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통합민주당 의원, '대선 3수' 도전장
과거 경선불복과 탈당, 대국민 사과도
지난 두 차례 대선에 도전했던 이인제 통합민주당 의원이 5일 대선 수 도전장을 냈다. 통합민주당 후보로는 지난 달 대선출마를 선언한 김영환 전 과학기술부 장관에 이어 두 번째다.
이 의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 5년 동안 두꺼운 얼음 속에 갇혀 지내면서 저의 과오와 허물을 성찰하고 나라의 현실을 고뇌하면서 어떻게 하면 지식정보강국, 복지문화대국, 통일 조국의 미래를 건설할 수 있을까를 꿈꾸어 왔다”며 “다시 중도개혁주의로 부활하는 통합민주당을 위해 그 어떤 짐이라도 져야 한다는 것을 숙명으로 받아들인다”고 출사표를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 1997년 대선에서의 경선불복과 2002년 경선 직후 탈당한 과거의 과거를 해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지난 두 번의 대선 과정에서 저에게 수많은 비난이 쏟아졌다. 특히 경선 불복과 탈당을 나무라는 여론에 직면했다”며 “1997년 당내 경선 이후 조성된 전혀 새로운 상황에서 40대의 젊은 나로서는 독자 출마를 바라는 국민의 여망을 저버리기가 너무 어려웠다는 점을 고백한다”고 해명했다. 그는 “선거에서 비록 제가 국민의 뜻을 받들지 못하였지만, 우리 헌정사상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것도 사실”이라며 자신의 출마가 국민의 정부 출범에 기여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어떤 구구한 변명도 하지 않겠다”며 “나의 독자 출마로 마음의 상처를 입으신 국민 여러분께, 그리고 저의 행동을 비판하는 모든 분께 머리 숙여 이해와 관용을 빌 뿐”이라고 사과했다.
그는 또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경선 패배후 탈당과 관련해선 “나는 집권이 확실해진 급진 노선을 추종할 수 없다는 일념으로 탈당을 결행했을 뿐, 내가 창당 주역으로 참여한 당의 중도개혁노선을 반대한 것이 결코 아니었다”며 “좀더 원숙하게 행동해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걱정을 끼쳐드리지 말았어야 한다고 자책하고 있다. 다시한번 넓은 이해와 용서를 바란다”고 거듭 사과했다.
이 의원은 이어 “사회는 큰 혼란에 빠지고 민생은 절망에 허덕이고 있지만 거대 집권 여당이 해체되고 고립된 대통령은 좌충우돌하고 정당도, 국회도, 대통령도 자기 역할을 못한 채 국가 리더십은 실종된 지 이미 오래 되었다”며 “모두 중도(中道)를 일탈한 급진 노선이 국가를 경영한 필연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 이 혼란을 수습하고 나라를 일으켜 세워 다시 힘차게 전진할 희망은 어디에 있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중도개혁세력만이 이 엄중한 소명을 받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나라당의 보수주의 노선으로는 우리의 미래를 개척할 수 없다”며 “그들이 낡은 사고와 부패한 체질을 혁신하였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기업하기 제일 좋은 나라 ▲서민과 중산층이 잘사는 사회 ▲일자리 만드는 대통령 ▲햇볕정책의 창조적 계승발전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 의원은 이날 5.18 광주민주화운동 국립묘지 헌화를 시작으로 대선 예비후보로서의 첫 일정을 시작한다.
이 의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 5년 동안 두꺼운 얼음 속에 갇혀 지내면서 저의 과오와 허물을 성찰하고 나라의 현실을 고뇌하면서 어떻게 하면 지식정보강국, 복지문화대국, 통일 조국의 미래를 건설할 수 있을까를 꿈꾸어 왔다”며 “다시 중도개혁주의로 부활하는 통합민주당을 위해 그 어떤 짐이라도 져야 한다는 것을 숙명으로 받아들인다”고 출사표를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 1997년 대선에서의 경선불복과 2002년 경선 직후 탈당한 과거의 과거를 해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지난 두 번의 대선 과정에서 저에게 수많은 비난이 쏟아졌다. 특히 경선 불복과 탈당을 나무라는 여론에 직면했다”며 “1997년 당내 경선 이후 조성된 전혀 새로운 상황에서 40대의 젊은 나로서는 독자 출마를 바라는 국민의 여망을 저버리기가 너무 어려웠다는 점을 고백한다”고 해명했다. 그는 “선거에서 비록 제가 국민의 뜻을 받들지 못하였지만, 우리 헌정사상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것도 사실”이라며 자신의 출마가 국민의 정부 출범에 기여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어떤 구구한 변명도 하지 않겠다”며 “나의 독자 출마로 마음의 상처를 입으신 국민 여러분께, 그리고 저의 행동을 비판하는 모든 분께 머리 숙여 이해와 관용을 빌 뿐”이라고 사과했다.
그는 또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경선 패배후 탈당과 관련해선 “나는 집권이 확실해진 급진 노선을 추종할 수 없다는 일념으로 탈당을 결행했을 뿐, 내가 창당 주역으로 참여한 당의 중도개혁노선을 반대한 것이 결코 아니었다”며 “좀더 원숙하게 행동해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걱정을 끼쳐드리지 말았어야 한다고 자책하고 있다. 다시한번 넓은 이해와 용서를 바란다”고 거듭 사과했다.
이 의원은 이어 “사회는 큰 혼란에 빠지고 민생은 절망에 허덕이고 있지만 거대 집권 여당이 해체되고 고립된 대통령은 좌충우돌하고 정당도, 국회도, 대통령도 자기 역할을 못한 채 국가 리더십은 실종된 지 이미 오래 되었다”며 “모두 중도(中道)를 일탈한 급진 노선이 국가를 경영한 필연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 이 혼란을 수습하고 나라를 일으켜 세워 다시 힘차게 전진할 희망은 어디에 있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중도개혁세력만이 이 엄중한 소명을 받들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나라당의 보수주의 노선으로는 우리의 미래를 개척할 수 없다”며 “그들이 낡은 사고와 부패한 체질을 혁신하였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기업하기 제일 좋은 나라 ▲서민과 중산층이 잘사는 사회 ▲일자리 만드는 대통령 ▲햇볕정책의 창조적 계승발전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 의원은 이날 5.18 광주민주화운동 국립묘지 헌화를 시작으로 대선 예비후보로서의 첫 일정을 시작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