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의 '<WSJ> 기고 칼럼' 논란, 바이든 정말 트럼프와 다를까
워싱턴-월가에 'SK 투자 철회 우려' 깔려있어, 소송비용만 4천억원대
SK이노베이션과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소송중인 LG화학의 임원이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글에서 SK이노베이션을 '약탈범'이라고 규정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에게 소송에 끼어들지 말라고 경고한 것을 놓고 재계내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장승세 LG화학 전지사업본부 경영전략총괄 전무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Trump Should Stay Out of Korean Dispute(트럼프,한국 전기차 배터리 분쟁에 관여하지 말라)'라는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앞서 이 매체의 칼럼니스트 홀만 젠킨스이 조지아주에 약 3조원을 투입해 2천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는 SK이노베이션이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배터리 부품·소재를 미국에 들여올 수 없게 돼 트럼프 대통령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는만큼, ITC(미국국제무역위원회)의 12월 최종판결후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기 전에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합의하는 게 낫겠다는 취지의 칼럼을 쓴 데 대한 반박 글이었다.
장 전무는 기고문에서 "영업비밀 보호는 미국 일자리 창출의 핵심으로, ITC 판결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위험한 선례를 남길 수도 있다"며 "무역-비밀보호와 경제 활성화 관계에 대한 홀만 젠킨스의 기고는 트럼프 대통령이 4년간의 무역정책을 포기하고, 외국의 지적재산권 '약탈범'을 처벌로부터 보호하겠다는 근거 없는 결론을 내렸다"고 젠킨스를 비난했다.
앞서 LG화학은 지난해 4월 미국에서 판매 중인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을 분석한 결과 해당 배터리가 LG화학의 2차전지 핵심특허 5건을 침해했다며 ITC에 '영입비밀 침해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ITC는 2월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조기패소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그후 ITC는 최종판결을 계속 미뤘고, 최종판결 기일을 12월10일로 다시 연기했다.
이처럼 최종판결이 계속 늦춰지자 LG측이 <WSJ> 컬럼리스트 글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SK이노베이션을 '약탈범'으로 규정하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양사간 분쟁에 개입하지 말라는 경고를 하고 나선 모양새다.
LG화학측은 논란이 일자 "칼럼 제목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것은 WSJ 측에서 편집과정에서 넣은 것이다. 칼럼 본문에 관련 내용은 없다"며 "약탈범이라고 칭한 것은 최종판결만 안 나왔을 뿐, 이미 예비판결에서도 알 수 있는 내용"이라며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식물 대통령' 취급했다는 논란이 수그러들 수도 있다. 그러나 월가의 시각을 대변하는 <WSJ>의 칼럼리스트가 왜 사전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ITC가 계속 최종판결을 미루고 있는가에 대해 좀더 깊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재계에서 나오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경제'를 중시하기란 트럼프와 마찬가지다. 특히 바이든 후보는 강도높게 코로나19 방역대책을 예고하고 있는만큼 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내 일자리를 만들 외국기업 투자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바이든 역시 '미국 일자리'라는 관점에서 이번 사안에 접근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월가 역시 한국기업들간 분쟁으로 미국내 투자하기로 한 한국기업이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를 원치 않기란 마찬가지다. 전세계에 투자하고 있는 월가에는 하나의 철칙이 있다. '투자국가의 대통령이나 정부를 절대로 공개비판하지 말라'는 것이 그것이다. 월가의 이해나 시각에 배치되면 조용히 투자자금을 회수하면 되지,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는 오랜 경험 때문이다. 따라서 <WSJ> 칼럼에 대한 LG측의 민감한 반응은 음모론에 기초한 과잉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기자동차 시대를 맞아 2차전지 배터리 시장은 삼성, SK, LG 모두 사활을 걸고 있는 시장이어서, 기업간 충돌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보다 큰 시각에서 볼 필요가 있다. 중국 정부만 해도 시장 선점을 위해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 대해 전방위 차별과 압박을 가하고 있다. 향후 중국 정부나 배터리 업체들이 이번 한국기업간 소송을 한국 배터리 공격의 빌미로 사용할 건 명약관화하다. 일본기업들도 평소 시장을 놓고 치열한 싸움을 벌이되, 해외시장에서는 극단대립을 피하고 '막후 협상과 분할'을 통해 자사 이익 및 국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LG화학의 장 전무가 이번 칼럼을 혼자 결정으로 썼다고 보는 재계인사들은 없다. 최고위층에서는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재가가 있었거나, 그룹 2인자로 배터리 소송 당사자인 LG화학의 이사회 의장으로 소송전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LG그룹 2인자' 권영수 부회장의 재가가 있었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
LG에게는 SK에 대한 뿌리깊은 적개감이 있다. 과거 현대전자 인수경쟁에서 패배, 반도체시장에 진입하며 대약진할 수 있는 결정적 기회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당시 인수패배후 구본무 당시 회장이 대낮부터 한밤까지 통음하며 울분을 토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이번 소송에서도 LG의 대응은 더없이 단호해 보인다. 그럼에도 LG 최고위층은 보다 큰 시야에서 접근하면 좋지 않겠냐는 게 재계의 바램으로 보인다.
이 소송전에는 이미 4천억원대의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 로펌들의 배만 불리고 있는 모양새다.
장승세 LG화학 전지사업본부 경영전략총괄 전무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Trump Should Stay Out of Korean Dispute(트럼프,한국 전기차 배터리 분쟁에 관여하지 말라)'라는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앞서 이 매체의 칼럼니스트 홀만 젠킨스이 조지아주에 약 3조원을 투입해 2천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는 SK이노베이션이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배터리 부품·소재를 미국에 들여올 수 없게 돼 트럼프 대통령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는만큼, ITC(미국국제무역위원회)의 12월 최종판결후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기 전에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합의하는 게 낫겠다는 취지의 칼럼을 쓴 데 대한 반박 글이었다.
장 전무는 기고문에서 "영업비밀 보호는 미국 일자리 창출의 핵심으로, ITC 판결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위험한 선례를 남길 수도 있다"며 "무역-비밀보호와 경제 활성화 관계에 대한 홀만 젠킨스의 기고는 트럼프 대통령이 4년간의 무역정책을 포기하고, 외국의 지적재산권 '약탈범'을 처벌로부터 보호하겠다는 근거 없는 결론을 내렸다"고 젠킨스를 비난했다.
앞서 LG화학은 지난해 4월 미국에서 판매 중인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가 탑재된 차량을 분석한 결과 해당 배터리가 LG화학의 2차전지 핵심특허 5건을 침해했다며 ITC에 '영입비밀 침해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ITC는 2월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조기패소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그후 ITC는 최종판결을 계속 미뤘고, 최종판결 기일을 12월10일로 다시 연기했다.
이처럼 최종판결이 계속 늦춰지자 LG측이 <WSJ> 컬럼리스트 글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SK이노베이션을 '약탈범'으로 규정하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양사간 분쟁에 개입하지 말라는 경고를 하고 나선 모양새다.
LG화학측은 논란이 일자 "칼럼 제목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이 들어간 것은 WSJ 측에서 편집과정에서 넣은 것이다. 칼럼 본문에 관련 내용은 없다"며 "약탈범이라고 칭한 것은 최종판결만 안 나왔을 뿐, 이미 예비판결에서도 알 수 있는 내용"이라며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식물 대통령' 취급했다는 논란이 수그러들 수도 있다. 그러나 월가의 시각을 대변하는 <WSJ>의 칼럼리스트가 왜 사전합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ITC가 계속 최종판결을 미루고 있는가에 대해 좀더 깊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재계에서 나오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경제'를 중시하기란 트럼프와 마찬가지다. 특히 바이든 후보는 강도높게 코로나19 방역대책을 예고하고 있는만큼 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내 일자리를 만들 외국기업 투자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바이든 역시 '미국 일자리'라는 관점에서 이번 사안에 접근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월가 역시 한국기업들간 분쟁으로 미국내 투자하기로 한 한국기업이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를 원치 않기란 마찬가지다. 전세계에 투자하고 있는 월가에는 하나의 철칙이 있다. '투자국가의 대통령이나 정부를 절대로 공개비판하지 말라'는 것이 그것이다. 월가의 이해나 시각에 배치되면 조용히 투자자금을 회수하면 되지,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는 오랜 경험 때문이다. 따라서 <WSJ> 칼럼에 대한 LG측의 민감한 반응은 음모론에 기초한 과잉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기자동차 시대를 맞아 2차전지 배터리 시장은 삼성, SK, LG 모두 사활을 걸고 있는 시장이어서, 기업간 충돌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보다 큰 시각에서 볼 필요가 있다. 중국 정부만 해도 시장 선점을 위해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 대해 전방위 차별과 압박을 가하고 있다. 향후 중국 정부나 배터리 업체들이 이번 한국기업간 소송을 한국 배터리 공격의 빌미로 사용할 건 명약관화하다. 일본기업들도 평소 시장을 놓고 치열한 싸움을 벌이되, 해외시장에서는 극단대립을 피하고 '막후 협상과 분할'을 통해 자사 이익 및 국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LG화학의 장 전무가 이번 칼럼을 혼자 결정으로 썼다고 보는 재계인사들은 없다. 최고위층에서는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재가가 있었거나, 그룹 2인자로 배터리 소송 당사자인 LG화학의 이사회 의장으로 소송전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LG그룹 2인자' 권영수 부회장의 재가가 있었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
LG에게는 SK에 대한 뿌리깊은 적개감이 있다. 과거 현대전자 인수경쟁에서 패배, 반도체시장에 진입하며 대약진할 수 있는 결정적 기회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당시 인수패배후 구본무 당시 회장이 대낮부터 한밤까지 통음하며 울분을 토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다. 이런 이유에서인지 이번 소송에서도 LG의 대응은 더없이 단호해 보인다. 그럼에도 LG 최고위층은 보다 큰 시야에서 접근하면 좋지 않겠냐는 게 재계의 바램으로 보인다.
이 소송전에는 이미 4천억원대의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 로펌들의 배만 불리고 있는 모양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