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文정권 충견' 경찰의 흑역사, 개혁대상 1호"
"충견 노릇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 한번도 들어본 기억 없어"
울산시장 선거개입 피해자인 김기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문 정권 하에서 경찰 지도부가 보여온 그간의 행태를 생각하면 피해자였던 저로서는 정말 혀를 차지 않을 수 없다"고 힐난했다.
그는 그러면서 문재인 정권하 경찰의 행태를 조목조목 비판했다.
우선 "대선 여론을 조작한 드루킹 사건 때 문재인 대통령 측근이 개입한 증거가 나오자, 당시 경찰은 사실상의 수사 중단ㆍ지연을 통해 증거를 인멸할 시간을 벌어줬다"며 "택시기사를 때리다가 붙잡힌 폭행범이 공수처장 후보로 거론되는 민변 출신 친정권 인사로 알려지자 사건을 아예 덮어 버리려고도 했고, 문 대통령을 비난하는 전단을 돌렸다고 30대 청년을 상대로 강압수사를 벌인 것도 모자라, 대학에 들어가 문 대통령 풍자 대자보를 붙였다고 건조물 무단침입이라는 황당한 죄명을 뒤집어 씌워 재판을 받게 한 적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무엇보다 대통령의 30년 지기 친구를 시장에 당선시키겠다고, 저에게 없는 죄를 만들어 덮어씌운 당시 울산경찰청장은 지금 버젓이 민주당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며 "이 모든 것이 문재인 정권 내내 일부 경찰 지도부가 충견 노릇을 하면서 자행한 부끄러운 민낯"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렇게 경찰 지도부가 설칠 때 경찰의 다른 구성원들은 도대체 어디에서 무엇을 했나? 그때는 왜 입을 닫고 침묵했나? 일부 정치경찰 지도부의 그 못된 짓을 방관한 것은 '침묵의 공조자'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있나?"라고 경찰 구성원들을 꾸짖었다.
이어 "국민의 심판으로 정권이 바뀌었으면 전 정권의 충견 노릇을 하던 정치경찰 지도부와 그 불법과 과잉충성에 대해 침묵하던 많은 경찰 구성원들은, 먼저 지난날의 과오에 대해 반성하고 땅에 떨어진 국민신뢰를 회복할 방안을 찾는 것이 도리일 텐데, 저는 아직 그런 자성의 목소리를 단 한번도 들어본 기억이 없다"며 "그래놓고서 도리어 무소불위의 권력을 아무런 민주적 통제도 없이 마음대로 휘두르겠다며 실정법상 공무원에게 금지된 집단행동과 하극상까지 서슴지 않는 모습을 보니, 어이가 없다"고 질타했다.
그는 "충견 노릇을 자처했던 경찰의 흑역사는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한 제1호 개혁 대상일 것"이라며 "반(反)개혁, 조직 이기주의에 집착하는 세력은 척결의 대상일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