의료계 등 각계와 1대 1 대화도 언제든지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린다"며 "의료계에서는 정부의 노력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대화의 자리에 나와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그는 의대 증원과 관련해선 "정부는 지난 금요일 국립대 총장님들의 건의를 전격 수용해 2025년도 신입생 모집에 한해 증원된 정원의 50∼100%의 범위에서 신입생을 자율적으로 모집할 수 있도록 했다"며 "전공의와 학생들이 집단행동을 풀고 병원과 학교로 돌아갈 수 있게 하려는 정부의 고뇌에 찬 결단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했다.
이어 "국민 건강을 위한 의료 개혁을 추진하면서 지금의 갈등 상황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정책적 결단을 내린 것"이라며 "의료계와 의대생들은 열린 마음으로 정부의 노력을 이해해 주시기를 바라며 정부와의 대화에도 적극적으로 임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도 "각 대학에서 4월 말까지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학칙을 개정해 증원 신청을 하면 사실상 절차가 종료된다"며 "더 늦기 전에 합리적이고 단일화된 대안을 제시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개혁의 최전방에서 정부의 '입' 역할을 해 전공의들이 해임을 요구하는 박 차관이 중대본 브리핑에 등장한 건 지난 8일 이후 처음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